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올해 기준금리, 3.75~4% 전망”

‘2023년 기준금리 예측과 정책 시사점’ 분석
미 금리 추가인상 가능성·국내물가 불안 한몫

[더테크 뉴스]  현재 3.5%인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상반기 3.75%, 연말 3.75~4% 수준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23일 ‘2023년 기준금리 예측과 정책 시사점’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국내 물가 불안으로 우리나라 기준금리 인상 압력이 높다고 봤다.

 

둔화세를 보이던 미국 소비자 물가와 생산자 물가는 올해 1월 재차 상승하는 등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현재 4.75%인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개연성이 크다.

 

국내 물가 불안도 기준금리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이다. 지난해 7월 6.3% 이후 둔화하던 소비자 물가는 올해 1월 5.2%로 재차 상승했다. 기조적 물가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도 지난해 8월 4.4% 이후 5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올해 1월 기록한 근원물가 상승률 5%는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 2월 5.2% 이후 최대치다.

 

한경연은 근원물가가 안정되지 못할 경우 앞으로 국제 원자재 가격이 안정돼도 소비자 물가는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한경연은 추가적인 국내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하면서도 침체된 실물경제에 대한 악영향을 고려했을 때 인상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그동안 우리 경제는 외환위기, 코로나 등 초대형 위기를 제외하고 2%대 성장률을 유지했다. 다만 올해는 이를 밑도는 1%대 저성장이 예상되는 만큼 경제사정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EU 기준금리와 상관성 더 높아
한경연은 어떤 변수가 한국의 기준금리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기 위해 나섰다. 이어 2001년 1분기~2022년 4분기 자료를 활용했다.

 

구체적으로 ▲한국 기준금리와 경제성장률 ▲소비자 물가 상승률 ▲원화 기준 원유·천연가스 수입물가 상승률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 ▲미국·EU·영국 기준금리 간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한국의 기준금리가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 변수는 EU 기준금리였다. 다음으로 영국 기준금리, 미국 기준금리, 소비자 물가 상승률, 경제성장률 순이었다. 한국의 기준금리는 미국보다 EU의 기준금리와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한경연은 한국은행이 그간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미국의 기준금리를 일방적으로 추종하지 않았다며 주요 경쟁국들의 기준금리 수준, 물가, 성장률 등 국내외 경제상황을 종합해서 감안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경쟁국 금리인상 여부 등 종합고려 필요
한경연은 2001년 1분기~2022년 4분기 자료를 바탕으로 올해 기준금리를 예측했다. 자기상관 이동평균 모형 등 10개 모형으로 추정한 반기별 국내 기준금리 평균 수준은 상반기 말 3.75%, 연말 4%로 나타났다.

 

이는 10개 모형 기준금리 추정평균치가 상반기 말 3.75%, 연말 4.01%였지만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인상 단위가 0.25%임을 감안했다.

 

한경연은 10개 모형 중 한국의 기준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생변수를 감안한 5개 모형만 따로 구분했다.

 

국내 기준금리 수준을 추정할 경우 상반기 3.75%, 연말 3.75%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상반기 중 한 차례만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하반기에는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없을 것으로 예측했다.

 

한경연은 석유 등 국제원자재 가격과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안정돼 주요국들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없을 때를 가정했다. 이 경우 국내 기준금리는 상반기 3.75%로 인상돼 하반기에도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그렇지 못할 때 하반기에도 기준금리는 0.25% 선에서 한 차례 더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