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지영 기자] KAIST는 ‘과학교육나눔(KSOP)’, ‘OPEN KAIST’, ‘일반인을 위한 KAIST형 IT·AI 사관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미래 과학기술 인재 발굴과 과학문화 생태계 조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이광형 총장은 “KAIST는 교육 나눔을 통해 기회의 사다리를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경제적·지역적 여건과 상관없이 모든 아이들이 과학자를 꿈꿀 수 있도록 과학문화 확산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KSOP은 사회적 배려 대상 청소년 중 수학·과학 잠재력을 지닌 학생을 선발해 KAIST 재학생·대학원생이 멘토링을 제공하는 대표 영재 교육 프로그램이다. 2015년 250명으로 출발해 2022년부터 연 1,000명 규모로 확대됐으며, 2025년까지 누적 약 8,000명이 참여했다. KSOP 졸업생의 70% 이상이 이공계로 진학했고 졸업생이 멘토로 돌아오는 지식 환류 구조도 자리 잡았다.
교육 효과는 지역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대전, 세종, 화성뿐 아니라 제주, 목포, 안동 등 교육 소외지역에서도 창의과학 교육 봉사가 이루어졌으며, 멘티가 다시 초등학생을 지도하는 사례는 과학문화 확산의 모범 모델로 평가된다. KAIST는 학부모 설명회, 가족캠프, 상담 프로그램 등 가정 단위 교육 지원도 확대하고 있으며, 2025년 다섯 번째 가족캠프가 열린다.
또한 졸업생과 멘토 중심의 ‘KSOP FRIENDS’는 장학·멘토링·기부가 선순환되는 생태계를 구축했고, 국민 참여형 소액 정기기부 모델인 ‘키다리 아저씨 프로젝트’로 확장되며 사회적 기여를 확대하고 있다.
KAIST의 대표 과학문화 행사인 ‘OPEN KAIST’도 큰 성장세를 보였다. 연구실과 캠퍼스를 격년으로 개방하는 이 행사는 2025년 방문객 수가 2023년 대비 4배 이상 증가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주요 연구실 투어는 사전 대기자가 몰릴 정도로 관심을 끌었고, KAIST는 참여 기회를 더욱 확대하고 운영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반인·군 장병 대상 디지털 인재 교육도 강화되고 있다. ‘KAIST IT 아카데미’는 AI·프로그래밍 기초를 실습 중심으로 교육하는 비학위 프로그램으로 연 1,000명 규모로 운영된다. KAIST의 SW 사관학교 ‘정글’은 2021~2024년까지 308명이 수료했으며 네이버, 크래프톤, 우아한형제들 등 주요 IT 기업으로 진출한 인재를 배출했다. 정글의 성공 모델은 2022년 크래프톤의 ‘크래프톤 정글’로 확장돼 민간 기업으로 전파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