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연, "3D프린팅으로 고성능 모터 제작 기술 개발"
[더테크 이지영 기자] 고성능 모터 제작이 가능한 자성체 3D프린팅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최초로 개발했다. 미래 모빌리티, 로봇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고성능 모터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자성체 3D프린팅 전용 장비개발과 특화설계로 금형 없이 복잡한 모터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됐으며, 제작한 차세대 모터의 출력 성능 평가까지 완료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 자율제조연구소 3D프린팅장비연구실 하태호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한국재료연구원 김태훈 책임연구원 연구팀, 가천대학교 김원호 교수 연구팀 등과 협력해 설계, 소재, 공정, 장비를 아우르는 자성체 특화 3D프린팅의 전 주기적 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기술의 핵심은 자성체 물성을 극대화하는 3D프린팅 장비를 개발해 금형 제작이 필요 없고 2차원 형상 제약을 극복했다. 또한 제한된 공간에서 높은 토크와 출력을 요구하는 로봇, 전기차, 모빌리티 분야에 적합한 축방향 자속 모터 개발에 적용됐다. 그 결과 출력 밀도 2.0kW/L 이상의 성능을 갖춘 500W급 3D프린팅 모터를 구현할 수 있다. 기존 모터는 전기강판 적층이나 분말성형 방식으로 제작되어 금형 사용이 필수적이고 제작 형상 제약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