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지영 기자] LS전선과 LS일렉트릭이 데이터센터(IDC)용 초전도 사업에서 협력한다. 이를 통해 국내 및 베트남 등 해외 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22일 LS전선은 LS일렉트릭과 함께 세계 최초로 IDC용 초전도 솔루션을 출시하고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초전도 솔루션은 22.9kV의 낮은 전압으로 154kV급 대용량 전력을 송전할 수 있어, 도심에 신규 변전소를 짓지 않고도 전력 공급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전자파를 발생시키지 않아 님비(NIMBY) 현상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LS전선은 2019년 세계 최초로 초전도 케이블을 상용화한 경험을 바탕으로 케이블 시스템의 공급과 엔지니어링을 담당하며, LS일렉트릭은 초전도 전류제한기 등을 공급한다. 기존 변전소를 대체하는 초전도 스테이션은 변압기 없이 분배기만으로 구성되며, 기존 변전소의 약 1/20 규모로 설계할 수 있어 공사 비용 절감과 경제성 확보가 가능하다. 초전도 전류제한기는 고장 전류 발생 시 빠르게 반응하여 단락 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한다. IDC의 서비스 중단을 방지하고, 데이터 손실 위험도 줄임으로써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LS전선 관계자는 "초
[더테크=이지영 기자] LS에코에너지가 베트남 국영 인터넷 기업에 전력배전시스템을 공급한다. 최근 사이버 보안법을 시행한 베트남 시장은 IDC 관련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LS에코에너지는 18일 베트남 생산법인 LSCV가 비엣텔넷(Viettel Net)에 데이터센터(IDC)에 버스덕트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비엣텔넷은 베트남의 국영 인터넷 기업으로 LSCV의 버스덕트는 하노이 인근 화락 하이테크 단지에 건설 중인 대규모 IDC에 공급된다. 버스덕트는 금속 케이스 안에 판형 도체를 넣어 전력을 공급하는 제품으로 플랜트, 빌딩, 아파트 등에서 대용량 전력을 공급할 때 전선을 대신해 쓰이는 제품이다. LS에코에너지에 따르면 IDC에 버스덕트를 활용할 경우 전력 소모를 30% 이상 줄일 수 있다. LS에코에너지 관계자는 “베트남은 ‘사이버 보안법’을 시행하면서 글로벌 IT기업들이 주요 데이터를 베트남 현지에 보관하게 됐다”며 “베트남 IDC 시장은 2028년까지 연평균 1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IDC 특화 버스덕트 솔루션으로 시장을 적극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LS에코에너지는 LS전선, LS마린솔루션과 함께 글로벌 해저케이블 사업확대를 위한 협
[더테크=조재호 기자] KT가 균형 잡힌 성장과 핵심 사업의 실적 개선에 힘입어 시장 기대치에 부응하는 2024년 1분기 실적을 거뒀다. KT는 10일 2024년 1분기 매출이 연결기준 6조6546억원, 별도기준 4조6948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3.3%, 1.6% 성장했다고 밝혔다. 서비스 매출이 4조406억원으로 2010년 이후 약 14년만에 1분기 기준 매출 4조원을 돌파했다. 영업이익은 견조한 유무선 실적에 IDC·클라우드, 부동산 등 그룹 내 핵심 사업분야의 이익 개선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4.2% 증가한 5065억원을 기록했다. 별도기준으로도 1.5% 증가한 3938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무선 사업은 5G 가입자가 전체 가입자 중 74%인 995만명을 돌파하고 로밍 사업과 MVNO 시장 확대로 무선 서비스 매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1.9% 성장했다. 유선 사업은 1%,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2.1%, 미디어 사업은 2.3%씩 매출이 신장했다. 기업인터넷 및 데이터 사업을 포함한 기업서비스 사업은 기존에 수주한 대형 사업에서 발생한 매출과 기업의 AX 서비스 수요 확대에 힘입어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이 5% 늘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유플러스가 B2B 사업 확장에 힘입어 서비스매출 연결기준 2.5%, 별도 기준 2.7% 성장했다. 이는 연초 제시했던 서비스 수익 2% 성장을 넘어선 수치다. LG유플러스는 9일 연결기준 2024년 1분기 매출 3조5770억원, 영업이익 2209억원을 기록했다. 영업매출에서 단말기 매출을 제외한 서비스 매출액은 2조8939억원이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 늘었는데, 서비스매출은 2.5% 증가했다. 이러한 성장세는 B2B 기업인프라 부문의 성장이 꼽힌다. AI컨택센터, 스마트모빌리티 등 신사업을 포함한 솔루션 사업의 성장과 IDC 사업이 두자릿수 매출 증가율을 달성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영업이익은 신규 통합 전상망 구축으로 인한 비용과 휴대폰 판매 증가에 따른 마케팅비용 상승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1% 줄어든 2209억원이다. 회사는 AI 시대가 본격화됨에 따라 AI 기술 적용이 용이하고 보안이 강화된 차세대 통합 전산 시스템을 개발해 적용했다. 부문별 매출을 살펴보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솔루션, IDC, 기업회선 등 사업이 포함된 기업 인프라 부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9% 증가한 4050억원을 기록했다. AI
[더테크=조재호 기자] KT cloud가 AI, 클라우드, IDC(인터넷데이터센터) 업계 관계자·전문가들이 모여 AI전환(AX) 시대의 비즈니스 성장 전략을 논의하고 기술과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KT는 ‘kt cloud summit 2024’를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kt cloud summit 2024’에는 국내 AI, 클라우드, IDC 산업을 선도하는 공공기관, 산업 분야 기업 전문가 1000여 명이 참석했다. DX와 AI가 결합된 AX로의 변화를 준비하며 혁신과 성장을 도모하는 전략, 기술, 비전을 공유하고 고객사 및 파트너사들과의 동반성장 의지도 확인됐다. 행사는 슬로건인 AICT for all Business with Cloud and IDC를 중심으로 30개의 전문가 발표 세션, 파트너사 전시 등이 진행됐다. 오전에는 최지웅 kt cloud 대표의 환영사와 키노트를 시작으로 권헌영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정보화사업혁신TF장 위원, 정우진 KT KT컨설팅그룹장 전무의 키노트가 이어졌다. 우선 최지웅 대표는 ‘Accelerate AX with Cloud and IDC’를 주제로 AX가 가져온 변화에 대해 발표했다. AI 인프라 수요와 고
[더테크=전수연 기자] KT 클라우드가 보다 가치 있는 사업 기회를 창출하고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 할 수 있도록 주요 비즈니스 전략, 핵심 기술을 공유하는 고객·협력사 초청 행사를 진행한다. KT 클라우드는 다음 달 2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kt cloud summit 2024’를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는 이 행사는 올해 ‘AICT for all Business with cloud·IDC’라는 슬로건을 기반으로 AI, Cloud, IDC 분야의 산업 동향·전략, 기술 중심의 서비스 구현·고객 경험 사례를 소개한다. AICT는 통신 역량에 IT와 AI를 더해 IT 관련 전 산업군에서 AI 적용을 확대하는 디지털 혁신 파트너가 되겠다는 KT의 새로운 성장 전략이다. 행사에서는 3개 트랙, 총 30개 발표 세션이 진행되며 KT 클라우드를 비롯한 각 분야의 국내·외 주요 기업 전문가들이 강연자로 나선다. AI서비스, AI디지털교과서, 공공 클라우드, IDC, DaaS, SaaS, 보안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진행되며 행사장 내 참여 기업들의 전시 부스도 운영된다. 키노트 세션에서는 최지웅 KT 클라우드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유플러스(이하 유플러스)가 데이터센터의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평가를 통과해 안전한 관리시스템을 인정받았다. 유플러스는 행정안전부로부터 자사 평촌메가센터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의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을 획득했다고 18일 밝혔다. (관련기사: LG유플러스, 한국토요타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관련기사: 로봇플랫폼으로 '로봇 사용량·패턴' 사전에 진단한다)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은 재난과 같은 위기가 발생했을 때 기업활동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는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BCMS,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를 평가하는 제도다. 행정안전부는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기업의 재난관리 전담조직, 교육, 관련 예산, 협력체계 등을 평가해 인증을 부여한다. 유플러스는 지난 7월부터 자사 IDC 위기 관리시스템을 객관 평가하고 사용자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평가를 받았다. 그 결과 하이퍼스케일 IDC인 평촌메가센터는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을 획득했다. 앞서 유플러스 평촌메가센터는 노르웨이에 본사를 둔 글로벌 인증기관 DNV로부터 재난·재해 대응체계를 평가받고 서비스 연속성 경
[더테크=문용필 기자] SK텔레콤(이하 SKT) 올해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특히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사업 등 엔터프라이즈 부문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SKT가 8일 공개한 2분기 실적(연결 재무제표 기준)에 따르면 매출은 총 4조3064억원, 영업이익은 4634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각각 전년 동기대비 0.4%, 0.8% 소폭 증가한 수치다. 순이익은 3478억원을 나타냈다.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는 매출 3조1192억원, 영업이익 3791억원, 순이익 2728억원이었다. 특히 엔터프라이즈 사업에서 급성장세를 나타냈다. 전년 동기대비 9.2% 증가한 407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데이터센터 사업의 경우 신규 데이터 센터의 가동률 상승과 분당2센터 오픈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30%이상의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 클라우드 사업도 게임과 금융 등에서의 수주를 기반으로 같은 기간 매출이 60% 이상 성장했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김진원 SKT CFO(부사장)는 “견고한 실적을 바탕으로 협력과 자강을 병행해 글로벌 AI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AI컴퍼니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