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현대자동차가 전용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의 대형 SUV 콘셉트카 ‘세븐(SEVEN)’의 티저 이미지를 4일 처음 공개했다. 세븐은 전기차 시대에 현대자동차가 제시하는 대형 SUV 전기차의 디자인과 기술 비전을 담은 콘셉트카로, 아이오닉이 제공하는 전기차 경험을 한층 더 확장시킨 모델이다. 기존 내연기관 차량으로는 구현할 수 없었던 새로운 SUV 전기차의 모습을 보여주는 세븐은 아이오닉의 브랜드 정체성을 상징하는 파라메트릭 픽셀 디자인을 헤드램프에 적용해 존재감을 드러낸다. 차량 내부는 우드 소재와 패브릭 시트 등으로 나만의 아늑한 공간을 표현한 프리미엄 라운지를 연상시키며 대형 전기 SUV 차량의 새로운 디자인 방향성을 담았다. 또한 세븐은 전용 전기차 플랫폼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를 기반으로 안락한 시트 배치와 여유로운 공간 활용성을 통해 거주 공간(Living Space)을 테마로 했던 아이오닉 5의 실내 디자인보다 한층 발전된 모습으로 거듭났다. 이와 함께 차량 실내에 다양한 친환경 소재를 적용해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한다. 현대자동차는 오는 11월에 개최되는 LA 오토쇼
[더테크 뉴스] 현대자동차는 2021년 10월 국내 5만7813대, 해외 24만9226대 등 전년 동월 대비 20.7% 감소한 30만7039대를 판매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 판매는 12.0% 감소했으며, 해외 판매는 22.5% 감소한 수치다. 10월 국내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12.0% 감소한 5만7813대를 판매했다. 세단은 그랜저가 9448대, 쏘나타 6136대, 아반떼 3368대 등 총 1만8978대가 팔렸다. RV는 팰리세이드 2582대, 싼타페 3494대, 투싼 2911대, 아이오닉5 3783대, 캐스퍼 2506대 등 총 1만8194대가 팔렸다. 포터는 4042대, 스타리아는 2775대 판매를 기록했으며 중대형 버스와 트럭은 2296대 판매됐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 6119대, GV70 2892대, GV80 1828대 등 총 1만1528대가 팔렸다. 현대차는 2021년 10월 해외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22.5% 감소한 24만9226대를 판매했다. 현대자동차는 이번 달도 반도체 부품 수급 차질 및 코로나19 영향으로 경영 불확실성이 지속하는 상황이라며, 권역별로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 노력을 이어
[더테크 뉴스] LG전자가 프랑스 자동차 업체 르노그룹(Renault Group, 이하 ‘르노’)의 전기차 신모델 ‘메간 E-Tech(Mégane E-Tech)’에 차세대 인포테인먼트(IVI: In-Vehicle Infotainment) 시스템을 공급했다고 1일 밝혔다. LG전자와 르노는 지난 9월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1’에서 공동 개발한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공개했다. 양사가 개발한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구글의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 OS(Android Automotive Operating System)를 기반으로 한다. 안드로이드 OS 최신 버전인 안드로이드10을 적용했고 구글자동차서비스(Google Automotive Services, 이하 GAS) 라이선스를 받았다. GAS는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글 어시스턴트, 구글 맵, 구글 플레이 등 다양한 구글 서비스와 안드로이드 앱을 제공한다. 안드로이드10 버전으로 GAS 라이선스를 받은 것은 이 시스템이 처음이다. 모바일 기기 OS 점유율의 70%가량이 안드로이드 OS인 점을 감안하면 기존에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던 고객은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더테크 뉴스] 현대케피코가 최근 출시한 전기이륜 구동시스템 ‘모빌고(MOBILGO)’로 이륜차 수요가 높은 인도네시아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는 늘어나는 차량 및 이륜차 운행으로 자카르타 등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심각한 대기오염 문제를 겪고 있어, 정부 주도의 탄소 감축 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 축의 하나가 내연기관을 전동화 차량으로 전환하는 사업이다. 현대케피코는 인도네시아 이륜차 협회(IMI, Ikatan Motor Indonesia) 및 전기이륜차 제조사인 PT Brum Brum과 지난 26일 전기이륜차용 배터리 관리/관제 플랫폼 적용에 대한 업무 협약을 맺고 현지 생태계 기반 구축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현대케피코는 PT Brum Brum과 내년 7kW, 3kW 시스템 적용 차량 출시를 목표로 전기이륜차 구동시스템과 모빌리티 데이터 서비스 및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으며, 현대케피코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개발중인 7kW, 3kW 시스템은 성능과 주행거리면에서 경쟁모델 대비 최대 약 24~33%의 우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선 지난 25일에는 또 다른 인도네시아 전기이륜차 제조사인 PT GARDA ENERGI NASI
[더테크 뉴스] 최첨단 이미징 레이더 솔루션 기업 비트센싱이 스마트 모빌리티 플랫폼 전문기업 케이에스티일렉트릭과 함께 초소형전기차 전용 첨단 운전자 지원시스템(ADAS) 협력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 체결식은 지난 10월 21일 개최된 ‘대구 국제 미래자동차엑스포 2021(DIFA 2021)’ 내 KST일렉트릭 부스에서 진행됐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초소형 전기차 전용 ADAS 공동개발, 시제품 개발·테스트, 품질·기술 고도화, 양산 대응 등을 통해 자율주행 시대의 가속화를 위해 긴밀하게 협력한다. 비트센싱은 자사의 77GHz 오토모티브 레이더 솔루션 ADAS 기술을 제공해 KST일렉트릭의 소형 전기차 ‘마이브(MaiV)’에 적용될 예정이다. 비트센싱의 ADAS 레이더 기술은 물체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거리, 속도, 방향 데이터를 제공해 안전성과 편의성이 보장된 도로 위 경험을 선사한다. 비트센싱과 KST일렉트릭은 이번 협력으로 자율주행·모빌리티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재은 비트센싱 대표는 “스마트 모빌리티 전문가들이 모인 KST일렉트릭과 함께 자율주행 기술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기회가 주
[더테크 뉴스] 현대자동차·기아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손잡고 인공지능, 차량용 반도체 및 통신 기술 등 ICT를 활용하여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지난 27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자율주행 모빌리티 활성화를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국가 정보통신기술(ICT) 연구개발의 총괄 책임을 맡은 기관으로 ▲제조 ▲국방안전 ▲의료복지 ▲에너지환경 ▲도시 ▲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은 자율주행, 로보틱스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인공지능, 차량용 반도체 및 통신기술 관련 R&D 상호 협력 체계를 구축해 국내 자동차 산업의 소프트웨어 발전 가속화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자체적으로 수집한 ▲음성·언어 ▲도로·차선·후미등 ▲로봇의 인간행동 인식 등 다양한 인공지능 및 ICT 연구개발 데이터를 제공한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제공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율주행, 인포테인먼트, 로보틱스 등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 인공지능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소프
[더테크 뉴스] 웰바이오텍이 중국 기업과 손잡고 높은 성장을 이어가는 전기차(EV) 충전기 시장에 뛰어든다. 웰바이오텍은 중국 스마트 에너지 솔루션 전문 기업 이스트그룹(East Group)과 EV 충전기 사업 추진을 위한 전략적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업무 협약으로 웰바이오텍은 EV 충전기를 전문적으로 제조하는 이스트그룹과 공동으로 국내외에서 EV 충전기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1989년에 설립된 이스트그룹은 파워 서플라이, 데이터 센터, EV 충전기 등을 제조해 유통하는 스마트 에너지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2014년 중국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됐고, 지난해 15억달러의 매출액(약 1조8000억원)을 달성했다. 이스트그룹은 중국 시장에 EV 충전기를 다수 공급하면서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기차 충전은 AC(교류) 방식과 DC(직류)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스트그룹은 AC 및 DC형 충전기와 상호 호환할 수 있는 통합 충전기(All-in-One, 교류 직류 변환) 등 다양한 충전기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웰바이오텍은 이스트그룹과 한국형 EV 충전기 공동 개발을 완료한 뒤 먼저 국내 EV 시장에
[더테크 뉴스] 앤시스코리아가 오는 11월 11일 ‘KADF 2021(Korea Autonomous Developer Forum, 한국 자율주행 개발자 포럼)’을 온라인으로 공동 개최한다고 밝혔다. ‘자율 주행 차량의 개발·시험·평가와 시뮬레이션’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앤시스코리아와 함께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AICT)과 전자신문인터넷이 주최하고 경기도청이 주관해 열린다. 자율주행 관련 국내외 기업 및 정부기관과 학계 등 해당 업계 종사자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자율주행 산업에 대해 심도 깊게 논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이번 KADF 2021에서는 차세대융합기술원 임경일 센터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한국자동차연구원의 이재관 본부장이 소개하는 ‘자율주행차 산업·정책 동향’을 비롯해 ▲자율주행자동차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 개발 과정(아주대학교 윤일수 교수), ▲자율주행의 기능적 안전성(TUV Rheinland Korea 노진표 팀장),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동향·핵심 기술 소개(MORAI 정지원 대표), ▲경기도 판교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운행 안전관리 기술 개발(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경기도자율주행센터
[더테크 뉴스] 제네시스 브랜드(이하 제네시스)의 첫 번째 고급 대형 전동화 세단 G80 전동화 모델이 ‘G20 발리 정상회의(2022 G20 Bali summit)’에 VIP 차량으로 제공된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25일(현지 시각) 자카르타 인터내셔널 엑스포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The Future EV Ecosystem for Indonesia’ 행사에서 G20 발리 정상회의의 공식 VIP 차량으로 제네시스 G80 전동화 모델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G20 발리 정상회의는 2022년 4분기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제17회 G20 정상회의로 ‘Recover Together, Recover Stronger’를 주제로 진행될 계획이다. G20은 서방의 선진 7개 국가의 모임인 G7을 확대 개편한 세계경제 협의 기구로, 우리나라를 포함해 1999년 12월 정식으로 발족됐다. 2009년 G20 정상회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기로 합의하면서 세계의 경제 문제를 다루는 최상위 포럼으로 격상됐다. 국제 행사에서 VIP 차량이 전기차로 공급된 것은 이례적으로 정상회의 기간 회의에 참석한 각국 정상들은 G80 전동화 모델을 활용해 행사 일정을 소화하게 될 예정이다. G80
[더테크 뉴스] 두산퓨얼셀은 22일 서울 동대문 두산타워에서 한국서부발전, 한국전력기술과 함께 ‘생활형 바이오가스(청정수소) 활용 연료전지 공동사업’에 대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한국서부발전 김성균 성장사업본부장, 한국전력기술 김동규 에너지신사업본부 본부장, 두산퓨얼셀 이승준 영업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두산퓨얼셀은 정부의 수소경제 정책과 청정수소의무화제도(CHPS)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서 생활 오폐수, 음식물, 가축분뇨 등에서 나오는 미활용 바이오가스와 같이 버려지고 있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이번 사업에 참여하게 됐다. 현재 연간 생산되는 바이오가스 중에서 발전, 자체이용 등으로 활용되는 양은 80% 수준이며 나머지 20%는 활용되지 않고 있다. 3사는 미활용되고 있는 바이오가스에서 불순물을 제거한 순수 바이오가스를 수소연료전지에 직접 투입하는 친환경, 고효율 에너지 사업을 전개하기로 했다. 두산퓨얼셀은 순바이오가스 전용 수소연료전지 기술을 개발하고 주기기를 공급할 계획이며 한국서부발전, 한국전력기술은 각각 사업총괄과 전처리설비 설계 및 시공을 담당한다. 두산퓨얼셀 관계자는 “바이오가스에 있는 메탄을 농축
[더테크 뉴스] 현대모비스가 90도 회전이 가능한 미래 모빌리티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미래 도심형 모빌리티의 핵심 중 하나인 목적기반모빌리티(PBV) 구현을 위한 필수 기술로 90도 회전 주차 및 제자리 회전 등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현대모비스는 자동차의 조향·제동·현가·구동 시스템을 바퀴 하나에 접목시킨 신기술인 e-코너 모듈 선행개발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기술은 스티어링 휠부터 바퀴까지 기계 축으로 연결되던 기존 차량의 패러다임을 전환시킨 신기술이다. 미래 스마트 시티 모빌리티 구현에 필요한 핵심 기술로 앞으로 양산 적용도 기대된다. 앞서 현대모비스는 지난 2018년 CES에서 e-코너 모듈의 콘셉트를 처음 선보인 바 있다. 이를 실제 차량에 접목할 수 있도록 콘셉트를 재정의하고, 제어용 ECU를 개발해 시스템 기능평가까지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앞으로 신뢰성 검증과 양산성 검토를 통해 글로벌 완성차 메이커들을 대상으로 실제 차량에 적용하기 위한 양산 수주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자동차에 e-코너 모듈이 적용되면 부품들 사이의 기계적 연결이 불필요해, 차량 공간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휠베이스의 변경이 쉬워지는 것은 물론, 도
[더테크 뉴스] 현대케피코가 대구시 퍼스널모빌리티 산업(이하 대구 PM산업) 육성을 위한 실증 사업에 참여하여 e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대구시와 현대케피코 등 대구 PM산업 육성 사업 협의체는 지난 21일, 업무협약을 맺고 PM산업 육성과 서비스형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형성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하였다. 전략적 제휴를 통해 고품질, 고성능의 전기이륜차 보급을 확대하여 중국산 위주의 저가형 부품산업구조를 탈피하고 친환경 K-모빌리티의 우수성을 알린다는 계획이다. 세부적으로는 대구시를 중심으로 한 지역기반 실증사업으로 안전과 신뢰성이 검증된 솔루션을 구축한 다음 표준화된 글로벌 운영 및 인증 기준을 정립해 글로벌 비즈니스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우선 대구 상업 배달 사업자 대상 배터리 교환 서비스 실증사업이 11월부터 추진되며, 금년 내 대구시에 전기이륜차 및 배터리 교환기 100대를 설치할 예정이다. 현대케피코는 최근 출시한 고성능 전기이륜 제어솔루션 ‘모빌고(MOBILGO) 7’과 IoT기반 차량관리 및 관제서비스 ‘몰다(MOLDA)’를 제공한다. 현대케피코의 모빌고는 고전압 구동으로 전비효율 측면에 강점이 있으며, 고속주행이나 언덕길 등판과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