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 팩토리’ 현장 간담회 개최…제조업 AI 도입률 40% 목표

구윤철 부총리 "AI 제조혁신은 생존 전략"

 

[더테크 서명수 기자]  정부가 제조업 혁신을 위한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 간담회’를 이어가고 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오전 대전 KAIST AI 팩토리 랩에서 대표 기업, 전문가, 관계부처와 함께 두 번째 간담회를 열고 제조업의 AI 기반 혁신 전략을 논의했다.

 

정부는 지난달 발표한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을 통해 AI 대전환 15대 선도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 중이며, 이번 행사는 지난 12일 열린 AI 로봇·자동차 분야 간담회에 이은 두 번째 자리다.

 

구 부총리는 “AI 기반 제조공정 혁신은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역량에 AI 기술을 결합해 글로벌 선도를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AI 팩토리를 통한 생산성 향상뿐 아니라 다품종 유연생산 시스템 구축, 탄소 감축, 작업장 안전 확보 등 전방위적 혁신 가능성을 제시하며 “우리 제조업을 A부터 Z까지 탈바꿈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AI 제조 분야가 아직 세계적으로 뚜렷한 강자가 없는 만큼 지금이 선점 기회라는 데에 공감했다. 현장 기업들은 AI를 활용한 제조공정 혁신 사례를 공유하며 R&D와 실증 지원 확대를 정부에 요청했다.

 

정부는 현재 5% 미만에 불과한 제조기업의 AI 도입률을 2030년까지 4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2024년 26개 수준인 AI 팩토리 선도공장을 2030년까지 500개로 확대하고, 최대 10조 원 규모의 금융지원과 스마트공장 예산 증액, 중소기업 세제지원 강화를 추진한다. 또한 AI 팩토리 특화모델과 초정밀 거대행동모델(LAM) 기술 개발, 글로벌 표준 선점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등 핵심 R&D도 병행할 방침이다.

 

이번 간담회는 ‘청년 주간’을 맞아 KAIST 청년 연구자들도 함께했다. 연구자들은 AI 혁신의 출발점이 연구현장임을 강조하며 자유로운 연구 환경 조성과 지원 확대를 요청했다. 정부는 AI·AX 대학원 확대, 생성형 AI 연구과제 확충, 전문인력 1만1천 명 양성 등을 통해 청년 연구자의 연구 활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제기된 의견을 향후 정책과 제도 개선에 반영할 계획이며, AI 인재, AI 선박·드론 등 분야별 현장 간담회를 이어가며 맞춤형 지원 방안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