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AI 운영 시스템 기업 베스트 데이터가 백엔드닷AI 개발사이자 국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핵심 참여 기업인 래블업과 전략적 협업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양사는 국가 AI 컨소시엄이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전적으로 국내 인프라에서 학습·배포할 수 있도록 고성능·확장형 데이터 기반을 구축하며 국산 AI 기술 자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백엔드닷AI는 GPU·CPU 리소스를 통합 관리하는 AI 모델 학습·배포·추론 환경으로, 여기에 베스트 AI 운영체제가 결합되면서 고객들은 초대형 모델 실험에 필요한 방대한 데이터·체크포인트·아티팩트를 높은 처리량과 복원력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래블업은 기존 스토리지 인프라가 감당하기 어려운 초거대 AI 워크로드를 해결하기 위해 베스트 데이터를 선택했고, 멀티테넌트 연구 환경에서도 성능 병목 없이 안정적인 처리 기반을 확보했다.
SK텔레콤 소버린 AI 클러스터에서 운영되는 두 기업의 통합 환경은 고성능 GPU 전반에서 자동화된 모델 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국내 연구기관에 학습부터 추론까지 이어지는 일원화된 AI 컴퓨팅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래블업 신정규 대표는 “베스트 AI OS와의 통합으로 대규모 데이터셋과 복잡한 워크로드를 고성능·고신뢰로 처리할 수 있게 됐다”며 “AI 주권성과 데이터 보안을 뒷받침하는 기술적 시너지”라고 평가했다.
백엔드닷AI는 베스트의 DASE 아키텍처와 결합해 대규모 학습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고처리량 데이터 액세스를 제공하며, 단일 글로벌 네임스페이스 ‘베스트 데이터스페이스’를 통해 연구자들은 체크포인트와 데이터셋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이는 국가 컨소시엄 내 협업 효율을 크게 높이는 요소로 꼽힌다.
또한 제로트러스트 기반 데이터 통제, GPU 직접 데이터 경로, 멀티테넌트 보안 구조 등 소버린 AI 인프라가 요구하는 핵심 기능도 확보했다. 모델 실험·배포 과정에서의 지연 문제는 양사의 공동 엔지니어링으로 해결됐으며, 이를 통해 대규모 사전학습과 파인튜닝을 위한 안정적 확장 기반이 마련됐다.
이번 공동 인프라는 업스테이지가 주도하는 한국형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서도 활용되며, 국가 규모의 대형 모델을 국내 기술로 학습·서비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베스트 데이터 CTO 알론 호레브는 “한국이 AI 혁신을 스스로 소유하고 통제하며 가속할 수 있는 단일 패브릭을 구축했다”며 “백엔드닷AI와 베스트 데이터의 조합은 차세대 고성능 AI 인프라의 청사진”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소버린 AI 이니셔티브는 해외 클라우드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기술 기반의 글로벌 경쟁력 있는 기초 모델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베스트 데이터와 래블업의 협력은 이러한 목표를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핵심 파트너십으로 자리 잡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