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전수연 기자]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주최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주관한 제2기 ‘개인정보 기술포럼’ 총회가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1일 개최됐다. 이날 행사는 전년도에 진행된 기술 포럼에 이어 올해의 개인정보 보호 운영 계획과 전망을 공유하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사진은 개인정보 기술포럼 메인 무대 모습.
[더테크=전수연 기자] 멀티 클라우드 전문기업 베스핀글로벌이 Data·AI MSP 서비스 ‘B2D2’를 고도화해 AI 애플리케이션의 구축·운영을 위한 기능을 선보였다. 베스핀글로벌은 B2D2 Application Stack(비투디투 애플리케이션 스택)을 새롭게 출시했다고 1일 밝혔다. B2D2 Application Stack은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 LLM(대규모언어모델), 자연어 이해(NLU)를 결합해 고도화된 대화형 AI 챗봇, 콜봇 생성, 문서 작성·관리, 맞춤형 학습 경험을 촉진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AI 기술을 다양한 업무 영역에 통합할 수 있다. 베스핀글로벌은 클라우드뿐 아니라 데이터, AI, 콜 인프라 처리·연동 등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운영할 때 필요한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국내 최초로 AWS 머신러닝 컴피턴시, 데이터, 분석 컴피턴시를 취득한 바 있다. B2D2는 크게 △B2D2 챗봇 △B2D2 콜봇 △B2D2 도큐나우 △B2D2 라이트나우 △B2D2 비즈나우 △B2D2 에듀나우로 구성됐다. 각 서비스는 데이터 활용 목적, 산업·기업의 특성, 조직 규모 등에 따라 맞춤형으로 선택·도입 가능하다. 우선 챗봇은 자연어
[더테크=전수연 기자] 네이버가 클로바X에 최신·전문 정보를 연동할 수 있는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클로바X의 고도화를 통해 자사 서비스뿐만 아니라 외부 서비스와의 연계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네이버의 대화형 AI 서비스 클로바X는 지난 30일 진행된 서비스 업데이트를 통해 리테일 테크 서비스 ‘컬리’, AI 매칭 채용 플랫폼 ‘원티드’, 여행 플랫폼 ‘트리플’과 스킬(Skill) 연동을 시작했다고 1일 밝혔다. 스킬은 각 서비스에 최신·전문 정보를 클로바X와 연동 AI가 더 정확한 답변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이다. 이번 업데이트로 클로바X는 네이버 자체 서비스인 쇼핑과 여행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부 서비스와 연계를 확대했다. 클로바X의 답변을 바탕으로 상품 구매나 장소 예약, 채용 지원 등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트리플’ 스킬을 선택하고 “오사카 3박 4일 일정 추천해줘”와 같이 여행 계획 생성을 요청하면 여행지와 일정을 참고해 트리플 서비스가 구성한 최적의 일정을 클로바X가 보여준다. 네이버는 문서 작성이나 지식 탐색 등 생산성과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특화 서비스와 클로바 X 스킬 도입을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SK텔레콤이 6G 통신 코어망에서 지연을 감소시켜 서비스 효율을 올릴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회사는 6G 분야 기술 선도를 위해 추가 연구와 함께 상용화 노력을 지속한다는 입장이다. SK텔레콤은 인텔과 협력해 6G 이동통신을 위한 베어메탈 기반 클라우드 네이티브 코어망 구조 진화에 필요한 코어망 내부 통신 지연 감소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코어망은 고객의 모바일에서 발생하는 데이터가 인터넷 망으로 접속하기 위한 관문으로 다양한 장비와 연동을 통해 보안과 서비스 품질을 담당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교환기 시스템이다. SKT와 인텔의 공동 연구로 개발된 ‘Inline Service Mesh’ 기술은 프록시 없이 각 기능 모듈간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코어망 내부 통신 속도를 향상시켰다. 이 기술은 6G 코어 아키텍처에 적용하면 최대 70% 가량 감소시키고 서비스 효율은 약 33% 높일 수 있다. 류탁기 SKT 인프라기술담당은 “6G 분야 기술 선도를 위해 인텔과 지속적인 기술 개발 협력을 해 온 결과 또 하나의 기술적 성과를 달성했다”며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6G 코어 아키텍처에 대한 추가 연구와 상용화 노력을 지속할 것
[더테크=전수연 기자] LS마린솔루션이 지난해 8월 LS전선에 인수된 후 22년 만에 최대 영업이익과 순이익을 달성했다. LS마린솔루션은 2023년 잠정 매출 708억원, 영업이익 131억원, 순이익 116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2022년 대비 매출은 428억원에서 65% 넘게 증가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66억원, -121억원에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영업이익률은 18.5%를 기록했다. 이러한 실적에 대해 LS마린솔루션은 해저 전력케이블 사업의 확대와 자산 효율화가 실적을 견인했다고 판단했다. 이와 함께 LS마린솔루션은 LS전선과 ‘해저케이블 자제-시공 벨류체인’ 구축을 통해 턴키(turn key) 수주 역량을 갖추고 해저케이블 시공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아울러 LS마린솔루션은 기수주한 전남해상풍력 사업 수행과 국내 해상풍력 사업의 추가 수주 등으로 올해도 성장세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또한 대만, 베트남 등 해저 케이블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국가를 중심으로 해외 수주도 기대하고 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LG CNS가 지난해 6월 챗GPT 기반의 코드 생성형 AI 서비스 ‘AI 코딩’을 개발한 데 이어 자체 대규모언어모델(LLM)을 선보였다. LG CNS는 코드 생성형 AI에 최적화된 LLM을 공개했다고 31일 밝혔다. AI 코딩은 현재 다수의 사내 시스템 운영, 고객사 SI(System Integration)·SM(System Management) 프로젝트에 활용되고 있다. 또한 LG CNS는 AI 코딩을 금융·증권사 등 데이터의 외부 유출에 민감한 기업들도 활용할 수 있도록 LLM까지 자체 개발했다. 고객사들은 각각의 비즈니스 환경에 맞춰 LLM 또는 오픈AI의 GPT를 선택해 AI 코딩을 활용할 수 있다. LG CNS는 메타의 ‘코드라마(CodeLlama)’ 등 다양한 오픈소스 LLM을 활용해 코딩에 최적화된 LLM을 구현했다. 기업은 보유 중인 서버, 클라우드 등 인프라에 LLM을 설치하고 AI 코딩을 플러그인 방식(기존 시스템에 부가기능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연결하면 된다. 이는 기업이 가진 자체 인프라를 활용하기 때문에 소스코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와 함께 LG CNS는 이번에 공개한 LLM과 AI 코
[더테크=전수연 기자] SAP가 기업이 클라우드로 이동할 때 클라우드 속도와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공개했다. SAP는 라이즈 위드 SAP 마이그레이션 및 현대화(RISE with SAP Migration and Modernization)를 발표했다고 31일 밝혔다. 해당 기능은 기업이 클라우드로 이전할 때 겪는 필요 범위, 비용 등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을 지원한다. 또 커스텀 코드, 데이터 사일로, 프로세스 복잡성 등을 제거해 복잡한 ERP 시스템도 클라우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라이즈 위드 SAP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지속 업데이트와 새로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구성됐다. SAP는 클라우드 상에서 운영을 시작함에 따라 신뢰성 구축, 보안·규정 준수 강화, 비즈니스 데이터의 잠재력 개방 등에 대한 괸리 부담을 덜어준다. 특히 기업은 SAP ERP 센트럴 컴포넌트 또는 SAP S/4HANA 등을 사용하면서 해당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자체 디지털 경험, 지원 서비스를 통해 준비 단계부터 실제 가동까지 수행할 수 있다. SAP는 사용자가 투자한 내용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도입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하기 위해 제한된 기간 동안 클라우드 이전 비용을
[더테크=전수연 기자] 삼성전자가 2023년 연간 매출 258.94조원, 영업이익 6.57조원을 기록했다. 4분기 연말 성수기 경쟁 심화로 스마트폰 출하량이 감소했지만, 메모리 가격 상승과 디스플레이 제품 판매 호조로 전사 매출은 전 분기 대비 0.6%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매출 67.78조원, 영업이익 2.82조원의 2023년 4분기 실적을 31일 발표했다. 영업이익의 경우 세트 제품 경쟁이 심화되고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 효과가 감소한 가운데 메모리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되며 디스플레이 호실적이 지속돼 전 분기 대비 0.39조원 증가한 2.82조원을 기록했다. 4분기 실적 가운데 DS(Device Solutions) 부문은 매출 21.69조원, 영업이익 –2.18조원을 기록했다. 메모리는 고객사 재고가 정상화되는 가운데 PC, 모바일 제품의 메모리 탑재량이 증가하고 생성형 AI 서버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반의 수요 회복세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를 확대하는 기조 아래 △HBM(High Bandwidth Memory) △DDR5(Double Data Rate 5) △LPDDR5X(Low Power Double Data Rate 5
[더테크=전수연 기자] 지난 18일 삼성전자가 모바일 AI 시대를 내세워 전 세계 8개 도시에 ‘갤럭시 익스피리언스 스페이스(Galaxy Experience Space)’를 운영했다. 해당 공간은 갤럭시 AI를 활용한 통역, 사진·영상 편집 등 다양한 AI 시나리오를 제공했다.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는 올해 열린 CES 2024에서도 ‘일상 속 초연결 AI’를 특히 강조했다. 이 때문에 새로운 갤럭시 시리즈의 AI 활용도가 주목받기 시작했고, 스마트폰에 접목된 AI가 구체적으로 어떤 기능인지 살펴보기 위해 삼성 스토어 홍대에 직접 방문했다. 도착한 삼성 스토어는 외벽부터 내부 전광판마다 전부 ‘GALAXY AI is here’이라는 문구로 도배돼있었다. 갤럭시 신제품의 홍보만큼이나 ‘갤럭시 AI’ 홍보에 적극인 모습이 느껴졌다. 매장의 메인 공간에 배치된 갤럭시S24 신제품은 스마트폰을 들자마자 ‘갤럭시의 AI 기능 예시’를 표시했다. 우선 구글과의 협업을 통해 공개된 ‘서클 투 서치(Circle to Search)’는 검색 중 다른 앱을 켜지 않고 원을 그리거나 손가락으로 하이라이트를 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검색을 지원하는 기능이다. 갤럭시S24에 최근 가장
[더테크=전수연 기자] 한국오라클(Oracle)이 제주항공에 제공한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쳐(OCI)가 클라우드 기반 분석계 구축 1단계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30일 밝혔다. 이를 통해 제주항공은 클라우드 전환, 분석 업무 개선으로 필요에 따라 정형,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오라클은 제주항공이 OCI를 통해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 워크로드를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를 통해 제주항공은 자사 노선 경쟁력과 운항 안전성, 편의성 향상을 목표로 데이터 분석 고도화를 추진해오고 있다. 특히 OCI 기반 엑사데이터(Exadata)의 고성능 자원을 활용하면서 운영 편의성을 통해 방대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앞서 제주항공은 주요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를 오라클 자율운영 데이터 웨어하우스(ADW)로 이관하고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 최적화된 오라클 애널리틱스 클라우드(OAC)를 기반으로 분석하면서 업무를 안정화했다. OAC는 데이터의 시각화와 생성형 AI를 통한 대시보드, 데이터 탐색, 문서 이해, 맥락별 인사이트, 머신러닝 제공 등 전체 분석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솔루션이다. 현재 제주항공은 OAC를 전사 차원의 분석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가 중소기업의 다양하고 진화된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지원하는 새로운 제품을 선보였다. AWS는 중소기업이 요구하는 조건에 따라 전문가와의 협력을 돕는 AWS SMB 컴피턴시(AWS Small and Medium Business Competency)를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AWS SMB 컴피턴시 파트너들은 중소기업의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마이그레이션, 현대화, 보안, 데이터 스토리지, 재해 복구, AI, 머신러닝(ML) 등을 제공한다. 특히 이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아키텍처, 사례 세부 검토를 포함한 AWS 솔루션 기술 검증과 평가도 거친다. 이러한 AWS 컴피턴시 프로그램에 소속된 파트너에는 우선 스마일샤크(SmileShark)가 있다. 스마일샤크 AWS 전문팀은 기업이 클라우드를 성공적으로 탐색하는 데 필요한 지침을 제공한다. 또 맞춤형 솔루션으로 인프라를 최적화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성공을 지원한다. 케이렌트 포드(Caylent Pods)는 설계 모범 사례, 구현, 현대화까지 돕는 클라우드 엔지니어링 전문가 팀이다. 수십 년간 AWS에서 설계된 솔루션을 구축한
[더테크=전수연 기자] KT가 국내 AI 반도체 설계 스타트업 리벨리온의 시리즈B 라운드에 투자하며 동맹을 강화한다. KT그룹의 KT, KT클라우드, KT인베스트먼트는 리벨리온의 시리즈B 라운드에 각각 200억원, 100억원, 30억원을 투자한다고 30일 밝혔다. 리벨리온은 이번 투자유치를 바탕으로 100B AI모델까지 추론할 수 있는 반도체 리벨(REBEL)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리벨리온은 KT AI 하드웨어 분야의 주요 파트너로 국내외 경쟁사 대비 빠른 연산속도와 높은 전력 효율을 가진 NPU(신경망처리장치) 아톰을 KT와 협력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아톰은 KT클라우드의 국내 최초 NPU인프라 서비스 상용화에 기여했으며 KT가 본격화한 초거대 AI 믿음 경량화에도 일부 적용됐다. 이와 함께 KT는 최근 새롭게 주목받는 온디바이스 AI에도 리벨을 적용하는 등 향후 리벨리온에서 출시하는 다양한 AI 반도체 라인업을 적극 활용해 AI 인프라·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그간 KT는 KT클라우드, 리벨리온, 업스테이지, 모레, 콴다 등 초거대 AI 생태계를 대표하는 기업들의 순수 국산 기술 기반 소프트웨어·하드웨어를 아우르는 AI 동맹을 기반으로 AI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