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이하 한화큐셀)이 미국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짓고 현지에 청정에너지를 공급한다. 사진은 ] 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이하 한화큐셀)이 미국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짓고 현지에 청정에너지를 공급한다. [사진=한화큐셀]](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20623/art_16546498465804_c1a643.jpg)
[더테크 뉴스] 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이하 한화큐셀)이 미국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짓고 현지에 청정에너지를 공급한다.
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은 8일 미국 와이오밍주에 150메가와트(MW) 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2023년 말까지 완공한 뒤 현지 에너지 기업에 전력을 공급하는 내용의 전력거래계약(PPA)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PPA는 기업 등 전력구매자가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일정 기간 계약된 가격으로 전력을 거래하는 것을 말한다.
이번 사업은 태양광 발전소의 사업 개발부터 모듈 공급, 설계·조달·시공(EPC), PPA 체결까지 다운스트림 사업의 핵심 과정을 한화큐셀이 직접 수행하는 첫 번째 사례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다운스트림 사업은 태양광 발전소 프로젝트 개발, 시공업 등이다.
이번에 건설되는 발전소는 전소는 연간 약 350기가와트시(GWh)의 친환경 전력을 생산하는데 이는 한국 가정용 기준 약 39만명이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생산된 전력은 현지 에너지 기업을 통해 전력 소비자에게 공급된다. 이 전력을 사용하는 기업들은 온실가스 감축은 물론 소비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RE100 이행 실적을 쌓을 수 있다.
최근 유럽, 미국 등 주요 국가의 탄소국경세 도입이 본격화되고 RE100 선언 및 ESG 경영 강화 추세가 확산되며 RE100 이행 수단 중 하나인 PPA 계약 체결도 활발해지고 있다. RE100의 공동 주최사인 CDP에 따르면 RE100 참여 기업들이 PPA를 통해 조달한 재생에너지 비중은 2016년 13%에서 2020년 28%로 2배 이상 늘어났다.
한국에서도 기업 등 전력소비자가 PPA를 통해 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됐다. 지난해 3월 전력소비자가 재생에너지 공급사업자와 직접 전력구매계약을 맺을 수 있도록 한 전기사업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RE100 이행을 약속한 국내 기업이 느는 추세다.
토탈 에너지 솔루션 강화해온 한화큐셀은 성장하는 PPA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화큐셀은 지난해 미국에서 168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준공하고, 380MWh(메가와트시)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ESS) 단지 개발에 착수한 바 있다. 국내에서는 경남 합천군에 설비용량 41MW 규모의 댐 수상 태양광 발전소를 준공했다.
이구영 대표이사는 "한화큐셀은 발전소 사업과 분산 전원 사업 등을 포괄하는 글로벌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며 "발전소 사업에 더욱 적극적으로 진출해 청정에너지 공급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