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가동 멈춤 없다” 현대차·기아, 첨단 통신 기술로 스마트 공장 기술 공개

와이파이6·P-5G 통합 단말기 개발

 

[더테크 서명수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17일 수백 대 로봇이 투입되는 스마트 공장이 원활하게 가동될 수 있는 최첨단 무선 통신 기술을 공개했다.

 

현대차·기아는 ‘와이파이 6’와 ‘P-5G(Private-5G)’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무선 연결 단말기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한국과 미국에 특허를 출원했다. 해당 기술은 지난해 말부터 현대차 울산 공장과 미국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 적용됐다.

 

현대차·기아 공장에서는 생산 로봇을 비롯해 부품 운반용 AGV(무인운반차), AMR(자율이동로봇) 등 물류 로봇과,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스팟’ 같은 위험 탐지 로봇까지 다양한 무선 통신 기반 첨단 로봇이 운영되고 있다. 이들 로봇은 단순히 정해진 대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상황에 실시간으로 대응해야 하며, 정확한 동선과 시점에 따라 작동하기 위해 안정적인 무선 통신이 필수적이다.

 

 

기존에는 와이파이와 모바일 네트워크를 각각 처리하는 단말기가 별도로 존재해 하나를 선택해 로봇에 탑재해야 했고, 이 경우 통신 장애가 발생하면 로봇이 멈추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생산 공장이 빠르게 자동화되면서 늘어나는 로봇들의 통신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고, 트래픽 집중으로 인한 통신망 장애를 방지하기 위한 채널 다양화와 안정화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현대차·기아는 ‘와이파이 6’와 ‘P-5G’ 일체형 단말기를 개발해 단말기 수, 부피, 무게,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또한 P-5G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와이파이 6 방식으로 전환해 통신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해 혹시 모를 통신 중단 문제를 해결했다.

 

단말기 개발 과정에서는 협력사와 공동 개발을 통해 핵심 기술을 제공하고, 협력사가 개발한 API를 활용해 통신 데이터를 수집·가공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도 구축했다. 이를 통해 물류 설비의 통신 이상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협력사는 개발된 단말기를 다른 기업에도 공급할 수 있게 됐다.

 

현대차·기아는 현재 와이파이 6보다 속도와 안정성이 뛰어난 ‘와이파이 7’ 기반 통합형 단말기 기술도 개발 중이다. 내년 초 개발을 완료해 국내외 공장에 설치하면 생산 효율성을 한층 더 극대화할 계획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