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서명수 기자] 정부가 국내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500억 원 규모의 미래차 산업기술혁신펀드를 조성하고, 지역 중심의 산·학·연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등 ‘K-모빌리티 글로벌 선도전략’을 발표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14일 기아 PBV 전용 생산공장 EVO 플랜트 현장을 방문하고 제1차 미래차 산업전략 대화를 주재하며 전략을 공개했다.
이번 전략은 전기차 전환 지원금 최대 100만 원 지급, 미래차 부품 전문기업 200개 지정 및 육성, 국내 생산 400만대+α 유지 등 생산·부품·기술 전 분야를 아우르는 정책을 담고 있다. 정부는 AI·자율주행 기술 경쟁 격화, 탄소중립 대응, 부품 생태계 전환, 해외시장 다변화 등 현안을 고려해 산업 전반의 재도약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미국 자동차·부품 관세 인하에 따른 수출기업 부담 완화를 위해 정책금융 15조 원 이상 확대, 원자재 품목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 전기·수소차 구매융자 지원 등 다양한 금융 지원책을 시행한다. 한-멕시코 FTA 협상 환경 조성 및 한-말레이시아 FTA 발효 추진 등 수출시장 확대도 병행한다.
K-모빌리티 마더팩토리 구축을 통해 친환경차와 첨단 부품 생산을 강화하고, 전기차 기술개발 지원으로 2030년 주행거리 1,500km, 5분 충전, 내연차와 동등한 가격 수준 달성을 목표로 한다. 제조 과정 전반에 AI를 활용하고 미래차 AI 팩토리를 구축하며, 근로자와 첨단 로봇의 협업을 통한 ‘일터 혁신’도 추진한다.
또한 정부는 2030년까지 미래차 전문기업 200개 지정, 내연차 부품기업 70%를 미래차 부품기업으로 전환하도록 지원하며, AI·자율주행 전문인력 7만 명을 양성한다. 완전 자율주행차 시대에 대비해 E2E-AI 기반 자율주행 기술 개발, SDV 표준플랫폼 구축, 차량용 반도체 자립화율 향상, AI 모빌리티 종합 실증 컴플렉스 조성 등 기술 경쟁력 확보에도 나선다. 제도 개선을 통해 2028년까지 자율주행차 본격 양산 기반을 마련하고, 실증 범위를 도시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정부는 전략적 해외 진출과 국내 투자 촉진을 균형 있게 추진하고, 산·학·연 클러스터 조성, 지역별 경쟁력 강화, 5극3특 성장엔진 선정을 통해 자동차 산업의 지역 특화 전략을 실행한다. 이를 통해 국내 자동차 산업의 생산·기술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시장 주도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