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AI CIC’ 출범… 전사 AI 역량 결집해 2030년 매출 5조 도전

CIC 대표는 유영상 CEO가 겸임
전사적 AI 대전환 가속화

 

[더테크 서명수 기자]  SK텔레콤이 전사 AI 역량을 결집해 속도감 있는 AI 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새로운 사내회사 형태 조직인 AI CIC(Company in Company)를 출범시켰다. 

 

유영상 CEO는 25일 열린 전 구성원 대상 타운홀 미팅에서 “급변하는 AI 환경은 위기이자 기회”라며 “AI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내부 혁신과 외부 사업 모두에서 빠른 속도의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AI CIC는 이를 위한 정예화된 조직 체계”라고 설명했다.

 

AI CIC는 SK텔레콤의 AI 사업을 주도할 핵심 조직이자, 나아가 SK그룹 전체의 AI 사업을 리드하는 역할을 맡는다. 유 CEO가 직접 대표를 겸임하며, 세부 조직 개편은 오는 10월 말 시행된다.

 

새 조직은 ▲에이닷(A.) ▲에이닷 비즈(A. Biz) ▲AI 데이터센터(DC) ▲글로벌 AI 제휴·투자 ▲AI R&D ▲메시징·인증 사업 등을 통합 운영한다. 이를 통해 사업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빠르게 변화하는 AI 시장 환경에 기민하게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SK텔레콤은 향후 5년간 약 5조원을 AI 분야에 투자해 2030년까지 연 매출 5조원 이상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AI B2C, AI B2B, AI 인프라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독자 생존 가능한 수익 모델을 마련할 계획이다.

 

‘AI B2C’는 에이닷을 중심으로 국내외 가입자 기반을 확대하고, ‘AI B2B’는 에이전틱(Agentic) AI 서비스와 제조업 중심의 레퍼런스를 확보해 사업 확장을 가속화한다. 또한 ‘AI DC’는 글로벌 빅테크를 타깃으로 데이터센터 유치와 정부 사업 참여를 통해 국내 최고 수준의 사업자로 자리매김할 방침이다.

 

내부적으로는 전사 시스템, 조직 문화, 구성원 역량 강화 등 **AX(AI Transformation)**을 통해 AI 중심의 혁신을 추진한다. MNO 사업에서는 업무 프로세스 최적화와 고객 접점 혁신, 네트워크 사업에서는 운영 자동화와 지능형 서비스 안정성 강화를 추진한다. 또한 에이닷 비즈를 사내 업무에 적극 활용하고, AI 프론티어·AI 보드 등 제도를 통해 AI 중심 문화를 확산시킬 계획이다.

 

유 CEO는 “SK텔레콤은 지난 3년간 에이닷 1천만 가입자 확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울산 AI 데이터센터 착수,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 등 성과를 만들었다”며 “AI CIC를 중심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AI 사업자로 성장하고, 국가 AI 전략 실현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