[더테크=조재호 기자] 나노코리아 2023 (NANO KOREA 2023)가 7월 5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올해로 21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나노산업 전시회와 세미나를 함께 진행한다. 나노기술과 더불어 레이저기술,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융합소재, 스마트센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참여했다. 다양한 부대행사 및 컨퍼런스가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산업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B2B 전시회로 반도체 소재와 자동자 부품, 제조 장비 등을 주제로 약 400개의 기업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사진은 이차전지 도전재로 배터리 용량 향상과 함께 충전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CNT)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등 나노기술을 선보인 제이오의 부스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나노코리아 2023 (NANO KOREA 2023)가 7월 5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올해로 21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나노산업 전시회와 세미나를 함께 진행한다. 나노기술과 더불어 레이저기술,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융합소재, 스마트센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참여했다. 다양한 부대행사 및 컨퍼런스가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산업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B2B 전시회로 반도체 소재와 자동자 부품, 제조 장비 등을 주제로 약 400개의 기업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한솔제지는 펄프에서 유래한 친환경 소재로 무게가 철의 5분의 1이지만 강도는 5배에 달하는 친환경 소재 나노셀룰로오스를 소개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나노코리아 2023 (NANO KOREA 2023)가 7월 5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올해로 21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나노산업 전시회와 세미나를 함께 진행한다. 나노기술과 더불어 레이저기술,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융합소재, 스마트센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참여했다. 다양한 부대행사 및 컨퍼런스가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산업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B2B 전시회로 반도체 소재와 자동자 부품, 제조 장비 등을 주제로 약 400개의 기업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독일의 산업용 레이저 기업 트럼프는 100주년을 맞아 자사의 역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부스를 꾸렸다. B2B 참관객이 상담을 위해 줄을 선 모습이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나노코리아 2023 (NANO KOREA 2023)가 7월 5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올해로 21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나노산업 전시회와 세미나를 함께 진행한다. 나노기술과 더불어 레이저기술,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융합소재, 스마트센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참여했다. 다양한 부대행사 및 컨퍼런스가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산업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B2B 전시회로 반도체 소재와 자동자 부품, 제조 장비 등을 주제로 약 400개의 기업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LG의 부스에선 LG전자의 가전 제품 오브제 시리즈를 선보였으며 LG이노텍과 LG화학 등의 기술력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나노코리아 2023 (NANO KOREA 2023)가 7월 5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올해로 21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나노산업 전시회와 세미나를 함께 진행한다. 나노기술과 더불어 레이저기술,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융합소재, 스마트센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참여했다. 다양한 부대행사 및 컨퍼런스가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산업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B2B 전시회로 반도체 소재와 자동자 부품, 제조 장비 등을 주제로 약 400개의 기업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촉각/모션 감지 휴머노이드 로봇암 기술 등 최첨단 나노 신기술로 관람객의 눈길을 끈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부스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나노 코리아 2023 (NANO KOREA 2023)가 7월 5일부터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 중이다. 올해로 21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나노산업 전시회와 세미나를 함께 진행한다. 나노기술과 더불어 레이저기술,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융합소재, 스마트센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참여했다. 다양한 부대행사 및 컨퍼런스가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산업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B2B 전시회로 반도체 소재와 자동자 부품, 제조 장비 등을 주제로 7일까지 진행된다. 사진은 나노 코리아 2023 행사장의 입구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나노코리아 2023 (NANO KOREA 2023)가 7월 5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올해로 21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나노산업 전시회와 세미나를 함께 진행한다. 나노기술과 더불어 레이저기술,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융합소재, 스마트센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참여했다. 다양한 부대행사 및 컨퍼런스가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산업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B2B 전시회로 반도체 소재와 자동자 부품, 제조 장비 등을 주제로 약 400개의 기업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사진은 행사장에 마련된 삼성전자의 부스, 파운드리를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헬스케어 시장이 디지털 전환과 함께 인공지능(AI)을 접목하는 방향으로 진화 중이다. 이용자 데이터를 취합해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AI를 활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개인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 빅테크 기업들이 헬스케어 산업에 뛰어드는 계기임과 동시에 신규 비즈니스 영역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LG유플러스는 6일 만성질환 관리 플랫폼 기업 아이쿱과 건강관리 서비스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아이쿱은 만성질환 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플랫폼 ‘닥터바이스’를 개발 중이다. 닥터바이스는 병원의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과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 PHR)을 기반으로 질환 상담과 약제 정보를 제공하는 환자 맞춤형 만성질환 관리 솔루션이다. 양사는 이번 협약으로 △이용자 알고리즘 개발 △라이프스타일 개선 콘텐츠 개발 △일상 속 건강관리 서비스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다방면에서 헬스케어 분야 사업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 협약 이외에 약사 맞춤형 플랫폼 기업 ‘참약사’와도 업무 협약을 체결해 디지털 헬스
[더테크=조재호 기자] 올해 3분기 D램 가격이 반등하긴 어렵지만 하락 폭이 0~5%가량으로 크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의 인공지능(AI) 서버 장비 투자와 함께 스마트폰 시장의 성수기를 앞둔 3분기다. 하지만 재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반등을 논하기엔 시기상조라는 분석이 나온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5일 “D램 업체들의 감산과 계절적 수요 증가로 인해 재고 압박이 줄었다”면서 3분기 D램 ASP(Average Selling Price, 평균 판매 단가)가 0~5%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트렌드포스는 업체들의 노력에도 재고 수준이 높아 분기별 가격 하락 폭을 줄이는 것에 그칠 뿐, 가격 회복은 2024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봤다. 보고서는 PC용 D램 부문은 시장에서 세대교체기가 진행되고 있어 DDR4는 공급과잉 상태가 지속되고, DDR5는 업체의 가격 유지 노력과 수요의 영향을 받아 적정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따라서 PC용 D램 전체 ASP는 0~5%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서버용 D램의 ASP도 0~5% 하락할 것으로 전해졌다. 그 이유는 PC와 비슷한데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들이 AI 장비에 투자하면서
[더테크=조재호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교육기술 기업 뤼이드가 브라질 공교육 시장에 진출한다. AI 기반의 에듀테크 기업의 글로벌 B2B 비즈니스가 영어권을 넘어 포르투갈어 시장까지 확장됐다는 점에서 좋은 케이스가 될 것으로 보인다. 뤼이드는 브라질 파라나 주 정부 산하 IT 공기업인 셀레파(Celepar)와 AI 교육 솔루션 공급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올해 하반기까지 ‘퀴지움(Quizium)’을, 내년엔 ‘와이즈알파(Wise Alpha)’를 공급할 계획이다. 뤼이드의 ‘퀴지움’은 아직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B2B 솔루션으로 동영상 강의 등 영상 교육자료에서 문제를 자동으로 추출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교사용 AI 학습 관리 시스템인 ‘와이즈 알파’는 B2B 솔루션으로 학생들의 학습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국내에선 서울시교육청과 MOU를 맺어 공교육 대상으로 개발 및 공급되는 제품이다. 현준우 뤼이드 B2B 총괄 부대표는 <더테크>와의 통화에서 “코로나 시기 파라나 주가 제작한 동영상 콘텐츠에 뤼이드의 솔루션을 적용해 공교육의 품질을 향상시킬 것”이라며 “브라질 공교육 시장에 우리 AI 솔루션
<더테크>가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3’에 참가한 기업들을 현장에서 만났습니다. 전시회 현장을 미처 찾지 못한 업계 관계자들과 테크에 관심있는 독자분들에게 소개하기 위함입니다. 현장에서 만난 기업들의 목소리와 그들이 말하는 기술을 다양한 형식의 인터뷰 기사로 전달합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3D익스피리언스’(3DEXPERIENCE). 테크 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이라도 왠지 낯설게 느껴지는 표현이다. 하지만 프랑스에 본사를 둔 글로벌 기업인 다쏘를 모르는 이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3D익스피리언스는 바로 다쏘시스템의 통합 플랫폼으로 초기 구상부터 개발, 서비스, 폐기에 이르는 제품 수명 주기 관리(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LM)를 아우른다. 다쏘시스템코리아는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3’에 꽤 큰 규모의 부스를 마련하고 자사의 3D익스피리언스를 열심히 홍보하고 있었다. 현장에서 기자와 만난 이승철 기술대표는 “여러가지 브랜드를 통합해 비즈니스 플랫폼을 만들어보자 한 것이 3D익스피리언스”라며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3D익스피리언스는 3D 설계 소프트웨어 카티아(CATIA)와 솔리
[더테크=조재호 기자] 삼성전자가 국내 반도체 생태계를 강화할 파운드리 전략을 공개했다. 이를 위해 국내 팹리스 기업과 협력을 비롯해 산학연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인공지능(AI) 반도체 시대를 맞아 생태계 전반을 선도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행보를 예고했다고 볼 수 있다. 삼성전자는 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3(Samsung Foundry Forum 2023)'과 'SAFE(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 포럼 2023'을 개최했다.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 사장은 기조연설에서 “AI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며 “고성능 AI 반도체에 특화된 공정과 파트너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AI 시대 패러다임을 주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혁신의 속도를 가속화한다(Accelerate the Speed of Innovation)‘를 주제로 진행된 SAFE 포럼에서 삼성전자는 100여 파트너사와 함께 ’고객의 성공‘이라는 공동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PDK(Process Design Kit) Prime 솔루션을 올해 하반기부터 2나노, 3나노 공정 팹리스 고객에게 제공하고 향후 8인치부터 최첨단 2나노 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