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우주경제 동향과 주요 이슈 그리고 로봇의 역할 등을 논의하는 세미나가 열렸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우주태양광을 비롯한 미래우주경제와 로봇의 역할을 논의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한국로봇산업협회는 우주로봇포럼 송년 세미나를 진행했다고 20일 밝혔다. 협회는 뉴스페이스 시대를 맞아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우주로봇 분야의 산학연관 교류협력을 위해 지난 8월 우주로봇포럼을 발족했다. 포럼은 여러 차례 세미나를 통해 우주경제 동향과 주요 이슈, 우주로봇의 기술 동향 등을 논의해오며 플랫폼의 역할을 충실히 해왔다. 지난 10월 진행된 2023 로보월드 국제로봇비즈니스컨퍼런스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에 소속된 우주로봇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한 우주로봇 트랙을 진행해 우주로봇을 일반 대중에게 소개했다. 이번 세미나는 최민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박사의 ‘우주태양광발전과 미래우주경제’ 발제에 이은 전체 참석자들의 토론으로 진행됐다. 최박사는 발제를 통해 ”우주태양광발전은 최근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 등의 차원에서 세계적으로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발사비용을 절약하는 로켓 재사용과 더불어 우주로봇은 ‘우주내 서비스, 조
[더테크=문용필 기자] 한국로봇산업협회가 우주로봇 분야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관련 전문가들의 교류협력 플랫폼을 구축했다. 향후 국내 우주로봇 발전을 위한 ‘싱크탱크’로 발돋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국로봇산업협회는 29일 ‘우주로봇포럼’ 발족식을 가졌다. LG전자와 KT샛, 성균관대, 한양대, 국방과학연구소, 자동차연구원, 원자력연구원, 항공우주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의 기관에서 10여명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포럼 의장에는 한국로봇산업협회 전문위원인 김선우 성균관대 교수가, 간사에는 전한구 한국로봇협회 본부장이 선출됐다. 협회가 포럼을 발족시킨 이유는 국내에서 아직까지 우주로봇에 대한 체계적 논의가 미흡한 데다가 로봇산업계에서도 관심이 높지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우주 개발의 패러다임이 민간과 정부가 협력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뉴스페이스로 급속히 전환됨에 따라 위성과 인터넷, 달 탐사 및 우주 자원 확보 등을 둘러싸고 각국 정부 및 기업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고 협회는 설명했다. 협회 관계자는 더테크에 “우주경제와 관련한 이슈들이 나오는 상황에서 로봇 역시 우주경제의 한 축을 담당할 수 있다고 봤다”며 “새로운 우주로봇 생태계와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