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5일 (사)코리아스타트업포럼과 간담회를 갖고 스타트업계 현장 의견을 청취하는 모습. [사진=중소벤처기업부] ](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50834/art_17558288960449_db258c.jpg?iqs=0.32738910343519967)
[더테크 이승수 기자] “정책 고객의 시간을 1초라도 아껴주는 것이 공공 서비스 혁신입니다.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전달체계 개선을 통해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A부터 Z까지 획기적으로 혁신하겠습니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21일 열린 ‘중소기업 정책 전달체계 개선’ 현장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해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중소기업 정책 수요자와 전문가, 유관기관 관계자 등 약 15명이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한 장관 취임 이후 추진 중인 ‘중소기업 정책 현장투어’의 네 번째 일정으로, 앞서 기술 탈취, 수출 위기 대응, 제조업 AX·DX 전환 등을 주제로 진행된 바 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지원사업 신청 시 과도한 행정 부담, 제3자 부당 개입, AI 기반 혁신기업 선별 필요성, 지원사업 정보 불균형 등 다양한 현안을 제기했다.
특히 지원사업 신청 절차의 복잡성과 행정 부담이 큰 문제로 지적됐다. 공고 확인, 자격 요건 검토, 증빙서류 제출 등 과정이 과도하다는 의견에 따라 행정정보 연계 강화와 서류 간소화 필요성이 강조됐다.
일부 브로커나 대행업체의 과도한 수수료 요구, 허위 자료 제출 사례도 공유되며 관리·감독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아울러 AI 기술을 활용해 기업의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에 우선 지원해야 한다는 제안도 이어졌다.
중소기업 지원사업 정보의 분산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참석자들은 부처·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지원사업 정보를 한 곳에서 검색·신청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기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을 관계부처와 공유하고, 단기·중장기 과제로 나눠 실행 가능한 과제부터 신속히 추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