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지영 기자] 올인원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캔바(Canva)가 전 세계 2억 4천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자국어로 손쉽게 디자인을 기획, 생성, 편집할 수 있도록 지원 범위를 확대한다고 24일 밝혔다. 캔바는 지난 4월 공개한 대화형 창작 파트너 ‘캔바 AI(Canva AI)’의 글로벌 확대를 발표하며, 기존 영어 중심에서 한국어를 포함한 총 17개 언어를 지원하는 다국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자는 문화적 맥락이 반영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으며, 누구나 AI를 통해 아이디어를 쉽게 확장할 수 있게 됐다. 캔바는 이번에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아랍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 16개 신규 언어를 추가 지원하며 총 31개 지역을 새롭게 아우른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AI를 활용해 모국어로 창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지 맞춤형 디자인 자산과 결과물을 활용할 수 있다. 캐머런 애덤스 캔바 공동 창립자 겸 최고 제품 책임자는 “2억 4천만 명 이상의 캔바 사용자 대다수는 영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한다”며 “캔바가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이유 중 하나는 각 지역에 맞는 로컬 제품을 만들기 위해 세심한 노력을 기울여왔기
[더테크 이지영 기자] 올인원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캔바(Canva)가 국내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페이를 신규 결제 수단으로 추가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로 국내 이용자들은 PC와 모바일 웹 환경에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국내 신용·체크카드를 활용해 캔바 프로, 팀용 캔바, 기업용 캔바 등 유료 구독 서비스를 결제할 수 있다. 이는 기존 글로벌 결제 방식에 더해 한국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결제 환경을 제공, 프리미엄 기능 접근성을 한층 강화한 조치다. 캔바 관계자는 “국내 이용자들에게 친숙하고 보편적인 결제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결제 과정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개인은 물론 팀 단위 협업 경험까지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치는 최근 1년간 국내 월간 활성 사용자가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한국 시장에서의 성장세를 반영한 것이다. 캔바는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약 10만 개의 한국형 템플릿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 창작자 생태계를 위한 다양한 리소스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올해 초에는 AI 기반 디자인 도구를 포함한 플랫폼 업그레이드 버전 ‘비주얼 스위트 2.0'을 공개했다. 여기에는 데이터를 시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