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미 뷰티 수입 41억 달러… K-뷰티 수출 4배 성장

KITA ‘남미 뷰티 수입시장 분석 및 현지 진출 확대 방안’ 보고서

 

[더테크 서명수 기자]  미국과 아세안을 중심으로 K-뷰티 수출이 지속 성장하는 가운데, 남미 시장이 새로운 잠재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는 남미 소비 특성에 맞춘 맞춤형 전략이 향후 점유율 확대의 핵심이라고 분석했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4일 발표한 ‘남미 뷰티 수입시장 분석 및 현지 진출 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남미 뷰티 수입은 41억 3,000만 달러로 2021년 이후 연평균 4.7%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품목별로는 화장품이 전체의 34.9%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으며, 향수(23.1%)와 헤어케어 제품(19.4%)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의 남미 뷰티 수출도 눈에 띄게 성장했다. 2020년 1,530만 달러였던 수출액은 2024년 7,020만 달러로 4배 이상 확대됐다. 이에 따라 한국의 남미 뷰티 수입시장 순위는 17위에서 13위로 상승했으며, 시장 점유율도 0.7%에서 1.6%로 확대됐다.

 

품목별로는 화장품이 90% 이상을 차지했고, 샴푸와 린스 등 헤어케어 제품은 6.5%를 기록했다. 국가별 수출 비중은 브라질이 45%로 가장 높았고, 칠레(23.2%), 콜롬비아(9.4%), 페루(8%) 순이었다.

 

보고서는 남미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K-뷰티 브랜드에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화장품은 성능 중심을 넘어 친환경성과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는 가치 중심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 헤어케어와 치약 등 생활용품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숏폼 마케팅 활용이 필요하며, 향수는 커피·코코넛 등 이색 원료를 활용해 틈새시장을 공략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한국무역협회 임윤호 연구원은 “남미는 외국 제품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한류 소비재 인기가 높아지는 시장”이라며, “제품 특성과 현지 소비 트렌드를 결합한 맞춤형 전략을 통해 K-뷰티가 글로벌 시장에서 또 하나의 성장축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