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2025년까지 미국 내 설비 비중 70% 확대

 

[더테크 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배터리 기업과 배터리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들의 글로벌 투자, 시장 점유율 등 실적을 정리한 자료를 12일 발표했다. 


지난해 미국에서는 신규 배터리 생산설비 대부분에 우리 기업들이 참여해 신규 설비투자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나타냈다.

 

미국의 경우, 신규 배터리 생산설비 대부분에 우리 기업들이 참여했다. 지난해 美DOE(에너지부, Department of Energy)의 발표에 따르면 2025년까지 미국내 건설 예정인 13개 대규모 배터리 생산설비 중 11개가 국내 3사(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관련 설비로 확인됐다.

 

 

현재 미국내 가동중인 국내기업의 배터리 설비는 미국 전체 생산 설비의 10.3%에 불과하나, 상기 발표된 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될 경우 ‘25년까지 70% 수준으로 비중이 확대될 전망이다.

 

유럽에서는 우리 기업들이 압도적 시장 점유율 유지중이다. EU 지역은 2017년부터 진행된 우리 기업들의 선제적인 투자로 이미 국내 배터리 3사가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다.

 

EU내 배터리 생산설비(Capa) 중 우리 기업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64.2%이며(한국전지산업협회), 지난해 국내 배터리 3사의 EU시장 판매 점유율은 71.4%다. 

 

이 같은 EU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국내 기업들은 현재 생산설비 규모를 ‘25년까지 2배로 확대할(99.7→204.1GWh) 계획이다. 

 

다만, 가장 규모가 큰 중국에서는 중국 자국업체들이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어, 우리 기업들의 실적은 EU·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진한 상황(점유율 10% 내외)이다. 

 

 

그러나 중국을 제외한 현재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우리 기업들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압도적 1위를 달성하고 있다. 현재 시장점유율 및 투자계획 등을 고려하면 2025년까지 EU, 미국에서 우리 기업들의 선전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이다.

 

2017년(시장 초기) 대비 2020년 배터리 4대 소재(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기업들의 매출액은 2~8배 증가했으며, 참고로 같은 기간 배터리 3사의 매출액은 2.5배 증가했다. 

 

이들은 배터리 3사 협력, R&D 지원 등을 토대로 급성장했으며, 2021년 매출액은 2020년 대비 20%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차전지 핵심 원자재의 안정적 수급을 위한 노력도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수산화 리튬은 중국에서 주로 수입하고 있으며, 배터리 3사를 중심으로 호주·칠레·아르헨티나 등으로 수입국 다변화 추진중이다. 

 

2025년 국산화율 37%를 목표로 국내 설비투자(포스코 7만톤, 에코프로 2.6만톤)와 배터리 재활용 등을 추진하고 있다.

 

포스코는 아르헨티나 염호 인수, 호주 광산지분 투자 등으로 ’25년 7만톤의 생산능력 확보 (7만톤은 2020년 수입량의 1.9배 규모)했다. 

 

에코프로는 포항에 ‘탄산리튬에서 수산화리튬 전환공장’을 준공하고, ’203년까지 2.6만톤의 생산능력 확보했다.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실증센터 구축, 공정자동화 기술개발 등을 통해 2025년 1.7만톤, 2030년 2.7만톤의 생산능력 확보했다. 

 

니켈과 코발트는 배터리 3사 및 포스코 등은 광산기업 지분투자, 장기구매 계약을 통해 니켈/코발트 물량을 확보중이다. 한편 전구체 양극재 기업은(포스코케미칼, LG화학, 에코프로GEM, 이앤드디 등) 국내 전구체 생산공장 설비를 2025년까지 5배 이상 확대 추진하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