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메뉴 바로가기
  • 본문 바로가기

2025.10.21 (화)

  • 네이버포스트
  • X
  • Facebook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회원가입
  • 로그인

더테크 (THE TECH) - 대한민국 대표 블루오션 테크 미디어

THE TECH

  •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이슈
  • 현장
  • 피플
  • 오피니언
메뉴
기사검색
닫기
검색창 열기
  • CATEGORY

  •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멀티미디어

    • 포토뉴스
    • 영상뉴스
  • 독자 · 소통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회원가입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한화, 불법 드론 AI로 식별 그물로 포획...'대응기술 확보 나선다'

    [더테크 뉴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드론 등 무인기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확보에 나선다.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공격용, 불법 드론을 자동으로 감지, 식별, 무력화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해 국가 안보는 물론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도 극대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국의 록히드마틴 등과 함께 포르템 테크놀로지스에 조건부지분인수계약(SAFE) 방식으로 총 1780만 달러(약 225억원)를 투자했다고 22일 밝혔다. SAFE는 투자금을 선지급하고 추후 할인된 가격에 지분을 취득하는 입도선매 형태의 투자 방식으로, 치열한 초기 투자 경쟁에서 기술력 있는 유망 스타트업을 발 빠르게 선점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포르템 테크놀로지스는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자체 개발 레이더로 불법 드론을 탐지한 뒤, 자율주행 드론을 띄워 그물로 포획해 무력화하는 대 드론 방어 시스템을 보유한 기업이다. 드론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도심에서 드론의 파편이 떨어져 부수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이미 실전에서 사용되고 있다. 한화는 포르템 테크놀로지스와 협력해 기존 무기체계와 결합한 드론 대응 기술을 확보하고 향후 도심항공모

    • 이준호
    • 2023-02-22 09:02
  • 한국형 UAM 실증 첫 걸음...국토부 "2025년 상용화 목표"

    [더테크 뉴스] 미래형 모빌리티 도심항공교통(UAM)의 2025년 상용화를 위한 실증 사업이 첫발을 뗀다. 국토교통부는 22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한국형도심항공교통 실증사업(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참여기업들과 협약식을 체결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식에는 실증에 참가하는 7개 컨소시엄의 분야별 주관기업 대표들과 단일분야 실증에 참가하는 5개 컨소시엄‧기업의 주관기업 대표들이 참가한다. 이번 실증에 참가하는 7개 컨소시엄은 대한항공·인천국제공항공사 컨소시엄, UAMitra, 현대차·KT 컨소시엄, K-UAM 드림팀, UAM 퓨처팀, 롯데 컨소시엄, 대우건설·제주항공 컨소시엄 등이다. 각 컨소시엄과 기업들은 상용화 단계에 적용할 운영 시나리오에 따라 운항자, 교통관리 사업자, 버티포트 운영자 간의 통합운용 안정성을 실증하고 도심 진입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소음 등도 측정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해외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그랜드챌린지를 미국, 영국, 프랑스에서 추진하고 있는 실증사업들과 함께 세계 주요 실증사업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내년에는 그랜드챌린지 2단계를 통해 도심에서 실증을시작할 예정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도심 실증을 하

    • 김수민
    • 2023-02-21 14:01
  • LG유플러스, ‘2023 드론쇼코리아’ 참가...UAM사업 속도 낸다

    [더테크 뉴스] 도심항공교통(UAM)의 상용화를 위해 통신, 모빌리티, 에너지 등 산업군 선두 기업이 손을 잡고 속도를 낸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5월 카카오모빌리티, GS칼텍스, 제주항공, 파블로항공,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와 손잡고 국토교통부의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그랜드챌린지(K-UAM GC) 실증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K-UAM GC는 오는 2025년까지 UAM의 국내 상용화를 목표로 비행체의 안전성, 교통관리 기능시험 등을 통합 운용하는 실증 프로그램이다. 1차 사업에서는 올해 참가자 선정과정을 거친 뒤 내년부터 개활지 실증 비행에 돌입할 예정이며, UAM의 운용을 위한 인프라와 중계 플랫폼을 검증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카카오모빌리티, GS건설, 파블로항공과 구성한 UAM 컨소시엄 ‘UAM 퓨처팀(UAM FUTURE TEAM)’이 오는 23일부터 25일까지 사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2023 드론쇼코리아’에서 참여 기업 중 최대 규모의 전시관을 공동 운영한다고 밝혔다. UAM 퓨처팀은 국내 최대 드론 전시회에서 UAM 퓨처팀이 구상하는 UAM 서비스의 미래상을 제시하며, 한국형 UAM 시장 선점을 위한 차세대 도심 교통의

    • 홍주희
    • 2023-02-21 09:52
  • LG전자, 차량 사이버보안 인증...전장시장 글로벌 경쟁력 강화

    [더테크 뉴스] LG전자가 사이버보안 관리체계(CSMS) 인증을 획득하고 글로벌 전장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LG전자는 최근 국제 공인시험인증기관인 TUV라인란드로부터 차량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인증을 완료하고 20일 인증서를 받았다. 유럽경제위원회(UNECE)는 2020년 6월 차량 사이버보안 관련 법규인 ‘UNECE R-155’를 채택하고 2021년 1월 공식 발효했다. 이에 따라 2022년 7월 이후 개발에 들어가는 모든 자동차는 해당 법규에 따른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인증을 받아야 유럽경제위원회 협약국에 출시할 수 있다. 유럽경제위원회에는 유럽연합, 한국, 일본 등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의 56개 국가들이 참여하고 있다. LG전자는 이번 인증으로 유럽경제위원회 회원국에 차량을 판매하는 완성차 고객들에게 철저한 사이버보안을 갖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텔레매틱스 부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문을 연 셈이다.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인증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가정해 디자인, 개발, 생산 및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에 보안이 제대로 적용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모의 해킹 침투 테스트 등을 통해 철저하게 역량을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이뤄진다. 유럽경제위원회는 차량

    • 홍주희
    • 2023-02-20 10:22
  • 기아, ‘UAE IDEX 2023’ 방산전시회 참가...수소 AVT콘셉카 최초 공개

    [더테크 뉴스] 기아가 20일부터 24일까지(현지시간) UAE 아부다비 국립 전시센터에서 개최되는 ‘IDEX 2023’ 방산전시회에 참가한다고 20일 밝혔다. 올해로 16회째를 맞이한 IDEX 방산전시회는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최대 규모의 국제 방위산업 전시회다. 지난 1993년부터 격년으로 개최되고 있으며 기아는 2015년부터 참가를 하고 있다. 올해 기아는 해외에서는 최초로 ‘수소 ATV 콘셉트카’를 공개하고, 주요 시장인 아중동 지역을 겨냥한 소형전술차량 ‘기갑수색차’와 ‘베어샤시’를 전시한다. 수소 ATV 콘셉트카는 기존 엔진 구동 ATV 콘셉트카를 수소 동력을 활용해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차량으로, 저소음 기동을 통해 보다 안전한 임무 수행이 가능한 것은 물론 친환경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미래 전장 환경에서의 주도권 확보가 가능하다. 기갑수색차는 강화 방탄유리, 폭발 압력 완화 시트 등의 안전 사양을 적용해 뛰어난 기동성과 더불어 탑승자의 생존성을 한층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베어샤시는 차량의 기본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과 엔진 등 파워트레인만이 장착되어 있어 장갑차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장비로 개발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갖춘 차량이다.

    • 홍주희
    • 2023-02-20 10:17
  • 2027년 드론 배송 1시간 시대 연다..."도심 내 MFC 허용"

    [더테크 뉴스] 정부가 2026년 로봇 배송‧2027년 드론 배송 조기 상용화를 위해 민‧관 협의체 구성해 추진한다. 또한 AI기반 전국 당일배송 체계 구축을 위해 도심 내 MFC를 허용한다. 국토교통부는20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방안'을 발표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국가 경제를 이끄는 핵심산업으로 성장한 물류산업이 우리나라의 초일류 국가 도약에 일조할 수 있도록 이번 대책을 마련했다”며, “물류산업의 새로운 혁신을 통해 국민의 삶이 더욱 편리해지고, 우리 기업이 세계로 나아감과 동시에 국가 경제가 한층 더 성장하고 도약할 수 있도록 대책 추진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차세대 물류 서비스 조기 구현을 위해 민간의 기술개발 및 실증을 지원하고, 물류 전용 테스트베드 조성도 추진한다. 또한, 무인배송 법제화와 안전기준 마련 등 신기술의 일상 안착을 위한 제도적 기반도 단계적으로 조성한다. 물류뿐만 아니라, 플랫폼, IT 등 여러 분야의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사업화 모델을 발굴하는 등 민간 주도 혁신을 유도한다. AI‧빅데이터 기반 전국 초단시간(30분~1시간) 배송 구현을 위해 도심 내

    • 홍주희
    • 2023-02-20 10:04
  • 일렉트로비트, 소니·혼다 전기차 ‘아필라’에 소프트웨어 공급

    [더테크 뉴스] 자동차 소프트웨어 공급사 일렉트로비트가 CES 2023에서 공개된 소니 혼다 모빌리티(이하 SHM)의 전기차 ‘아필라’ 프로토타입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를 공급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일렉트로비트와 소니의 다년간 협업이 이뤄낸 결과로 현재 소프트웨어 차량을 재해석하기 위한 SHM과 파트너십이 이어지고 있다. 이 파트너십은 2019년 소니의 첫 비전-S(VISION-S) 프로토타입 차량 두 대의 개발을 중심으로 시작됐으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아필라 브랜드 차량은 2025년 양산이 시작될 예정이다. 일렉트로비트는 아필라 프로토타입을 위한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생산하고, SHM은 소니의 생태계를 활용해 새로운 수준의 사용자 경험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일렉트로비트가 개발한 콕핏 시스템은 퀄컴 고성능 컴퓨팅(HPC) 프로세서용 소프트웨어와 모든 콕핏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UX 설계에 이르는 소프트웨어 스택을 포함한다. 이 밖에도 일렉트로비트는 소니와 파트너사들의 모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구성 요소,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괄하는 콕핏 시스템용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필라는 핵심 차량 구동 및 자동차 제조업체의 혁신 방법 모

    • 김수민
    • 2023-02-15 10:06
  • 쌍용자동차, UAE 지역 기반해 중동 시장 수출 확대

    [더테크 뉴스] 쌍용자동차는 아랍에미레이트(이하 UAE)의 ‘NEWEAST GENERAL TRADING JAFZA(이하 NGT)’ 고위 임원진 등 일행이 한국을 방문해 수출 확대에 대한 상호 협력을 논의 했다고 14일 밝혔다. 2월 13일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쌍용자동차를 방문한 NGT 임원진 일행은 토레스와 코란도가 생산되는 평택공장 조립 1라인과 샤시 라인을 둘러보고 토레스 등 시승을 통해 우수한 제품력과 상품경쟁력을 직접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곽재선 회장과 간담회를 하고 수출전략과 제품 개발 계획, 회사의 중장기 비전 등을 공유하고 상호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쌍용자동차와 NGT는 1월 수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올해 7000대를 시작으로 향후 1만 대 수준까지 물량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쌍용자동차는 지난해 4만5294대를 수출해 2016년(5만2290대) 이후 6년 만에 최대 실적을 기록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라크 및 이스라엘 등 중동 지역으로는 3819대를 수출한 바 있다. 특히 쌍용자동차는 사우디아라비아 SNAM사와의 KD 협력사업에 이어 이번 UAE 수출을 통해 중동 지역으로의 수출 물량이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

    • 이준호
    • 2023-02-14 14:29
  • 일렉트로비트, EB 트레소스 9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자동차 ECU 개발 간소화

    [더테크 뉴스] 자동차 소프트웨어 공급기업 일렉트로비트가 자동차 제조업체와 전장 공급업체가 최신 오토사(AUTOSAR) 표준을 기반으로 차세대 제어 모듈(ECU) 개발을 지원하는 EB 트레소스 9(EB tresos 9)의 업데이트를 출시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EB 트레소스는 오토사 R20-11를 완벽하게 지원하고, CES 2023 혁신상 수상 기업 아르거스 사이버 시큐리티가 개발한 Argus CAN IDPS의 업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온보드 침입 탐지 기능을 통합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2027년까지 오토사를 기반으로 하는 ECU가 탑재된 완성차의 점유율이 80%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EB 트레소스 9가 완성차 업체와 1차 협력사의 오토사 표준화 및 개발 비용과 전체 개발 시간 단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EB 트레소스 9는 사이버 보안 위험 관리를 위한 ISO/SAE 21434와 2027년부터 미국 내 모든 차량에 의무화될 온보드 배기가스 진단을 위한 SAE J1979-2를 포함한 보안 및 안전에 대한 최신 기준을 준수하는 소프트웨어 기능의 개발을 간소화한다. 이와 함께 트래픽 모니터링을 통해 위협 및 이상 징후를 감지해 서비스 거부

    • 조명의
    • 2023-02-10 11:20
  • 산업부, 올해 친환경차·자율주행차 기술개발에 4천994억 투자

    [더테크 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도 친환경차, 자율차 기술개발을 위한 신규지원 대상과제에 대해서 통합공고를 실시한다고 9일 밝혔다. 자동차 분야 총지원 예산은 지난해보다 647억원 증가된 4,994억원이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 기술개발(2,293억원), 자율주행 등 디지털 분야(1,383억원), 기반구축·사업화 지원(1,003억원), 인력양성(315억원) 등 4개 분야에 걸쳐 311개 과제를 추진한다. 친환경차 기술확보를 위해 우선 주행거리, 충전속도, 내구성 개선 등 전기·수소차 핵심기술 개발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진행된다. 연비향상을 통한 내연기관 고도화 등 탄소중립 대응과 친환경차 산업생태계 강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2,293억원을 지원한다. 자율주행과 SW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2027년 완전자율주행(Lv4) 상용화를 목표로 센서, 카메라 등 자율주행 핵심부품 기술력 확보와 디지털전환(DX)을 위한 데이터 구축·모빌리티 신산업 창출에 1,383억원을 지원한다. 또한 역 부품업체가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험평가장비를 구축하고 인증, 시제품제작, 해외마케팅, 이차보전 등 사업화 지원을 통해 기술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 이준호
    • 2023-02-09 17:19
  • 현대차, 美수소산업 전시회 주빈국으로 참가..."북미 시장 공략 나서"

    [더테크 뉴스] 현대자동차가 북미 최대 수소산업 분야 세미나에서 미국 연방 부처와 글로벌 수소기업 등을 대상으로 시장 공략 기반 마련에 나섰다. 현대차는 7일부터 9일까지(이하 현지시간) 미 캘리포니아 롱비치 컨벤션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2023 수소 및 연료전지 세미나(Hydrogen & Fuel Cell Seminar, HFCS)’에 참가했다고 9일 밝혔다. 수소 및 연료전지 세미나는 ‘미 수소연료전지협회’가 주관하고 미국 정부가 지원하는 4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북미 최대 수소산업 관련 행사다. 특히 한국은 올해 최초로 세미나 주빈국으로 선정돼 행사 기간 동안 전용 홍보관 설치, 주빈국 특별 세션 및 ‘한-미 수소 민관 라운드테이블’ 개최 등의 기회를 가졌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8일 개최된 ‘한-미 수소 민관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미 에너지부와 상무부, 캘리포니아 주정부를 비롯한 다양한 수소 관련 기관들과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수소 밸류체인 전반의 다양한 현지 기업들과 기술 개발 등 양 측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또한 수소 등 청정 에너지 분야 인센티브 정책에 관해 질의하고, 수소상용차 실증사업 확대 및 연료전지 보급

    • 홍주희
    • 2023-02-09 14:38
  • 카카오모빌리티, 개인정보보호법 위반..."600만원 과태료 처분"

    [더테크 뉴스] 개인정보 미 동의 시 택시 호출 서비스를 거부한 (주)카카오모빌리티에 과태료 부과 및 시정명령이 내려졌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8일 제2회 전체회의를 열고 개인정보보호 법규를 위반한 카카오모빌리티에 대해 6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시정명령 및 개선권고를 한다고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제3자 제공 동의를 받는 과정에서 기존 택시 호출 서비스 선택 시 제3자 제공 동의 알림창이 나타나도록 구성하면서 개인정보 이용목적을 ‘서비스 내 이용자 식별, 탑승 관리 및 운영 전반’으로 기재했다. 이는 이용자 입장에서 기존 택시 호출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제공 동의로 오인했을 소지가 크다. 해당 고지 문구로 이용자의 제공 동의를 받으면 자율주행택시 서비스 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기존 택시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의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도 적용돼도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기존 이용자가 제3자 제공에 추가 동의하지 않거나 ‘나중에 하기’를 선택할 경우 기존 택시 호출 서비스의 제공을 거부했다. 인정보위 양청삼 조사조정국장은 “개인정보처리자는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이용목적을 쉽고 명확하게 알리고 동의화면을 세심하게 설계할 필

    • 김수민
    • 2023-02-08 15:32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 배너

배너

많이 본 뉴스

더보기
  • 1

    LG전자, 어려운 대외 환경 속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 2

    뉴로핏, 美 법인 설립…글로벌 뇌 질환 AI 시장 공략 본격화

  • 3

    LG전자 인도법인, 인도 증시 상장… “국민기업으로 도약”

  • 4

    한국퀀텀컴퓨팅, 한국생명정보학회와 손잡고 ‘양자컴퓨팅 기반 생명정보학 연구’ 본격화

  • 5

    마이크로소프트, AI 에이전트 기반 보안 플랫폼 확장

  • 6

    존슨매티, 암모니아 크래킹 기술로 한국 청정 수소 확대 지원

  • 7

    “차는 입구에 두고 내리세요”…카카오모빌리티, 국내 첫 ‘로봇발레’ 서비스


  • 배너
  • 배너

  • 회사소개
  • 찾아오시는 길
  • 개인정보처리방침
  • 언론윤리강령
  • 청소년보호정책 (책임자 : 이지영)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광고문의
로고

(주)빅테크 | 제호 : 더테크 (THE TECH) | 신문등록번호: 서울아53318 | 등록ㆍ발행일자: 2020.10.7 | 사업자번호 : 168-86-01987
발행ㆍ편집인 : 서명수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 : 이지영 | 청소년보호 책임자 : 이지영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 162-10, 4층 (서교동, 이혜2 빌딩) | 전화번호: 02-6952-6992 | 기사제보 : press@the-tech.co.kr
Copyright @더테크 (THE TECH) Corp.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ediaOn

UPDATE: 2025년 10월 20일 16시 04분

최상단으로
검색창 닫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닫기

더테크는 ‘스마트 테크 전문‘ 미디어입니다. AI, 사물인터넷, 미래모빌리티 등 인더스트리 4.0 시대를 이끌어갈 딥테크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ICT 산업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 종료가 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