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Tech Point’는 금주의 소식을 톺아보고 정리한 뉴스 큐레이션 콘텐츠입니다. 한 주를 돌아보며 독자 여러분께 한 번 더 알려드리고 싶은 소식과 그 외 이슈들을 함께 모아봤습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6월 3주차 ‘주간 Tech Point’는 애플(Apple)의 연례 세계 개발자 회의 2024(이하 WWDC 2024) 소식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애플은 1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에 있는 애플 파크 본사에서 WWDC 2024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WWDC 2024에서는 자사 제품 전반에 AI 기능을 적용한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다뤘습니다. 애플은 자사의 SoC인 애플 실리콘, 비공개 클라우드 컴퓨팅을 융합한 형태로 AI를 구동해 개인정보, 보안에 방점을 찍은 서비스를 예고했습니다. 또한 오픈AI의 최신 모델 GPT-4o를 시스템 전반에 통합해 전문 지식, 이미지, 문서 이해 역량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와 함께 AI 사용에 대해 기기 내에서 처리하는 온디바이스 방식과 필요에 따라 비공개 클라우드 컴퓨팅을 지원해 성능을 조정하는 방식의 AI 시스템을 예고했습니다. 해당 서버는 독립적 전문가 집단이 서버에서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의 AI 반도체 계열사 사피온과 리벨리온이 합병을 추진한다. 국내를 대표하는 AI 반도체 기업의 결합으로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력 강화가 기대된다. SK텔레콤은 12일 SKT의 계열사 사피온코리아와 리벨리온 간의 합병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합병은 국내 AI 반도체 기업 간 대승적 통합을 통해 글로벌 AI 인프라 전쟁에 나설 국가대표 기업을 만들겠다는데 양사가 합의한 결과라는 설명이다. 현재 AI 작업을 위한 NPU(신경망처리장치) 시장은 산업 전반의 AI 접목과 함께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세계적 기업 간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양사는 향후 2~3년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 승기를 잡을 ‘골든타임’으로 보고 빠른 합병이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주주동의 등 필요한 절차를 거쳐 3분기 중으로 합병을 마무리하고 연내 통합법인을 출범할 계획이다. 합병법인은 시스템 반도체 산업의 특성상 대기업보다 스타트업이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리벨리온이 경영을 책임질 예정이다. 합병 이후 SKT는 전략적 투자자로 합병법인의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진출과 대한민국의 AI 반도체 경쟁력
[더테크=조재호 기자] 사피온의 차세대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X330이 주요 고객사들을 대상으로 시제품 테스트와 신뢰성 검증 작업을 완료했다. 사피온은 21일 자사의 NPU(신경망처리장치) X330이 슈퍼마이크로컴퓨터의 데이터센터 서버에 장착할 수 있는 AI 반도체로 검증받았다고 밝혔다. 회사가 슈퍼마이크로의 적격성 평가(Validation)를 통과한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이번 X330의 적격성 검증에 대해 사피온은 자사의 AI 반도체에 대한 기술력과 품질을 다시 한번 시장으로부터 인정받은 결과라고 밝혔다. 지난해 3월 사피온은 자사의 AI 반도체인 X220 Enterprise와 Compact 카드 2종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슈퍼마이크로 서버 적격성 평가를 진행해 통과했다. 류수정 사피온 대표는 “차세대 AI 반도체 X330이 전작에 이어 서버 적격성 검증을 받아 향후 데이터센터에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사피온은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 슈퍼마이크로와 협력해 고성능 서버를 위한 최적의 AI 반도체로 시장 혁신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피온이 지난해 11월 출시한 X330은 전작인 X220 대비 4배 이상의 연산 성
[더테크=이지영 기자] 사피온이 프로티엔텍스의 ML 기반 솔루션을 도입해 차세대 반도체의 품질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사피온은 9일 첨단 전자제품 딥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티엔텍스와 협력해 차세대 AI 반도체에 수명주기 모니터링 솔루션을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프로티엔텍스의 수명주기 모니터링 솔루션은 프로티엔텍스ML 기반 어플리케이션으로 원격으로 측정된 상태와 성능에 기반해 칩 내부의 심층적인 데이터를 제공한다. 사피온은 이를 기반으로 차세대 반도체의 전력 효율 최적화와 출시 기간 단축, 품질에 대한 신뢰성 확보 등이 가능할 전망이다. 류수정 사피온 대표는 “사피온은 전력 비용 효율성을 갖춘 AI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이번 협력을 통해 프로세서의 성능을 높이고 전력 효율을 최적화 하는ㄷ ᅟᅩᆼ시에 광범위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사피온이 일본 최대 통신사인 NTT 도코모의 자회사인 도코모 이노베이션즈와 AI 서비스 확대를 위해 협력한다. 사피온은 26일 토코모 이노베이션스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위한 AI 애플리케이션 개발 등에 사피온 반도체를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기술검증(PoC) 공동 수행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협력의 일환으로 사피온이 최근 출시한 AI 반도체 X330을 기반으로 자체 맞춤형 모델 및 LLM(거대언어모델) 검증에 착수했다. 도코모 이노베이션스는 사피온 X220의 성능을 높이 평가해 이번 협력을 결정했다. 도코모 이노베이션스의 AI 서비스는 의료, 금융, 보험, 콜센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음성↔문자 변환, 자동응답 등으로 활용된다. 사피온 X330은 기존 X220보다 4배 이상의 성능을 보이면서 전력 소모량은 절반 이하로 낮춘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다. 사피온은 LLM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성능이 향상된 X330을 통해 AI 서비스 모델 개발 기업과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사피온은 현재 주요 고객사들을 대상으로 X330 시제품 테스트와 신뢰성 검증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수요에 맞춰 양산을 진행할 예정이
[더테크=조재호 기자] 사피온과 어드밴텍이 AI 엣지 컴퓨팅 시장 공략을 위한 국가 정책 사업 대상자로 선정됐다. 사피온은 16일 어드밴텍 코리아와 함께 수요 연계를 통한 시스템 반도체 시제품 제작 지원사업인 ‘콤파스(COMPASS)’ 시제품 제작 지원 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양사는 협력을 통해 고성능 엣지(Edge) AI 시장 공략에 나선다. 엣지 AI는 서비스가 필요한 장치나 제품에서 인공지능 응용이 직접 구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클라우드 시스템과 비교해 엣지 AI는 저지연 실시간 서비스 및 개인 정보 보안 강화 등에서 유리하다. 다른 말로는 온디바이스(On-Device)라고도 혹은 이 둘을 합쳐 ‘엣지 온디바이스’로도 불린다. 콤파스는 산업통산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운영하고 한국반도체연구조합이 주관하는 수요 연계를 통한 시스템 반도체 시제품 제작 지원사업인데,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 수요가 있는 기업과 기술을 가진 반도체 공급 기업을 매칭하고 상용화를 위한 시젬품 개발에 필요한 사업비를 지원한다. 사피온은 데이터센터에 이어 엣지 분야에서도 사업을 확대할 계획으로 어드밴텍과 AI 엣지 컴퓨팅용 서버 개발을 위해 협력한다. 사피온은 AI 반
[더테크=조재호 기자] 사피온은 자율주행 추론용 Automotive 향 NPU(신경망처리장치) IP가 국제 평가인증기관인 DNV(Det Norske Veritas)로부터 ISO 26262 인증을 획득했다고 1일 밝혔다. DNV는 글로벌 보증 및 리스크 관리 전문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산업 표준을 설정하고 관리한다. 사피온은 자율주행 차량이 요구하는 추론 요건 및 안전 설계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ISO26262 기준에 맞춰 NPU IP를 개발했다. 사피온의 자율주행 자동차용 NPU IP는 내년에 공개될 예정이다. 사피온은 데이터센터용 X330과 신경망 처리 관련 코어 아키텍처는 동일하지만 기능안전과 관련 요구사항에 맞춰 안정 기능(Safety Feature)이 다수 추가됐고 차량용 실시간 처리에 적합하도록 설계 구성을 변경했다. 류수정 사피온 대표는 “Automotive 향 NPU IP가 ISO26262 인증을 획득해 자율주행환경에서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자사의 노력을 인증받는 계기가 됐다”며 “사피온은 자동차 업계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면서 확장성과 효율성을 갖춘 AI 추론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며 미래 모빌리티에 발맞춰서 가능성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
[더테크=조재호 기자] 사피온이 신규 AI 반도체 X330이 개발자 편의성을 높인 SW 풀스택을 함께 제공한다. 이를 위해 기존 X220 기반의 서비스 검증과 동시에 데이터를 확보해 내년부터 X330에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사피온은 신규 데이터센터용 인공지능(AI) 반도체 ‘X330’의 개발자 편의성을 높인 SW 풀스택을 함께 제공할 예정이라고 24일 밝혔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울러 제공해 편의성을 향상한 종합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표다. 사피온는 올해 기존 제품인 X220 기반의 NPU Farm 구축 및 공공·민간 실증 서비스 검증을 진행하고 실제 상용서비스에 도입되는 사례를 늘려가고 있다. 2024년에는 X330을 적용해 확장할 예정이다. K-클라우드 사업인 NPU Farm 사업에서 NHN Cloud는 올해 X220을 파일럿 인프라로 도입했다. 해당 인프라를 바탕으로 클라우드 상품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노타AI와 함께 ITS 스마트 교차로 솔루션 서비스를 실증하고 있다. 2024년 사피온은 AI 반도체 기업들 가운데 최대 규모인 22PF(페타플롭스)에 해당하는 차세대 칩을 공급하고 공공과 민간 분야의 다양한 AI 서비스를 실증
‘주간 Tech Point’는 금주의 소식을 톺아보고 정리한 뉴스 큐레이션 콘텐츠입니다. 한 주를 돌아보며 독자여러분께 한번 더 알려드리고 싶은 소식과 그 외 이슈들을 함께 모아봤습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11월 3주차 ‘주간 Tech Point’는 인공지능(AI) 반도체 제조 기업 엔비디아의 새로운 그래픽처리장치(GPU) 소식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엔비디아는 생성형 AI의 토대가 되는 초거대언어모델(LLM) 훈련을 위한 GPU ‘H200’을 13일 공개했습니다. H200은 AI 기업이 물량 확보 전쟁일 벌이고 있는 하드웨어 H100의 후속 모델입니다. H200은 141GB(기가바이트)의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3가 탑재됩니다. HBM은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데이터 처리 속도를 끌어올린 고성능 메모리로 기존보다 발전된 텍스트, 이미지 처리 속도를 지녔습니다. 또 H200은 메타의 LLM인 라마 2(Llama 2)로 테스트한 결과 H100보다 2배 이상의 데이처 처리 속도를 보입니다. 특히 H100과 호환성을 유지해 H100을 운용 중인 기업은 새로운 칩을 활용하기 위해 서버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관련기사:
[더테크=조재호 기자] SK그룹의 기술 역량을 선보이고 산업 생태계 조성과 확장을 알린 테크 컨퍼런스가 막을 올렸다. 이번 컨퍼런스는 발표 기술의 60%가 AI로 구성될 정도로 글로벌 AI 컴퍼니로 성장중인 SKT를 중심으로 SK그룹의 비전과 자신감을 표현한 무대였다. SK텔레콤은 SK그룹 17개사가 준비한 192개의 기술을 선보이는 ‘‘SK 테크 서밋 2023’을 16일부터 17일까지 양일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어디에나 존재하는 AI(AI Everywhere for a better future)'를 주제로 이달 16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된다. 이전 행사에 비해 크게 달라진 점은 행사의 규모감과 메인 주제로 다뤄진 AI다. SK그룹이 선보인 기술의 60% 이상을 AI로 구성했다. 행사장도 코엑스로 옮겨 1~3층에 걸쳐 다채롭게 꾸며졌다. 유영상 SKT 사장은 SK그룹의 ICT 위원장을 겸하고 있는데 이번 서밋 개회사를 통해 “생성형 AI가 촉발하고있는 변화는 우리 모두에게 위기보다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SK가 AI를 통해 만들어가는 현재와 미래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SK텔레콤의 반도체사 사피온이 AI 서비스 모델 개발 기업과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을 위한 새로운 AI 반도체 ‘X330’을 공개했다. X330은 산업 전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어 다양한 기술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피온은 서울 중구 SK T-타워에서 차세대 추론용 NPU AI칩 ‘X330’을 발표하는 간담회를 15일 개최했다. 간담회 시작과 함께 원상호 사피온 팀장은 현재까지 사피온의 사업 실적과 성과를 언급했다. 그는 “사피온은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미디어, 파이낸스 등 AI 서비스가 필요한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며 “국산 AI 반도체 기반 SK텔레콤의 MPU(마이크로프로세서 장치) 사업까지 범위를 확대하고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 의료 등 다양한 영역에서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이후 류수정 사피온 대표는 사피온의 비전을 설명했다. 사피온은 SK텔레콤이 내세운 AI 피라미드 내에서 AI와 칩셋을 담당하며 핵심 기술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또 K-AI 얼라이언스를 통해 다양한 회사와의 협력을 추진 중이다. (관련기사: SKT ‘K-AI 얼라이언스 확장’ 총 16개사로 확대) (관련기사: [현장]AI 컴퍼니 위한 SKT 전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자체 개발한 에이닷과 앤트로픽·코난 등과 협력한 LLM을 활용해 엔터프라이즈 AI 사업을 추진한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을 필두로 다양한 기업들이 LLM(Large Language Model, 거대 언어 모델) 기반의 사업을 전개하면서 치열한 경쟁이 예고된 상황이다. SKT은 생성형 AI 시장 공략을 위한 ‘멀티 LLM 전략’을 23일 발표했다. 기업과 공공기관 등의 요구에 맞춰 △ 대화 및 고객센터 등 통신사 기반 서비스를 중심으로 자체 개발해온 에이닷 LLM △ 윤리적 답변 및 대용량 텍스트 입력에 강점 있는 앤트로픽(Anthropic)의 LLM △ 한국어 데이터가 풍부한 코난 LLM 등을 조합해 고객 맞춤형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 및 사업 준비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에이닷부터 클로드까지, SKT의 AI컴퍼니 체질개선 ) 우선 SKT의 자체 LLM인 에이닷의 경우, 8월부터 엔터프라이즈(Enterprise)용 기본모델(Foundation Model)을 출시하고 고객사 대상 모델을 학습해 최적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본모델은 문서 요약이나 생성, Q&A 등을 진행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