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이지영 기자] SK텔레콤의 AI 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스포츠 서비스를 강화한다. SKT는 네이버, 아프리카TV와 함께 AI 미디어 기술 공동 활용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각 사가 보유한 AI 미디어 기술을 공동으로 활용해 스포츠 산업 발전과 AI 시대에 걸맞은 맞춤형 스포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사는 시청자가 선호하는 팀과 선수들을 AI가 분석해 원하는 비디오 클립을 자동 추출해서 제공하는 AI 하이라이트의 공동 사용을 계획하고 있다. 아울러 중계방송 중 광고를 트래킹해 광고의 빈도와 노출 시간을 측정해 광고주와 스포츠 관계자의 광고비 정산을 AI로 분석한다. 중계방송의 광고를 자동으로 인식해 특정 시청자를 타겟팅한 광고로 바꿔주는 시스템도 도입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은 2024년 야구 시즌을 시작으로 골프, 농구, 배구 등으로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MOU 체결에 대해 각 사는 AI 및 미디어 기술을 활용해 스포츠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시청자들에게 더욱 풍부하고 개인화된 스포츠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더테크=이지영 기자] 박상규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이 2024년을 맞이해 회사의 본원적 경쟁력 강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박상규 총괄사장은 2일 SK이노베이션 임직원에게 보낸 이메일 신년사를 통해 사업 전반의 체질개선 및 포트폴리오 내실 다지기 등을 강조했다. 지난해 12월 취임한 박 총괄사장은 “SK이노베이션은 그린 에너지 & 소재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쉼 없이 달려왔다”며 “그린 기술 기반의 사업 포트폴리오 혁신으로 ‘카본 투 그린(Carbon to Green)’의 토대를 만들어 냈다”고 그간의 사업성과를 평가하고 구성원을 격려했다. 박 총괄사장은 초불확실성의 시대를 맞아 SK이노베이션 계열 모두가 본원적 상럽 경쟁력 확보 방안을 마련해 적극 추진해갈 것을 주문했다. 구체적으로 “생존이 위협받는 글로벌 경영환경 속에서 체질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인풋 대비 아웃풋이라는 효율성 관점에서 전략방향을 재점검하고 경쟁력 강화방안을 도출하자”고 말했다. 박 총괄사장은 “SK이노베이션 계열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과거와 현재의 성과, 앞으로의 전망, 수익성, 경쟁력, 리스크 측면에서 냉철히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한된 자
[더테크=이지영 기자] 삼성전자가 자사 청소기에 인공지능(AI)을 탑재해 고도화된 제품을 소개한다. 삼성전자는 내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가전 전시회 CES 2024에서 AI가 추가된 청소기 신제품을 공개한다고 28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먼지 흡입과 물걸레 청소를 청소기 한 대로 수행하는 겸용 제품에 대한 높은 수요를 반영해 건습식 겸용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제트 봇 콤보’를 선보인다. 비스포크 제트 봇 콤보는 물걸레의 냄새와 세균 번식을 우려하는 소비자를 위해 물걸레 살균 기능이 탑재됐다. 또 물세척·스팀·살균·열풍 건조의 단계별 물걸레 자동 세척 시스템이 적용됐다. 사용자는 로봇청소기가 걸레질을 마치고 청정스테이션으로 돌아오면 오염된 물걸레 패드를 자동으로 고온 세척해주고 스팀 살균 후 열품 건조 진행하기 때문에 깨끗한 관리가 가능하다. 특히 로봇청소기는 사물인식과 주행 성능이 AI를 기반으로 대폭 업그레이드됐다. AI 바닥 감지 기능으로 마룻바닥과 카펫을 구분해 바닥 재질에 따라 맞춤 청소를 진행한다. AI 사물 인식은 3D센서와 사물인식 카메라가 적용돼 약 1cm 높이의 작은 장애물뿐 아니라 스마트폰 케이블, 반려동물 패드 등 다양한 사물을 인
[더테크=이지영 기자] 삼성전자가 다음달 9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릴 CES 2024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삼성만의 푸드 생태계를 선보인다. 전시회에서 삼성전자는 2024년 ‘비스포크 냉장고 패밀리허브 플러스’와 ‘애니플레이스(AnyPlace) 인덕션’, ‘삼성 푸드(Samsung Food)’ 서비스의 유기적 연결을 통한 주방 경험을 전달한다. 삼성전자의 패밀리허브는 지난 2016년 출시돼 CES 혁신상을 8회나 수상한 제품으로 주방을 조리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엔터테인먼트와 소통의 공간으로 재해석한 홈 IoT 허브다. 올해 신제품은 한층 강화된 AI로 식재료를 관리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무형 삼성전자 DA사업부 CX팀장(부사장)은 “삼성전자는 한층 진화한 AI 기술을 기반으로 냉장고·인덕션과 같은 하드웨어와 삼성 푸드로 대표되는 소프트웨어가 매끄럽게 연동된 푸드 에코시스템을 구축했다”며 “더 많은 소비자들이 삼성의 에코시스템 안에서 편리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혁신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AI 비전 인사이드(AI Vision Inside) 기능은 냉장고 내부 카메라가 식재료를 촬영해 푸
[더테크=이지영 기자]HD현대가 구글 클라우드와 손잡고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사 디지털 산업 혁신을 가속화한다. HD현대는 구글 클라우드의 기술, 솔루션을 기반으로 자사 AI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HD현대는 세계 1위 조선 사업과 국내 1위 건설기계 사업 등 핵심 비즈니스에 생성형 AI 기술을 도입하고 디지털 혁신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구글 클라우드는 기업 맞춤형 AI 플랫폼인 버텍스 AI(Vertex AI)를 포함해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HD현대의 여러 산업 분야에서 경험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양사는 2024년 1월부터 △산업 특화 AI 솔루션 및 서비스 개발 △사용자 디지털 경험 향상을 위한 AI 기반 플랫폼 개발 △AI 전문가 양성 등 사업 효과가 큰 과제를 우선 수행하기로 했다. HD현대는 올 7월부터 구글 클라우드와 파일럿 프로젝트로 HD현대건설기계 AS콜센터에 생성형 AI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으며 중장기 AI 로드맵을 수립해 업무 혁신과 함께 디지털 산업 전환을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HD현대는 올 1월 AI 전문 조직인 AI센터를 출범해 자사에 특화
[더테크=이지영 기자]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해 많은 기업이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안전한 AI 활용을 위한 교육이나 윤리지침이 없어 신뢰도나 안정성 측면에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보고서는 최신 기술의 도입만큼 사용자들을 위한 교육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AI CRM 전문기업 세일즈포스는 ‘직장 내 생성형 AI 활용 전망과 위험’에 대한 연구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영국, 독일, 프랑스, 캐나다 등 전세계 14개국 1만4000명의 직장인을 조사했다. 그 결과 직장인들은 생성형 AI가 업무 생산성과 커리어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인식했다. 하지만 기업으로부터의 교육이나 플랫폼에 대한 명확한 승인 없이 해당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일즈포스에 따르면 전세계 직장인 중 28%가 직장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 중 71%는 업무 생산성이 높아졌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생성형 AI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신뢰와 안정성 측면에서 다양한 위혐 요소들이 있다는 것에 대한 우려도 상당했다. 아울러 전체 응답자의 42%가 생성형 AI 기술에 대한 숙련도가 향후 승
[더테크=이지영 기자] SK텔레콤이 한국철도공사와 손잡고 지하철 혼잡도 정보 제공 서비스를 개발한다. 통신 빅데이터와 교통카드 정보를 결합해 SKT의 ‘에이닷’과 ‘코레일 지하철톡’ 앱으로 조만간 혼잡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KT는 한국철도공사와 ‘통신 빅데이터 기반 광역철도 혼잡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서비스 개발에 나선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SKT와 코레일이 가진 데이터와 기술력을 결합해 광역철도 혼잡도 정보를 추출하고 공개함으로써 시민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광역철도 이용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진행됐다. 서비스 개발을 위해 SKT는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혼잡도 산출 모델을 개발하고 해당 정보를 코레일에 제공할 예정이다. 코레일은 실시간 열차 및 교통카드 정보를 SKT에 제공한다. 각각의 데이터는 SKT 에이닷과 코레일 지하철톡 앱을 통해 서비스될 예정이다. 양사는 혼잡도가 높은 수도권 지하철 1, 3, 4호선 중 코레일 운행 구간의 서비스를 내년 초부터 우선 제공하고 단계별로 구간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협력을 계기로 통신데이터 및 AI 기술력을 활용해 수도권 광역철도를 이용하는 시민
[더테크=이지영 기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19일 KIST 전북 복합소재기술연구소에서 RAMP(RAMP, Convergence Research Center for Recyclable Air mobility, Materials and Platform) 융합연구단 현판식을 진행했다. RAMP 융합 연구단은 총괄주관기관인 KIST를 중심으로 KIMS, KITECH 등 출연(연)과 한국자동차연구원, LG화학 등 총 19개 기관이 협력해 재활용 가능한 미래 에어 모빌리티 구조용 소재·부품 경량화 플랫폼 기술 개발을 목표로 6년간 총 사업비 434억원 규모의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단은 도심항공교통(UAM)과 같은 미래 에어 모빌리티에 적용할 수 있는 친환경 탄소복합소재 부품 및 재활용 업사이클링 플랫폼 기술 목표로 탄소 저감과 자원 선순환을 추진한다. 탄소복합소재는 금속보다 가볍고 강도가 높아 에어 모빌리티 분야에서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지만 자연 분해가 되지 않아 재활용이나 업사이클링이 어려웠다. 연구단에서는 친환경 복합소재 개발과 상용화 연구도 진행해 산업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융합연구를 총괄하는 정용채 KIST
[더테크=이지영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국군장병의 복지증진과 국방수송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난 9월 국군수송사령부와 상호 방문 등 교류 활동을 진행해온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번 협약과 함께 보다 구체화된 군 경쟁력 고도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18일 국군수송사령부와 ‘국방수송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국군수송사령부 소회의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와 이정휘 국군수송사령관 등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 양측은 이번 협약을 기점으로 국군장병의 복지 증진과 국방수송 발전을 위해 적극 협력하고 상호발전을 도모해나갈 계획이다. 국군수송사령부는 군 수송지원 업무를 관장하는 기능사령부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9월부터 상호 방문 등 교류 활동을 진행해왔으며 이번 협약으로 구체화된 군 경쟁력 고도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카카오 모빌리티는 △카카오모빌리티만의 완성형 MaaS 플랫폼 및 자율주행·군집주행·디지털트윈·UAM 등 미래 모빌리티 기술 연계를 통한 수송 △국방혁신 4.0 추진을 위한 신기술 개발 및 정보 체계 발전을 위한 상호 교류 △격오지 이동 지원 등 장병 복지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더테크=이지영 기자] 포스코그룹이 주요 그룹사들이 참여한 입찰담합 피해예방 TF를 꾸리고 그룹사 차원에서 담합 피해를 사전 예방하는 활동을 강화해가고 있다. 포스코그룹의 ‘입찰담합 피해예방TF’는 작년 12월부터 포스코홀딩스, 포스코, 포스코이앤씨, 포스코퓨처엠, 포스코플로우, 엔투비 총 6개사가 참여해 그룹사별 입찰담합 피해 위험성을 평가하고 개선점을 찾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TF는 지난 1년간 그룹사별 다양한 입찰 관련 자료를 분석해 해당 계약부서가 담합 징후를 사전에 점검할 수 있는 검증 목록을 만들어 배포했다. 현행 계약제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담합 요인을 분석해 적정가 낙찰제 및 공급사 풀 확대 등 개선안도 마련했다. 아울러 입찰 담합 징후 발견 시 신고와 대응 절차를 마련해 각 그룹사에 전파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20년간 지속적인 CP(Compliance Program,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활동을 수행하며 공정거래위원회의 CP 평가에서 우수 등급을 취득하고 모든 그룹사에 확산하는 등 성과를 거뒀다. 이를 바탕으로 민간기업 최초로 ‘입찰담합 피해예방’분야에서 그룹사의 자율준수 프로그램도 시행 중이다. 포스코그룹은 자율준
[더테크=이지영 기자] RS그룹이 설계 프로세스 간소화를 위한 새로운 클라우드 시뮬레이션 툴인 ‘디자인스파크 회로 시뮬레이터’를 위한 전략적 전자설계자동화(EDA) 공급업체로 지멘스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RS그룹은 15일 솔루션 평가를 거쳐 아날로그, 디지털, 혼합 신호 및 다중 도메인 설계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회로 시뮬레이션 툴인 지멘스의 파트퀘스트(PartQuest) 소프트웨어를 최신 ‘디자인스파크 회로 시뮬레이터(DesignSpark Circuit Simulator)’ 툴을 구동하기 위한 기술로 선택했다. 디자인스파크는 130만명의 회원을 보유한 커뮤니티를 위해 전자 및 메카트로닉스 회로와 시스템 설계, 모델링, 시뮬레이션 및 분석을 진행하는 포괄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AJ 인코르바이아(AJ Incorvaia)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전자 보드 시스템 부문 수석 부사장은 “지멘스가 RS의 디자인스파크 플랫폼의 핵심 기술 파트너로 선정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디자인스파크 커뮤니티에 강력한 회로 설계 및 시뮬레이션 리소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테크=이지영 기자]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플랫폼을 제공하는 씨엘모빌리티의 ‘모블(Mobble)’이 조달청 우수조달물품 신규 지정됐다고 14일 밝혔다. 모블은 실시간 탑승 수요에 대응해 운행 경로와 시간, 횟수를 탄력적으로 적용해 운송 효율을 높이는 플랫폼이다. 모빌리티 운영 효율화를 통해 도시 탄소 중립과 기업 ESG 경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씨엘모빌리티는 수요응답형(Demand Response Transport) 플랫폼인 모블을 인천과 인제, 아산, 울산, 대구,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쿠팡, 대한항공 등에 공급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관련기사: 승객 따라 경로 바뀌는 셔틀버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누빈다) 박무열 씨엘모빌리티 대표는 “조달청 우수조달물품에 선정돼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도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더욱 발전된 서비스를 선보이고 지속 가능한 이동을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씨엘모빌리티는 자율주행, 출퇴근 통근버스, 관광, 배송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서비스를 확장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조달청 우수조달물품 제도는 중소기업이 생산한 제품 가운데 기술력과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지정하는 제도다. 씨엘모빌리티는 이번 선정을 통해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