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회장 “AI·한일 경제연대·메가샌드박스…한국 경제, 새로운 성장 공식 찾아야”

보호무역 시대, 기술·인재·규제 혁신 강조

 

[더테크 서명수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해법으로 AI 투자, 한일 경제연대, 성장지향형 규제 전환, 해외 인재 유입과 메가샌드박스 도입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26일 유튜브 채널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압권이 공동 진행한 인터뷰에서 오는 APEC CEO 서밋의 의미와 한국 경제의 방향성을 언급했다. 그는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APEC 회원국 정상들이 한자리에 모여 향후 미·중 관계의 향방을 가늠할 자리”라며 “보호무역주의 시대의 해법을 논의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대한상의 회장으로서 APEC CEO 서밋 의장을 맡고 있으며, 이번 행사는 글로벌 기업인 1700여 명이 참여하는 최대 규모 경제 포럼으로 열린다. 그는 “과거처럼 WTO 체제 아래 자유무역이 회복되긴 어렵다”며 “1960년대부터 이어져온 수출 중심 성장 공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 우려를 벗어나려면 새로운 성장 방정식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제 블록화와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해법으로 한일 경제연대를 꼽았다. 최 회장은 “일본과 협력하면 약 6조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수 있고, 세계 4위 수준의 경제 블록이 만들어질 것”이라며 “이를 통해 외부 충격에 대응할 수 있는 규모의 경제를 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중소기업을 무조건 보호하는 낡은 정책에서 벗어나, 성장하는 기업을 적극 지원하는 규제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별 핵심 공급망 강화와 반도체 등 전략 산업 중심의 정책 설계 필요성도 언급했다.

 

AI 분야에 대해서는 “미국과 중국의 AI 경쟁은 냉전시대 군비 경쟁을 연상케 한다”며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있더라도 AI 투자는 반드시 이어가야 할 영역”이라고 말했다. 그는 “AI에서 뒤처지는 것은 국가 경쟁력의 리스크로 직결된다”고 덧붙였다.

 

중장기적으로는 해외 인재 유입과 ‘메가샌드박스’ 도입을 통한 혁신 생태계 구축을 제안했다. 최 회장은 “지역에 대규모 AI 실험장과 테스트 베드를 조성하면 파급력이 클 것”이라며 “해외 인재가 일정 기간 국내에 체류하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그린카드 제도 같은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제조업 중심의 구조에서 벗어나 마진이 높은 소프트 상품과 서비스 중심 경제로 전환해야 한다”며, 한식 산업화 등 ‘소프트머니’ 발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끝으로 그는 기업인의 역할에 대해 “고(故) 최종현 선대회장께서 늘 ‘국가 경제에 기여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며 “기업은 단순히 경쟁을 통해 성장하는 주체가 아니라 공동체와 함께 사회에 이바지해야 한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