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로봇의 현재를 바라볼 수 있는 ‘2023 로보월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블루오션 테크미디어’ <더테크>는 경기도 일산 킨텍스 로보월드 현장을 찾아 참가 기업들의 목소리, 그리고 이들 기업의 다양한 기술과 제품들을 독자여러분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국내 로봇 산업의 미래를 조망해 보시기 바랍니다. [더테크=문용필 기자] 아이지는 본래 스마트팩토리에 특화된 회사다. 제조와 설계, 그리고 교육서비스까지 제공한다. 반도체 센서 응용 실습장비까지 만드는 회사이니 다재다능하다고 볼 수 있다. 아이지는 로봇 기업이기도 하다. 산업용 로봇과 협동로봇, 자율주행 로봇 등의 핵심 솔루션을 활용해 산업현장에서 자동화 솔루션과 로봇 활용 공정 개선사업에 나서고 있고 로봇인력 양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 시스템도 공급하고 있다. 즉,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모두 되는’ 기업이라는 이야기다. 이런 아이지가 ‘2023 로보월드’에서 선보인 제품은 뜻밖에도 서빙 로봇과 물류 로봇, 청소 로봇과 안내 로봇 등 서비스 로봇이다. 부스에서 만난 회사 관계자는 “최근 서비스 로봇 분야를 시작하면서 로보월드에 참여하게 됐다”며 “이제 막 (서비스 로봇을
[더테크=조재호 기자] 로봇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볼 수 있는 ‘2023 로보월드’가 11일부터 14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진행 중이다. 300여개 사, 800여 부스 규모로 치러지는 올해 로보월드는 제조용부터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로봇들을 만나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로봇비지니스 컨퍼런스와 국제로봇콘테스트 등 다양한 행사가 함께 개최된다. 아울러 참가기업들의 비즈니스 기회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구매 상담회와 신제품‧신기술 홍보 및 신규 판로 개척을 위한 비즈니스 창출기회를 제공하는 ‘라이브 커머스’. 로봇 스타트업의 아이디어 발굴과 투자유치, 사업화, 네트워킹 활성화 지원을 위한 ‘투자유치데이’ 등도 마련된다. 사진은 세이프틱스의 부스 모습.
[더테크=조재호 기자] 로봇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볼 수 있는 ‘2023 로보월드’가 11일부터 14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진행 중이다. 300여개 사, 800여 부스 규모로 치러지는 올해 로보월드는 제조용부터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로봇들을 만나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로봇비지니스 컨퍼런스와 국제로봇콘테스트 등 다양한 행사가 함께 개최된다. 아울러 참가기업들의 비즈니스 기회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구매 상담회와 신제품‧신기술 홍보 및 신규 판로 개척을 위한 비즈니스 창출기회를 제공하는 ‘라이브 커머스’. 로봇 스타트업의 아이디어 발굴과 투자유치, 사업화, 네트워킹 활성화 지원을 위한 ‘투자유치데이’ 등도 마련된다. 사진은 R-BIZ 행사의 우주탐사 로봇 챌린지 부스.
[더테크=조재호 기자] 로봇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볼 수 있는 ‘2023 로보월드’가 11일부터 14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진행 중이다. 300여개 사, 800여 부스 규모로 치러지는 올해 로보월드는 제조용부터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로봇들을 만나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로봇비지니스 컨퍼런스와 국제로봇콘테스트 등 다양한 행사가 함께 개최된다. 아울러 참가기업들의 비즈니스 기회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구매 상담회와 신제품‧신기술 홍보 및 신규 판로 개척을 위한 비즈니스 창출기회를 제공하는 ‘라이브 커머스’. 로봇 스타트업의 아이디어 발굴과 투자유치, 사업화, 네트워킹 활성화 지원을 위한 ‘투자유치데이’ 등도 마련된다. 사진은 첨단 로봇공학 및 물류자동화 기술을 선보인 원익로보틱스의 부스 모습.
국내‧외 로봇의 현재를 바라볼 수 있는 ‘2023 로보월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블루오션 테크미디어’ <더테크>는 경기도 일산 킨텍스 로보월드 현장을 찾아 참가 기업들의 목소리, 그리고 이들 기업의 다양한 기술과 제품들을 독자여러분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국내 로봇 산업의 미래를 조망해 보시기 바랍니다. [더테크 뉴스] 모빌리오는 배송의 마지막 단계로 고객에게 직접 제품을 전달하는 ‘라스트마일’을 위한 로봇 솔루션 기업이다. 일반 고객과 직접 마주하는 로봇 기술을 다루는 만큼 다양한 환경에서의 대처 능력을 비롯해 안전과 보안을 우선시했다. ‘기술로 사람을 지키는 기업’이라는 가치 아래 다양한 센싱 기술과 함께 자율주행 로봇 플랫폼과 솔루션을 보유한 모빌리오는 작지만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부스였다. 더테크는 이진식 모빌리오 대표에게 4족 보행 로봇 Lite 3을 비롯해 회사의 비전을 들어봤다. 모빌리오를 소개해주세요. 모빌리오는 배달 로봇과 4족 보행 로봇, 물류 로봇 등의 플랫폼으로 자율주행을 구현한 업체입니다. 이를 활용해 다양한 환경에서 경로를 탐색해 목적지까지 제품을 운반하거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솔루션을 공급하고
[더테크=전수연 기자] AI 기반 안면인식 기술 전문기업 사이버링크(CyberLink) 가 한화비전의 카메라 기술을 활용해 모니터링, 녹화 관리 등 감시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사이버링크는 한화비전의 Wisenet WAVE VMS에 자사 ‘FaceMe® Security’를 도입했다고 13일 밝혔다. 해당 기술은 Wisenet WAVE를 통해 AI 안면 인식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Wisent WAVE 사용자는 차단 목록에 있는 인물 감지, 실시간 알림, 직원 출입 통제 기능, 얼굴 검색을 통해 기존 스마트 보안과 출입 통제 인프라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한화비전의 Wisent WAVE VMS는 Wisent 비디오·오디오 분석 기능을 통해 한화 카메라를 모니터링, 기록, 관리하는 비디오 관리 시스템이다. 한화비전은 안정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플러그인을 위해 CyberLink의 AI 안면인식 엔진인 FaceMe®를 선택했다. FaceMe® Security 도입으로 WiseNet WAVE 사용자는 안면인식 기술과 스푸핑 방지 테스트 규정 준수를 위한 인증을 받은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CyberLink는 미국 LA 87에이커 규모
국내‧외 로봇의 현재를 바라볼 수 있는 ‘2023 로보월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블루오션 테크미디어’ <더테크>는 경기도 일산 킨텍스 로보월드 현장을 찾아 참가 기업들의 목소리, 그리고 이들 기업의 다양한 기술과 제품들을 독자여러분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국내 로봇 산업의 미래를 조망해 보시기 바랍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어떤 분야든 일의 마무리, 혹은 마감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로보테크도 마찬가지다. 겉모습이 아닌 로봇의 기능이 구현되는 지점, 즉 엔드 이펙터(End effector)혹은 그리퍼(Gripper)로 불리는 부위를 말한다. 사람으로 말하자면 손과 손가락의 역할이다. 짐머그룹아시아는 1980년 설립되 40여년의 업력을 지닌 자동화·로봇 부품 전문 기업이다. 역사가 오래된 만큼 핸들링·리니어·댐핑·공정·기계·시스템 등 6개 사업부가 있고 이번 로보월드에서는 핸들링 사업부를 중심으로 부스를 꾸렸다. 맹성현 짐머그룹아시아 본부장은 “로보월드에서 선보이고 있는 로봇에는 엔드 이펙터가 쓰이는데, 이는 회사의 주력 분야”라며 “짐머그룹은 독일에 본사를 두고 다양한 로봇에 쓰이는 제품을 선보일 것
[더테크=문용필 기자] 로봇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볼 수 있는 ‘2023 로보월드’가 11일부터 14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진행 중이다. 300여개 사, 800여 부스 규모로 치러지는 올해 로보월드는 제조용부터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로봇들을 만나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로봇비지니스 컨퍼런스와 국제로봇콘테스트 등 다양한 행사가 함께 개최된다. 아울러 참가기업들의 비즈니스 기회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구매 상담회와 신제품‧신기술 홍보 및 신규 판로 개척을 위한 비즈니스 창출기회를 제공하는 ‘라이브 커머스’. 로봇 스타트업의 아이디어 발굴과 투자유치, 사업화, 네트워킹 활성화 지원을 위한 ‘투자유치데이’ 등도 마련된다. 사진은 SETech의 부스 모습.
[더테크=조재호 기자] 로봇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볼 수 있는 ‘2023 로보월드’가 11일부터 14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진행 중이다. 300여개 사, 800여 부스 규모로 치러지는 올해 로보월드는 제조용부터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로봇들을 만나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로봇비지니스 컨퍼런스와 국제로봇콘테스트 등 다양한 행사가 함께 개최된다. 아울러 참가기업들의 비즈니스 기회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구매 상담회와 신제품‧신기술 홍보 및 신규 판로 개척을 위한 비즈니스 창출기회를 제공하는 ‘라이브 커머스’. 로봇 스타트업의 아이디어 발굴과 투자유치, 사업화, 네트워킹 활성화 지원을 위한 ‘투자유치데이’ 등도 마련된다. 사진은 유일로보틱스의 부스.
[더테크=문용필 기자] 로봇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볼 수 있는 ‘2023 로보월드’가 11일부터 14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진행 중이다. 300여개 사, 800여 부스 규모로 치러지는 올해 로보월드는 제조용부터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로봇들을 만나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로봇비지니스 컨퍼런스와 국제로봇콘테스트 등 다양한 행사가 함께 개최된다. 아울러 참가기업들의 비즈니스 기회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구매 상담회와 신제품‧신기술 홍보 및 신규 판로 개척을 위한 비즈니스 창출기회를 제공하는 ‘라이브 커머스’. 로봇 스타트업의 아이디어 발굴과 투자유치, 사업화, 네트워킹 활성화 지원을 위한 ‘투자유치데이’ 등도 마련된다. 사진은 3일차를 맞은 2023 로보월드 전시장 모습.
국내‧외 로봇의 현재를 바라볼 수 있는 ‘2023 로보월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블루오션 테크미디어’ <더테크>는 경기도 일산 킨텍스 로보월드 현장을 찾아 참가 기업들의 목소리, 그리고 이들 기업의 다양한 기술과 제품들을 독자여러분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국내 로봇 산업의 미래를 조망해 보시기 바랍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위아는 2023 로보월드에 참가하면서 로봇 사업을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이번 전시회에서 무인 주차 로봇과 물류 로봇, 통합관제 시스템 등 자사의 로봇 기술력을 선보였다. 현대위아가 로보월드에 참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인 현대위아는 로보테크보다 자동차 부품과 공작기계 제조로 잘 알려진 기업이다. 이런 기업이 로봇 전문 전시회에서 큰 규모의 부스를 행사장 중앙에 꾸렸다는 점 하나만으로도 많은 관심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현대위아는 사람들의 관심에 답하듯 국내 최초로 무인 주차 로봇을 공개했다. 아울러 자율주행 물류 로봇(AMR)과 제조/물류 융복합로봇(MPR), 관제 시스템까지. 오랜 기간 로보월드에 참여한 기업으로 보일 만큼 다채로운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이에 더테크
국내‧외 로봇의 현재를 바라볼 수 있는 ‘2023 로보월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블루오션 테크미디어’ <더테크>는 경기도 일산 킨텍스 로보월드 현장을 찾아 참가 기업들의 목소리, 그리고 이들 기업의 다양한 기술과 제품들을 독자여러분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국내 로봇 산업의 미래를 조망해 보시기 바랍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닦고 조이고 기름치자.’ 대부분의 대한민국 남자라면 군 복무 시절 수송부나 정비창에서 보았을 법한 글귀다. 관리의 중요성을 이르는 말로 기계 운용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서림오토메이션의 로봇 커버는 비슷한 고민을 함께하는 로봇주변기기다. 2023 로보월드 현장에서 더테크와 만난 이동진 대표는 “로봇을 비롯해 산업용 장비에 들어가는 부품·소재들을 폭넓게 취급하며 국내에 유통하는 회사”라고 소개했다. 이번 로보월드에서 서림오토메이션은 비즈니스 영역 확장을 위해 작년부터 산업용 로봇 부품·소재 분야를 강화했다. 이 대표는 “다관절 로봇 커버와 로봇전용 케이블 홀더가 주력 제품”이라며 “국내 시장에서 다소 생소한 제품이고 다루는 업체가 거의 없다시피 하지만 해외에서는 비중이 있는 분야”라고 말했다.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