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로보월드] 테솔로, 휴머노이드 로봇 ‘한·중·일·미 통합 시연’

글로벌 협력으로 로봇 손 표준화 앞장

 

[더테크 이지영 기자]  국내 로봇 그리퍼 전문기업 테솔로가 주도하는 ‘한·중·일·미 휴머노이드 통합 시연’이 5일부터 나흘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로보월드 2025’에서 공개된다. 

 

이번 시연은 테솔로의 휴머노이드 로봇 핸드 DG-5F를 중심으로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국의 대표 휴머노이드 플랫폼과 실시간으로 연동·구동하는 형태로 진행됐다. 테솔로는 미국 로볼리전트 와의 기술 협력 양해각서(MOU)를 바탕으로, 양사의 기술을 결합한 AI 기반 양팔 휴머노이드 로봇 ‘로빈’을 통해 DG-5F의 정밀 조작 성능을 선보였다.

 

 

또한 일본 에내틱의 오픈소스 로봇 팔 ‘오픈암, 중국 PND보틱스의 상반신 휴머노이드 플랫폼 ‘아담-유'를 실제 도입해 DG-5F를 각각 장착·구동하는 통합 데모를 구현했다. 이는 구조와 제어 시스템이 다른 국가별 로봇들이 하나의 로봇 손 기술을 통해 공통으로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글로벌 휴머노이드 산업의 상호운용성과 기술 표준화를 상징적으로 제시한 사례로 평가된다.

 

테솔로의 DG-5F는 인간의 손 구조를 정밀하게 모사한 다관절 로봇 핸드로, 자체 개발한 고정밀 다이렉트 드라이브 구동 기술과 정밀 제어 구조를 기반으로 유연하면서도 강력한 파지 동작을 구현한다. 또한 F/T 센서, 촉각 센서 등 외부 모듈과 호환 가능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구조를 채택해 다양한 휴머노이드 플랫폼과의 통합이 용이하다.

 

테솔로는 이번 로보월드에서 DG-5F뿐 아니라 DG-4F, 산업·연구용 DG-3F 시리즈(DG-3F-M, DG-3F-B), 그리고 신규 공개 모델인 DG-2F·DG-1F를 함께 선보였다.

 

 

테솔로는 이번 로보월드에서 DG-5F뿐 아니라 DG-4F, 산업·연구용 DG-3F 시리즈(DG-3F-M, DG-3F-B), 그리고 신규 공개 모델인 DG-2F·DG-1F를 함께 선보였다.

 

이들 델토 그리퍼 DG 시리즈는 손가락 개수와 자유도에 따라 1지부터 5지까지 세분화된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고강성·고내구성 설계와 독자적 구동 기술로 고속·고정밀 조작 성능을 제공한다.

 

시장조사기관 퓨처 마켓 인사이트에 따르면,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은 2025년 약 78억 달러에서 2035년 1,8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한국·중국·일본은 각각 정밀 제어·제조 자동화·센서 융합 기술 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다.

 

테솔로 관계자는 “국가 간 기술 협력을 통해 로봇의 ‘손’을 중심으로 세계 휴머노이드 기술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산업의 국제 표준화 흐름을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