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디에이테크놀로지 LG전자와 467억 원 규모 2차전지 조립공정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계약 기간인 이달부터 2024년 3월까지 LG전자에 2차전지 조립공정 장비인 스태킹 장비를 생산 납품하게 된다. 본 장비는 LG전자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 해외 공장에 납품될 예정이며, 지난 9월에도 LG전자와 62억 원 규모의 배터리 제조용 장비 공급 계약을 발표한 바 있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해당 장비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국내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에 독점 공급하게 된다. 이번 스태킹 장비는 고객사가 요구하는 택타임을 충족시켜 생산 물량이 늘어나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수주 건은 단일 건으로 올해 최대 규모이며, 향후 고객사의 미국 등 해외 공장 증설 계획에 따른 대규모 장비 발주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디에이테크놀로지 관계자는 “노칭, 스태킹, 원형 조립라인 등 고품질 셀 생산을 위한 장비 기술력을 인정받아 대규모 수주로 이어지고 있어 생산CAPA 증설도 추진하고 있다”며 “우선적으로 차질 없는 장비 생산 및 납품을 위해 전사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테크 뉴스] 우리넷이 국내 양자암호화 통신 분야에서 다각적인 구도로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우리넷에 따르면, 암호화 통신 분야의 표준화와 인증, 상용화 장비 공급, 관련 산업 인력 육성을 위한 교육 등 다양한 범위의 사업 전개가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우리넷은 KT 컨소시엄을 통해 외부 공격에 대한 취약점을 보완한 키관리시스템(KMS) 내장형 양자암호키분배(QKD) ‘QKD+’ 개발에 참여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차세대 통합 전국 전송망 구축을 지원하는 통신장비인 M-POTN의 공급을 진행했다. SK브로드밴드 및 SK텔레콤과도 양자암호화 관련 협력 체계를 통해 양자암호화 전용회선에 사용하는 전송장비에 KCMVP(Korea Cryprographic Module Validation Program) 인증을 국내 최초로 획득했다. 또한 티 크립토(T-Crypro) 기술을 기반으로 한 모듈이 탑재된 양자암호통신 전송 장비를 공급해 상용화에 성공했다. 한국능률협회(KMA)가 주관하는 양자 ICT 산업인력양성 지원 과제의 국내 기업 및 연구소 연계 프로그램에도 참여해 향후 지속 가능한 해당 분야의 저변을 늘려가기 위한 교육 기회 제공도 함께
[더테크 뉴스] 한화시스템이 제주대학교와 산학협력을 통해 제주지역 우주산업 인재 양성과 UAM 상용화를 추진한다. 한화시스템은 22일 오후 제주대학교에서 ‘우주·UAM 분야 공동 연구개발 협력 및 제주지역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한화시스템과 제주대는 ▲우주산업 분야 산학협력 및 인적·물적 인프라 확보와 상호자원 활용 ▲우주·UAM 분야 공동 연구개발 및 인재 양성 협업 ▲제주형 UAM 상용 서비스를 위한 공동연구 및 사업개발 등을 추진한다. 한화시스템은 우주산업 기술 고도화를 위한 우수 교육기관 협력체계 구축의 하나로 이번 협약에 나섰다. 한화시스템은 인공위성의 전자광학(EO)·적외선(IR)·영상 레이다(SAR) 탑재체부터 초소형 위성 체계 분야까지 위성개발 부문 전반의 역량을 구축하고,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한국공항공사·SK텔레콤 등 ‘K-UAM 드림팀’ 컨소시엄과 함께 2025년 국내 최초 UAM 상용화 서비스를 제주도에서 추진 중이다. 어성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는 “한화시스템은 국가와 제주지역 경쟁력을 선도할 산학 프로그램에 힘을 보태고, 우주산업 및 미래 모빌리티 패러
[더테크 뉴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링스 테크놀로지스의 ANT-W63WSx 블레이드형 Wi-Fi 6/6E/7 안테나와 ANT-5GWWS6-SMA 셀룰러 sub-6 5G 안테나 제품을 공급한다고 23일 밝혔다. 이 안테나 제품들은 소형 폼 팩터 설계로 Wi-Fi와 셀룰러 기반 IoT 및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모두에 강력한 성능을 제공한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제공하는 링스 테크놀로지스의 ANT-W63WSx 블레이드형 Wi-Fi 6/6E/7 안테나는 엔지니어에게 2.4GHz, 5GHz 및 6GHz 대역에서 IoT 및 스마트 홈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고 Wi-Fi 6, Wi-Fi 6E, Wi-Fi 7을 지원한다. 이 접지면 독립 설계 방식의 다이폴 안테나 제품은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고, 충격 손상으로부터의 노출을 줄이기 위해 직선, 45° 및 90° 위치에 디텐트를 갖춰 조정할 수 있는 힌지식 회전 설계가 포함됐다. ANT-W63WSx 안테나는 전방향성 방사 및 선형 편파를 제공하며, SMA 플러그(수컷 핀) 또는 RP-SMA 플러그(암컷 소켓) 커넥터와 함께 사용 가능해 설계 유연성이 높다. ANT-5GWWS6-SMA 셀룰러 Sub-6 5G
[더테크 뉴스] 두산에너빌리티가 국내외 연구기관과 손잡고 베트남에서 암모니아 혼소 발전소 도입을 추진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베트남에너지연구원(이하 IE, Institute of Energy),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이하 KETI)과 베트남 내 청정 에너지 산업 분야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한국-베트남 산업공동위 주관으로 추진된 이번 협약식에는 두산에너빌리티 박홍욱 파워서비스 BG장, IE 쩐끼푹(Tran Ky Phuc) 원장, KETI 이규복 부원장 등 각 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으로 3사는 베트남 화력발전소에 암모니아 혼소 기술 도입, 발전소 현대화 등 사업기회 확보와 연구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IE는 암모니아 혼소 적용 타당성 연구 수행 ▲KETI는 발전소 현대화 추진 ▲두산에너빌리티는 암모니아 혼소 발전 기술 개발 등을 협력할 예정이다. 두산에너빌리티 박홍욱 파워서비스 BG장은 “두산에너빌리티는 2009년 설립한 대규모 생산공장인 두산비나를 통해 다수의 베트남 발전소에 기자재를 성공적으로 공급하며 베트남 기계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해 오고 있다”며 “이번 협약을
[더테크 뉴스] 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 자회사 텔레다인 플리어는 보조현실(Assisted Reality) 웨어러블 솔루션 기업 리얼웨어가 세계 최초의 완전 핸즈프리 음성 제어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출시하고, 플리어 열화상 프로그램(Thermal by FLIR)의 협력사로 합류했다고 밝혔다. 또한 플리어 열화상 프로그램 협력사 울레폰은 최근 Lepton 3.5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최초의 모바일 핸드셋인 Power Armor 18T 5G 안드로이드 폰을 출시했다. 텔레다인 플리어 비냉각 열화상 카메라 코어 사업부 부사장 마이크 월터스는 “플리어 열화상 프로그램은 텔레다인 플리어 열화상 카메라 모듈과 전문성을 활용해 혁신적인 제품을 구현하는 리얼웨어 및 울레폰을 비롯한 OEM 업체들을 지원하는 제품 개발 및 마케팅 협력 프로그램이다”며 “이 프로그램을 통해 파트너사들은 비냉각식 열화상 기술 분야의 세계적인 리더인 플리어와 협력해 시장 출시시간을 단축하고, 개발 비용을 낮추는 것은 물론, 비즈니스 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리얼웨어 Navigator 500 헤드셋을 위한 열화상 카메라 모듈은 일선의 작업자들이 고해상의 선명한 열화상 이미지를 캡처해
[더테크 뉴스] 비씨비전(VICIVISION)는 농업용 장비 및 트랙터용 부품 생산기업 트렌턴(Trenton) 부품 생산과정에 자사 측정장비를 적용,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렌턴 조르다노 체키니(Giordano Cecchini)는 “비씨비전 측정 장비를 사용해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며 “생산 및 품질 측면에서 최상의 장비를 사용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비를 통해 전체 라인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렌턴은 M2018 Techno와 터치프로브를 사용해 제조라인에서 다양한 부품을 측정하고 있다. 체키니는 “우리 시설은 최대 1500mm 길이의 부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키웨이 슬롯과 플레인을 측정하기 위해 터치프로브를 사용해 비씨비전 장비로 부품을 검사하고 있다. 이 장비는 길이 2000mm, 너비 180mm의 부품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트렌턴이 생산하고 있는 기계 부품들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트렌턴은 페이싱 및 센터링에서 그라인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품을 제조할 수 있는 기업으로 품질 및 수율 개선에 특히 중점을 두고 있으며, 생산 공정 내에서 품질과 효율을 모두 개선시키기
[더테크 뉴스] 루닛은 최근 홍콩 및 몽골 대형병원에 AI 유방암 검진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루닛은 이번 계약에 따라 홍콩 최대 영상센터인 HKWI(Hong Kong Women’s Imaging) 병원과 몽골 국립암센터(National Cancer Center of Mongolia) 및 몽골 울란바토르 소재 의료기관인 Breast Clinic of Ulaanbaatar에 유방촬영술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공급하게 됐다. 홍콩 HKWI 병원은 홍콩에서 유방영상 촬영량이 가장 많은 여성 유방암 검진에 특화된 의료기관으로, 홍콩 중심상업지구 내 4개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루닛은 이번 HKWI 병원 공급 계약을 시작으로 홍콩 공립병원 관리기구인 홍콩 병원관리국(Hospital Authority) 산하 다수의 병원들과 함께 AI 제품 도입을 논의하고 있다. 몽골 국립암센터는 몽골 최대 암전문 병원으로 유방암 진단과 치료를 맡고 있는 유방외과 내에 루닛 인사이트 MMG를 설치해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Breast Clinic of Ulaanbaatar는 몽골에서 루닛 제품을 최초로 도입한 기관으로 울란바토르에서 2개
[더테크 뉴스] 포스코ICT가 산업용 로봇 엔지니어링 사업을 본격화한다. 포스코ICT는 22일 로봇 제어 전문기업 다임리서치와 ACS(AGV Control System, 무인운송로봇 제어시스템) 공동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ACS는 제조 현장에서 운영되는 무인운송로봇인 AGV(Automated Guided Vehicle)와 자율이동로봇인 AMR(Autonomous Mobile Robot)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현장에서 기존 운영중인 상위시스템과 로봇간 실시간 통신을 통해 로봇에게 작업을 할당하고, 작업장내 이동 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제어해 최적의 로봇 운영을 지원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포스코ICT는 고위험‧고강도 산업 현장에 로봇을 적용하기 위한 컨설팅, 설계,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등 로봇 자동화 엔지니어링 전반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용 로봇의 경우 현장 적용을 위해 해당 사업장에 어떠한 로봇이 최적의 솔루션인지 발굴 및 컨설팅하고, 기존 시스템들과 연계해 통합 운영을 지원하는 사업자가 필요한데 포스코ICT가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번에 포스코ICT와 협력을 추진하는 다임리서치는 2020년 카이스트 장영재 교수가 설립해 AI, 디지털트윈 기술
[더테크 뉴스] 한양대학교는 생명과학과 남진우 교수와 손장일 박사, 최민학 박사과정, 이도헌 석박통합과정 연구원으로 구성된 연구팀이 초고속, 고정밀의 암 유전체 분석 기술인 에칭(ETCHING)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해당 기술은 융합유전자 분석을 기존 대비 10배 이상 빠르면서도 정확히 수행해 신속진단과 표적치료가 필요한 암 환자, 희귀질환환자 등에 정밀의료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의료현장에서 사용되는 암유전체 변이 탐색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외국에서 개발된 것이 사용되며, 상업적 이용 시 사용료를 지불한다. 정밀의료를 위한 유전체 분석이 빈번히 사용되면서 국부 유출은 물론 해외 연구기관에 의존적인 구조가 형성됐다. 남진우 교수팀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전장유전체 변이를 탐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국산화를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를 통해 개발된 에칭은 대규모 참조유전체의 K-mer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해 암유전체 데이터에서 특이서열만 고속추출하는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기존 소프트웨어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구조변이를 탐색할 수 있게 만들었다. 또 AI 기술을 접목해 오류를 최소화하고 보다 정밀한 구조변이 분류
[더테크 뉴스] 연세대학교와 삼성전자가 시스템반도체 분야 인력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을 강화한다. 연세대학교는 21일 삼성전자와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신촌캠퍼스에서 시스템반도체공학과 대학원 계약학과 설립 협약식을 진행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연세대 서승환 총장, 김은경 교학부총장, 박승한 연구부총장, 명재민 공과대학장, 김갑성 기획실장, 정성욱 교수를 비롯해 삼성전자 최시영 사장, 김선식 부사장, 김준석 상무, 노미정 상무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기존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학부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대학원 석박사 인력 양성으로 확대하는 것이 특징이다. 연세대는 2023학년도 2학기부터 시스템반도체공학과 대학원 계약학과를 설립해 연 석사 30명, 박사 10명을 선발한다. 선발된 대학원 학생들은 학위 과정 중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분야 연구를 진행하며 졸업 후 삼성전자 입사가 보장된다. 또한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계약학과 학부 정원을 2024학년도부터 연 50명에서 100명으로 증원해 반도체 분야 인력 양성을 한층 더 강화한다. 연세대 서승환 총장은 “이번 협약식은 2019년 시스템반도체공학과 학부 계약학과 신설에 이은 또 하나의 뜻깊은
[더테크 뉴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양자정보기술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단일 전자원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기존 방식 대비 연구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면서 더 우수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어 국내 양자컴퓨팅과 양자정보기술 발전을 가속할 전망이다. 단일 전자원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해 전자 입자를 하나씩 내보낼 수 있는 장치다. 양자정보기술이나 양자컴퓨팅에 필요한 양자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처럼 독립적인 입자를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그간 단일 전자원은 전류의 단위인 암페어의 정의를 구현하기 위해 개발돼 왔지만, 움직이는 입자를 기반으로 하는 양자기술 연구는 단일 전자가 아닌 단일 광자(single photon)를 활용한 방식이 주를 이뤘다. 기존의 단일 전자원은 사용되는 에너지가 너무 높거나 낮아 양자 현상을 관측하거나 전자와 정공을 분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번에 개발한 단일 전자원은 이차원 화합물 반도체에 전기장을 가해 양자우물을 만든 뒤, 양자우물에 흡수된 전자를 에너지 필터를 거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원하는 채널에 내보내는 원리다. 기존 단일 전자원들의 장점만을 결합해 복잡한 테크닉이나 고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