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생산성과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산업현장에서의 자동화 기술은 점점 발전하고 있다. 로봇을 비롯한 각종 산업용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이에 주목하는 기업들은 자사 업종과 업무체계에 맞는 기술이 무엇인지 체크해 보고 관련 트렌드를 읽어낼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 글로벌 자율이동로봇(AMR) 개발업체인 미르(MiR, Mobile Industrial Robots)가 최근 흥미로운 전망을 발표했다. 자동화 기술에 대한 내년도 동향이 그것이다. 라스무스 스멧 젠슨(Rasmus Smet Jensen) 마케팅 전략담당 부사장은 자동화 분야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고 노동 자원 부족에 따라 수요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는 등 자동화 기술의 미래에 대해 대체적으로 장밋빛 예측을 내놓았다. 젠슨 부사장의 전망을 5가지 포인트로 나눠 정리해본다. 1. 자동화에 대한 투자 증가 몇 년간 지속된 코로나19 펜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분쟁, 에너지 위기 등으로 인해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다수의 기업들이 자동화 사업을 연기하는 상황에 놓였다고 젠슨 부사장은 봤다. 하지만 젠슨 부사장은 올해 말 자동화 분야에 대한 투자가 정상
[더테크 뉴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15일 제8차 연례 ‘스마트 제조 현황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글로벌 연구는 주요 13개 제조국에서 1350개 이상의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올해의 보고서는 품질 저하 없는 고수익 성장에 중점을 뒀는데, 데이터의 진정한 잠재력 활용과 복원력 구축, 민첩성 지원, 지속 가능성 향상 및 인력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채택 확대를 강조했다. 주요 글로벌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2년에 비해 2배나 많은 제조업체가 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위한 기술력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제조업체 5곳 중 4곳은 여전히 종단간 공급망 계획 솔루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제조 이니셔티브로 해결하고자 하는 장애물 중 사이버 보안 위험이 가장 높은 순위로 조사됐다. 제조업체의 45%는 스마트 제조 이니셔티브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주요 긍정적 결과로 ‘품질 개선’을 꼽았다. 제조업체의 89%는 기술 채택에 따른 고용을 유지하거나 늘릴 계획이며, 응답자의 36%는 기술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 인력의 직무를 변경할 것으로 생각한다.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ESG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제조업체의 95% 중 42%는 ESG 이니셔
[더테크 뉴스] 기업용 채용관리 솔루션 ‘그리팅(Greeting)’을 운영하는 두들린은 채용담당자 10명 중 6명 정도가 채용 관리 솔루션(Applicant Tracking System, 이하 ATS)을 사용한 후 채용이 더 잘 되는 것을 체감했다고 22일 밝혔다. ATS란 채용공고부터 채용 결과 통보에 이르는 전체 채용 과정을 관리해 주는 솔루션이다. ATS를 사용하면 다수의 채용 플랫폼을 통해 들어온 이력서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각 지원자별 평가, 일정 조율, 채용 결과 통보까지 하나의 서비스에서 가능해 채용 담당자와 경영진들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돕는다. 이번 조사는 두들린이 지난해 12월 16일부터 27일까지 ATS를 사용해본 채용담당자 24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직원 수 0~50명, 51~100명, 101~300명, 301~500명, 501명 이상 규모의 기업과 IT/테크, 제조/유통, 커머스, 교육, 금융, 게임, 기타 등의 산업군별로 나눠 국내 채용담당자들의 ATS 사용 목적과 도입 효과 등을 조사했다. 설문조사 결과 ‘ATS 사용 후 채용이 더 잘된다고 체감하는가’라는 질문에 59.6%가 ‘그렇다’고 답변했으며, 27.5%는 ‘보통
[더테크 뉴스] 삼성SDS는 올해 기업들이 가장 주의해야 할 사이버 보안 위협으로 ‘클라우드 보안’을 꼽았다. 삼성SDS는 지난해 국내외에서 발생한 사이버 보안 이슈와 클라우드 전환, IT 운영 사례 등을 분석해 ①클라우드 보안 위협 ②사용자 계정 탈취 공격 ③랜섬웨어 고도화 ④소프트웨어 공급망 취약점 공격 ⑤AI(인공지능) 활용 해킹 지능화 등을 ‘2023년 5대 사이버 보안 위협’으로 발표했다. ① 클라우드 보안 위협 주요 데이터와 인프라 등이 클라우드로 전환되고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이 보편화되면서 기업의 보안 관리 영역이 늘어나는 만큼 보안 설정과 공백을 노리는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 삼성SDS는 증가하는 클라우드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클라우드에 구축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인프라까지 전 영역을 보호할 수 있는 클라우드 통합 보안 플랫폼(CNAPP) 기반 보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② 사용자 계정 탈취 공격 기업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 내부망 침투와 핵심 정보로의 접근을 위해 사용자 계정을 노리는 공격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은 삼성SDS가 제공하는 통합 인증 및 계정관리 솔루션으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접속자 위치와 시간, 단
[더테크 뉴스] 닐슨IQ가 기후 변화가 소비재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한 새로운 보고서 ‘변화하는 지속 가능성 풍경(The Changing Climate of Sustainability)’을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앞으로 5년간 제조업계, 브랜드, 소매업계가 지배 구조와 비용으로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업 모델을 구축하지 않으면 장단기 위험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레건 레겟(Regan Leggett) 닐슨IQ 포어사이트 총괄은 “일부 기업들이 관망세를 취하는 기업들을 앞서기 위해 더 선제적 대책을 강구하면서 지속 가능성은 한동안 기업의 의제였다”며 “에너지 비용 상승, 흉작, 공급망 혼란으로 늘어난 비용과 불확실성을 감내하지 않으려면 기존 사업 모델을 재검토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공급망 혼란, 인플레이션 및 소비 지출 압박이 맞물려 소비자들이 지속 가능성에 무게를 두면서 기업의 행동과 책임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니콜 코벳 닐슨IQ 사고 리더십 부사장은 “소비자들은 지속 가능하게 살고 소비하도록 도우려 하지만 모든 기업이 지속 가능한 관행을 실천하는 것은 아니다”며 “소비자들은 10년간 친환
[더테크 뉴스] 코로나19로 인해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디지털 기술 불평등의 심화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활용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원장 박천일)이 26일 발표한 ‘데이터(D.A.T.A.): 클라우드를 활용한 제조업 디지털 전환 전략’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의 디지털 기술 활용도가 아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제조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도는 22.1%, OECD 평균은 이보다 높은 30.9%였다. 국내 기업의 빅데이터 분석 기술 활용도와 공급망관리(SCM) 정보공유 기술 활용도도 각각 2.5%, 9.1%로 모두 OECD 평균인 22.1%, 15.2%를 밑돌았다. 보고서는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 제품의 서비스화, 가치사슬 구조 혁신을 지원하고 생산성 향상, 고객가치 증대, 대-중소기업 간 디지털 기술 불평등까지도 완화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바로 클라우드 기술”이라며 클라우드를 활용한 디지털 전환 전략의 주요 키워드로 ‘데이터(D.A.T.A)’를 선정했다. 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