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전수연 기자] 한국로봇산업협회가 오는 8월 21일부터 25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2024 중국 베이징 로봇전시회(이하 WRC 2024)에 참가한다고 10일 밝혔다. 매년 8월 개최되는 WRC 2024는 중국인민공화국 국무원의 허가를 받아 베이징 인민정부, 중화인민공화국공업정보화부(MIIT), 중국과학기술협회(CAST)가 주최하고 중국전자학회(CIE)가 주관하는 행사다. 시진핑 주석, 리커창 총리, 류옌둥 부총리 등 중국 정부,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 지도자들의 지원을 받는 중요한 행사로도 꼽힌다. WRC는 전시회, 컨퍼런스, 경진대회 총 3개의 행사가 동시 개최되는 로봇 통합 행사로 매년 전시회에서는 중국 글로벌 로봇기업의 신제품, 신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컨퍼런스는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로봇 산업 전문가가 연사로 참여하며 최신 로봇기술 연구결과를 선보이는 자리로 알려져 있다. 한국로봇산업협회는 이 중 전시회에 참가하며 코트라와 함께 한국관을 구성, 운영할 예정이다. 한국관은 A홀 A106에 위치하며 참가기업은 나라오토시스, 도구공간, 브릴스, 세인플렉스, 시그봇, 쎄텍, 에이딘로보틱스, 유엔디, 유일로보틱스, 코보시스 총 10개사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에너지 전문가들과 만나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은 오는 13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SK이노베이션 글로벌포럼’을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포럼에는 이석희 SK온 사장, 이성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장 등 SK이노베이션 계열 주요 경영진 10여명과 글로벌 에너지 관련 학계, 산업계 관계자 50여명이 참여한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 2021년부터 SK이노베이션 계열 전략 실행에 힘을 더해줄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대하고자 글로벌 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이를 통해 SK이노베이션은 해외 우수 인재와 교류하고 협력하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구체적으로 올해 포럼에서는 △이차전지 △배터리 열폭주 방지 기술 △지질 산업과 기술(Geo Biz & Tech) △탄소 소재(Carbon Materials)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등 5개 세션을 열고 미래 에너지 전략, 배터리 기술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각 세션은 논의 방향성에 초점을 맞춰 그룹 토의, 전문가 주제 발표 등 각기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SK이노베이션은 이 자리에서 미
[더테크=조재호 기자]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도 국내 100대 기업의 경제기여액이 전년보다 31조원 늘어난 1526조원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전자가 기여액 규모 1위를 지킨 가운데 현대차가 10조원 이상 늘어나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어섰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관련 기업들이 업황 호조로 경제기여액이 늘어났고 원유가 상승 여파로 석유화학 계열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경제기여액이란 기업이 경영활동으로 창출한 경제적 가치의 총액으로 기업이 이해관계자에게 지급한 비용의 합계를 말한다. CEO스코어는 10일 500대 기업 중 경제기여액을 산출할 수 있는 매출 상위 100곳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경제기여액은 1526조원으로 전년보다 2.1%인 31조 늘어났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100대 기업의 매출액은 1958조원으로 전년 대비 1.7%인 33조원이 줄었다. 글로벌 경기침체 여파로 수출이 줄고 내수 부진 등으로 매출액 자체는 줄었지만, 경제 전반에 대한 기여도는 늘어났다. 자세히 살펴보면 100대 기업이 협력사를 통해 창출한 경제기여액은 1277조원으로 전년 대비 0.8% 증가했다. 이는 해당 기업이 협력사의 원재료나 서비스를 구매한 비용이다. 임직원의 급여,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유플러스(이하 유플러스)가 지능형 CCTV, 실시간 관제 IoT, 진동센서, 통합관제 모니터링 등 DX 서비스 4종을 적용해 운영 안정성, 효율성을 높인다. 유플러스는 충청남도 태안군 국제 해저케이블 육양국(이하 육양국)에 스마트 관제 DX 솔루션을 도입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에 DX 솔루션이 도입되는 태안군 육양국은 현재 유플러스의 자회사인 데이콤크로싱이 운영 중이다. 육양국은 해저 광케이블을 육지에 설치된 통신망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교환기 등 접속설비를 갖춘 통신국사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육양국은 바다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 통신 국사 대비 온도와 습도에 대한 세밀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인접 국가와 한반도에 일어나는 지진에도 영향을 받을 확률이 높다. 유플러스는 온도, 습도 등 외부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외부인 침입과 화재 등 위급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자체 보유한 DX 관제 솔루션 도입을 결정했다. DX 관제 솔루션에는 △지능형 CCTV △실시간 원격 관제 IoT △진동센서 △통합관제모니터링 시스템 등 4종이 포함된다. 우선 외부인 출입, 화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지능형 C
[더테크=전수연 기자] 조주완 LG전자 CEO가 AI와 디지털을 통해 고도화한 글로벌 이용자 서비스 시스템 현황 점검에 나섰다. LG전자는 GPS 기반의 실시간 고객 관리 시스템을 비롯해 AI 상담, 원격 진단·조치 시스템, 사용 데이터 기반 제품 진단 시스템, 선제적인 이용자 페인포인트 발굴·개선 시스템 등 서비스 영역 전반에서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서비스 정확도·속도를 높이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조 CEO는 지난 9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한국과 해외의 고객점검 서비스 시스템을 집중 점검하고 “AI와 디지털을 통해 접점을 지속 혁신하며 글로벌 이용자에게 LG전자만의 차별화된 서비스 경험을 제공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조 CEO는 서비스 품질의 지속적인 제고를 위해 구축한 조직적인 통합 지원 체계와 DX 성과를 들여다봤다. 지난 2021년 본격 도입한 실시간 고객 상황 관리 시스템 G-CAS(GPS-based Customer Assistant System)가 그 예다. G-CAS는 이용자와 서비스매니저의 실시간 위치를 파악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교통 상황으로 서비스매니저가 약속한 시간에 도착하지 못하는 경우 가장 근접
[더테크=조재호 기자] 두산에너빌리티를 비롯해 국내 340여 산·학·연이 함께한 K-가스터빈이 제조부터 유지보수까지 밸류체인을 완성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10일 한국남부발전과 안동복합발전소 2호기 가스터빈에 대한 장기 유지보수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해당 가스터빈은 두산에너빌리티가 올 1월 공급계약을 체결한 380MW급 제품이다. 두산에너빌리티가 공급한 가스터빈에 대해 장기유지보수 서비스 계약까지 체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안동복합발전소 2호기는 경북 안동시 풍산읍 지역에 569MW 규모로 2027년 3월 준공될 예정이다. 이번 계약에 ᄄᆞ라 두산에너빌리티는 자사가 공급한 가스터빈에 대한 △고온부품 공급 및 재생정비 △계획정비 △두산 가스터빈 맞춤형 디지털 솔루션 적용 △성능 및 정비일정 보증 등을 수행한다. 계약기간은 중공 이후 10년이다. 가스터빈 장기유지보수 서비스는 가스터빈에 대한 종합적 역량이 요구돼 그동안 해외 가스터빈 원제작사 들이 독점해왔다. 이번 계약으로 두산에너빌리티는 가스터빈 원제작사로서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장기간 안정적인 매출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손승우 두산에너빌리티 파워서비스BG는 “이번 계약은 대한민국 가스터빈 산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로템이 폴란드형 K2 전차(K2PL) 본 계약을 위한 신규 합의서를 체결했다. 현대로템은 9일(현지시간) 폴란드 현지 국영방산기업 PGZ와 K2PL 생산·납품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신규 컨소시엄 합의서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체결식에는 양국 정부 인사와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신규 합의서는 기존 컨소시엄 계약 시한 만료에 따라 협력 연장을 위한 후속 절차로 진행됐다. 양사는 K2PL 2차 이행계약 연내 체결을 위해 컨소시엄간 협력을 가속하는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지난해 3월 처음 구성된 K2PL 컨소시엄은 2022년 7월 현대로템과 폴란드 군비청이 맺은 총괄계약 내용을 기반으로 폴란드 현지 K2PL 전차 생산 역량 구축 및 적기 남품을 위한 협력 관계를 규정한 것이 핵심이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지난달 브와디스와프 코시니악-카미슈 폴란드 부총리 겸 국방장관과 폴란드에서 ‘제2차 한-폴란드 국방·방산 협력 공동위원회’를 개최하고 K2 전차 2차 이행 계약 협의가 조속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정부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않는 데에 뜻을 모았다. 한편, 현대로템은 올해 상반기까지 총 46대의 폴란드 K2 전차(K2G
[더테크=조재호 기자] 국내 연구진이 뇌 기능 이상을 일으키는 뇌전증 발작 과정을 규명하고 새로운 진단 기준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난치성 뇌전증 환자를 위한 혁신 RNA 치료제 개발을 예고했다. 카이스트는 9일 이정호 의과대학원 교수팀이 뇌세포 특이적 돌연변이에 의한 소아 난치성 뇌전증 동물 모델과 환자 뇌 조직 연구를 통해 뇌전증이 발생할 수 있음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얼마나 적은 수의 특정 유전자 변이 세포가 누적되면 전체 뇌 기능 이상을 유도하는 뇌 질환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마우스 질병 모델과 인체 조직을 이용한 중개의학적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에 따르면 실험용 쥐의 뇌 조직에서 돌연변이가 8천에서 9천 수준으로 나타날 때부터 뇌전증 발작을 일으키고 관련된 병리가 나타남을 관찰했다. 이를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뇌조직에서 대용량 유전정보 증폭 시퀀싱을 진행해 비율을 측정했다. 그 결과 최소 0.07%에 이르는 뇌전증 유발 체성 돌연변이를 관찰했다. 이를 통해 난치성 뇌전증의 돌연변이 유전자 진단에서 새로운 기준을 마련할 수 있었다. 아울러 극미량의 돌연변이 신경세포가 다양한 뇌 질환을 유발하는데 관여한다는 점도
[더테크=전수연 기자] 슈나이더 일렉트릭(이하 슈나이더)이 독일계 글로벌 기술 기업 피닉스컨택트(Phoenix Contact)와 자동화 제품군에 개방형 자동화 솔루션 EAE(EcoStruxure Automation Expert)를 배포했다고 9일 밝혔다. 슈나이더의 EAE는 UAO 런타임 엔진을 기반으로 한 개방형 자동화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은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에서 분리하고 여러 자동화 공급 업체의 제안을 통합하도록 설계돼 산업 분야에서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산업 자동화 시스템을 통합업체, OEM에게 제공한다. 피닉스컨택트의 자동화 제품군인 PLC next Technology에 도입된 EAE를 통해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PLCnext컨트롤러에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배포할 수 있다. 또 UAO 런타임 엔진을 사용해 자유롭게 PLCnext컨트폴러에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양사는 개방형 자동화를 실현하기 위한 비영리 조직인 유니버셜 오토메이션 협회(UAO)의 회원사로 동일한 런타임 기술인 UAO 런타임 엔진을 공유하고 있다. 간단한 애플리케이션 이식성, 상호 운용성을 통해 산업 운영자에게 새로운 수준의 엔지니어링, 유지 관리 효율성을 제공할
[더테크=전수연 기자] 삼성전자가 코엑스에서 삼성 파운드리 포럼과 세이프 포럼 2024를 개최하고 국내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강화 성과, 향후 지원계획을 9일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AI를 주제로 삼성 파운드리만의 공정기술·제조 경쟁력·에코 시스템·시스템반도체 설계 솔루션 등을 발표한 가운데 디자인 솔루션(DSP), 설계 자산(IP), 설계자동화툴(EDA), 테스트·패키징(OSAT) 분야 총 35개 파트너사가 부스를 마련해 삼성의 파운드리 사용자를 지원하는 솔루션을 선보였다. 최시영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 사장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삼성전자는 국내 팹리스 사용자들과 협력을 위해 선단공정 외에도 다양한 스페셜티 공정기술을 지원하고 있다”며 “삼성은 AI 전력효율을 높이는 BCD, 엣지 디바이스의 정확도를 높여주는 고감도 센서 기술 등 스페셜티 솔루션을 융합해 나가며 가장 필요한 AI 솔루션을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포럼에서 파운드리, 메모리, 패키지 역량을 모두 보유한 종합 반도체 기업의 강점을 바탕으로 사용자 요구에 맞춘 통합 AI 솔루션 턴키(일괄 생산) 서비스 등의 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AI 반도체에 적합한 저전력·고성능 반도체를
[더테크=조재호 기자] HD한국조선해양이 맞춤형 ‘AI 번역 기술’을 개발해 외국인 근로자의 적응을 돕는다. HD한국조선해양은 최근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번역 서비스 ‘AI Agent’의 1단계 개발을 완료하고 전남 영암에 있는 HD현대삼호의 선박 건조 현장에 적용했다고 9일 밝혔다. AI Agent는 조선소 내 외국인 근로자의 업무 효율 및 숙련도 향상을 위해 HD한국조선해양이 자체 개발한 번역 서비스로 실제 선박 건조 현장에 최적화해 조선업 맞춤형으로 제작됐다. 기존 범용 번역 서비스들이 조선소 현장에서 통용되는 전문용어나 방언 등을 처리하지 못해 의사소통이 힘들었고 근로자별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 매번 설정을 다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HD한국조선해양은 현장 및 국가 표준 조선 용어 13000개와 선박 건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4,200개의 작업 지시 문장을 수집, 대규모 언어 모델(LLM)에 학습시킴으로써 조선업 맞춤형 번역 서비스를 개발했다. AI Agent는 채팅앱, 챗봇 서버, 번역 모듈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됐다. 작업자가 채팅앱에 대화 내용을 입력하면 서버를 통해 메시지가 번역 모듈을 통해 자동으로 번역돼 노출되는 방식이다. HD현대삼호
[더테크=전수연 기자] SAP 코리아(이하 SAP)가 새로운 AI 혁신을 선보이고 한국 시장에서의 파트너십,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강조했다. SAP는 연례행사 ‘SAP 나우 코리아 2024’를 진행했다고 9일 밝혔다. 올해 행사는 기업의 잠재력을 최대로 이끌어내는 혁신 방안이라는 주제 아래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성장을 지원하는 다양한 SAP의 최신 솔루션, 도입 사례에 대해 소개하는 자리로 구성됐다. 특히 삼성물산, 창신, LX세미콘, 아마존웹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들이 참석해 산업별 솔루션 사례를 공유하고 참가자들에게 각자의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전달했다. 이날 기조연설을 맡은 스콧 러셀 SAP 최고매출책임자 겸 이사회 고객 성공 부문 임원은 “SAP는 30년 가까이 한국 시장에서 성장, 혁신을 함께 해온 것에 자부심을 느끼고 현재 한국 최대 기업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며 “앞으로도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비즈니스 혁신을 선도하고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SAP는 최근 30개의 새로운 AI 시나리오를 도입했다. 향후 100개 이상의 새로운 솔루션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GPT, 제미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