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명의 기자] 올해 1분기 금형 수출에 ‘청신호’가 켜졌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침체 일로를 걸었던 우리나라 금형 수출이 올해 1분기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6% 가까이 상승하는 회복세를 보인 것.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이하 금형조합)이 국제 산업 분류 HS Code를 기반으로 2023년 1분기 금형 수출입 실적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수출액은 5억 9851만 달러를 달성했다. 전년동기에 기록한 5억 1632만 달러에 비해 15.9% 상승한 수치다. 주요 금형수출국의 양상에도 변동이 발생했다. 가장 큰 수출시장이었던 일본이 2위로 내려앉은 반면, 그 자리를 전년 같은 기간 5위에 머물렀던 인도가 1위를 차지했다. 금형 전 품목 수출 증가한 가운데 기타금형만 하락 올해 1분기 금형수출액은 5억 9851만 달러, 수입액은 4206만 달러를 각각 기록하면서 5억 5645만 달러의 무역수지를 나타내 전년도 같은 기간 나타났던 부진에서 일정 부분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품목별로 보면 프레스 금형의 약진이 가장 눈에 띈다. 전년도 같은 기간에 1억 9043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한 프레스 금형은 올해 1분기에 2억 5535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하면서
[더테크=조명의 기자] 에이펙스에이아이(Apex.AI)는 승차공유 서비스 기업 모이아(MOIA)가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를 위해 자사 소프트웨어 기술을 채택했다고 26일 발표했다. 폭스바겐 그룹 자회사인 모이아는 자율주행 차량인 ‘아이디 버즈 AD(ID.Buzz AD)’의 탑승객 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해 에이펙스에이아이의 운영체제(OS)를 이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모이아는 탑승객과의 상호 작용 대부분을 디지털 방식으로 자동화할 수 있는 최첨단 기술을 구축할 계획이다. 모이아는 2021년부터 폭스바겐 상용차(VWCV)와 협력해 자율 승차공유 서비스를 일반에 제공하기 위한 개발 및 테스트 작업을 진행해 왔으며, 2025년에 독일 함부르크에서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모이아의 독자적인 탑승객 관리 시스템은 자율 모빌리티 서비스의 보조 운전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시스템은 차량에 긴밀히 통합돼 차량 내부의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도어 개폐를 대신하거나 필요한 경우 차량 내부의 다양한 보조 기능들을 제어한다. 사샤 마이어 모이아 CEO는 “고성능 탑승객 관리 시스템은 자율 승차공유 서비스 이용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지능형 자율주행차 기
[더테크=조명의 기자] 신테카바이오는 24일 AI 기반 신약 토탈 솔루션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AI 기반 신약 토탈 솔루션 서비스는 AI 신약 후보물질 발굴 플랫폼 ‘딥매처(DeepMatcher)’와 STB CLOUD, 슈퍼컴퓨팅 기술을 바탕으로 △자동 유효물질 탐색 △자동 선도물질 생성 △자동 독성/대사/약동학 예측 기술 △의약품 라벨링을 위한 유전자 바이오마커 예측을 지원한다. 해당 솔루션은 단백질 표적에 대한 딥러닝 분석 및 자동 분자동역학(MD) 시뮬레이션 기술을 적용, 2년 내에 유효물질(HIT)부터 동물실험까지 마친 전임상(pre-clinical) 전단계의 후보물질까지 생성해 고객사에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신테카바이오는 토탈 솔루션을 통해 전임상 전까지 최소 5~7년의 기간을 2년으로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인 신약개발은 후보물질 발굴 및 스크리닝 3~4년, 최적화 1~3년, 비임상시험·독성시험 1~3년, 임상시험 5~6년, 상용화 1~2년 등 단계별로 오랜 기간이 소요된다. 또한 전통적인 신약개발 방식에서 전임상 전까지 1000만 달러(약 100억 원) 이상의 비용이 드나, 자사 솔루션은 서비스 범위 대비 낮은 수준인 200만
[더테크=조명의 기자] 올해 1분기 국내 상장 중견기업 4곳 중 1곳은 영업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엔데믹으로 항공사 및 여행‧레저 업계는 실적 성장이 두드러진 반면 제약‧바이오 업계는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업종별로 희비가 엇갈렸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국내 상장 중견기업 중 1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713개사의 실적을 조사한 결과,181개(25.4%) 기업이 올 1분기 영업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적자 기업 수는 지난해 1분기 144개(20.2%) 보다 37개(5.2%포인트) 늘어났다. 이는 대기업군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은 비율이다. 국내 500대 기업 중에서 1분기 실적 확인이 가능한 309개사 중 영업적자 기업 수는 33개(10.7%)였다. 지난해에는 24개(7.8%)에 불과했다. 조사 대상 중견기업 713개사의 1분기 영업이익은 2조 6261억 원으로 전년 동기(3조 8111억 원) 대비 1조 1850억원(31.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매출액은 60조 8084억 원으로 전년 동기(60조 4583억 원) 대비 3502억 원(0.6%↑) 증가해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중견기업 713개사 중 145개사(20.3%)가 전년
[더테크=조명의 기자] 올해 산업용 네트워크 시장이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HMS 네트웍스(이하 HMS)는 전 세계 공장 자동화 분야에 새롭게 설치된 노드를 중심으로 산업용 네트워크 시장에 대한 분석자료를 매년 공개하고 있다. 노드는 산업 현장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장비 또는 장치를 정의한 것을 말한다. 이번 연구에는 공장 자동화 분야에 새롭게 설치된 노드 수를 기반으로 올해 시장에 대한 HMS의 예측이 포함돼 있다. 제시된 수치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과 HMS의 자체 판매 통계 및 시장의 전반적인 인식을 고려해 HMS에서 통합적으로 취합한 것이다. HMS는 2023년 분석자료를 통해 전체 산업용 네트워크 시장이 2023년 7%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으며, 앞으로도 공장 내 네트워크 연결의 중요성은 계속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분석결과에 따르면, 산업용 이더넷은 현재 전년 대비 10% 성장률을 기록하며 계속해서 시장 점유율을 선도하고 있다. 산업용 이더넷은 현재 전 세계 공장 자동화 분야에 새롭게 설치된 노드의 68%(지난해 6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OFINET 및 EtherNet/
[더테크=조명의 기자]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인 맞춤 치료용 암 백신에 사용될 수 있는 신생항원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모델이 개발됐다. 카이스트(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최정균 교수와 펜타메딕스와의 공동연구 결과다. 연구팀은 17일 딥러닝을 이용해 실제로 T세포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신생항원을 발굴하는 AI 모델을 개발하고,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웹서비스를 구축해 ‘딥네오(DeepNeo)’라는 이름으로 공개했다. 신생항원이란 암세포의 돌연변이에서 나온 단백질 조각 중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들로서 항암 백신 개발의 이상적인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모더나와 바이오엔텍도 암 치료를 위한 신생 항원 백신용으로 개발하던 mRNA 플랫폼으로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바 있으며, 현재 대형 제약사들과 신생항원을 이용한 암 백신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기존의 신생항원 발굴 방법론은 MHC 단백질(외부에서 들어온 병원균이나 암세포에서 발생한 항원과 결합해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키는 단백질)과 결합할 수 있는 돌연변이를 예측하는 데에 한정돼 있었다. 암 백신이 효과가 있으려면 돌연변이가 MHC와 결합할 뿐만 아니라 그 결합체가 실제로 T 세포 면역반응을
[더테크=조명의 기자] 국내 대기업의 영업이익이 1년 새 25조 원 가까이 빠지며 반토막났다. 반도체 산업이 타격을 입으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IT전기전자 업종의 영업이익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지난해 매출액 기준 국내 500대 기업 중에서 올해 1분기 실적 확인이 가능한 309개사의 실적을 조사한 결과, 대상 기업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25조 8985억 원으로 전년 동기 50조 5567억 원 대비 48.8% 감소했다. 이들 영업이익은 지난해 3분기 -11.4%, 4분기 -69.1%, 올 1분기 –48.8%로 3분기 연속 하락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19개 업종 중 11개 업종의 영업이익이 감소했고, 8개 업종은 증가했다. 특히 IT전기전자 업종의 영업이익 감소액이 가장 많았다. IT전기전자 업종은 지난해 1분기 20조 9430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으나, 올 1분기에는 7941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이어 석유화학(-3조 4023억 원, 41.4%↓), 운송(-3조 2064억 원, 65.5%↓), 제약(-6885억 원, 62.2%↓), 철강(-6578억 원, 41.1%↓) 순으로 영업이익 감소액이 많았
[더테크=조명의 기자] 우리넷은 업계 최초로 KC 인증을 받은 5G 특화망 디바이스를 출시한다고 15일 밝혔다. 5G 특화망에 공급되는 우리넷 무선 단말은 서브6 대역(6㎓ 이하)의 NR 주파수로 민감형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필요한 서비스를 구성하는데 활용될 예정이다. 시장조사업체 그랜드 뷰 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5G 특화망 시장 규모는 지난해 16억 1000만 달러(약 2조 1200억 원)로 추정되며, 매년 평균 49%씩 성장해 2030년 410억 2000만 달러(약 54조 1500억)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최종신 우리넷 대표는 “KC 인증이 완료된 5G 특화망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5G+ 인프라 시장 확대에 발맞춰 맞춤형 단말 및 응용 서비스 상용화 추진을 통해 국내 및 해외 5G 특화망 시장에 적극 참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더테크=조명의 기자] 내년 4월 진행되는 국내 최대 생산제조기술 전문 전시회 'SIMTOS 2024'가 참가신청 접수 1개월만에 5000부스를 달성했다. SIMTOS를 주최하는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이하 전시사무국)은 지난달 3일 시작된 SIMTOS 2024 참가 신청과 관련, 같은달 30일 494개사가 5238부스를 신청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해 코로나19 상황에서도 SIMTOS 2022를 통해 대면 마케팅 효과를 확인한 기존 참가업체는 물론, 비즈니스모델 확대 등을 통해 SIMTOS 참가를 고려해 온 신규 참가업체가 참가신청을 서두르면서 나타난 결과라고 전시사무국은 분석했다. SIMTOS 2024 조기 참가신청 결과, 신청업체의 75%가 재참가 업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참가업체의 23%는 전회 대비 부스 규모를 확대했다. 이번 조기 참가신청 기간에는 스맥, 현대위아, 화천기계, 트럼프, 화낙, 바이스트로닉, 아마다, 에이치케이 등이 참가를 확정했다. 또 코로나19로 해외 시장 개척에 어려움을 겪은 자국 기업들을 위해 대만, 독일, 이탈리아, 중국, 터키, 스페인 등이 국가관 참가 신청을 완료했다. SIMTOS 전시사무국은 부스 유치 목표(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