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생성형 인공지능(AI) 붐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AI. 개발 경쟁을 가속화하는 시작점이 됐다. 한국에서도 많은 기업들이 AI 사업에 뛰어들었다. 나날이 발전하는 AI 기술이 사회 전반에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Generative AI Asia 2023'(이하 GAA 2023) 컨퍼런스가 열렸다. 뤼튼테크놀로지스(이하 뤼튼)의 주최로 31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개최된 이번 컨퍼런스는 '모두를 위한 AI'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네이버클라우드와 카카오브레인,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웹서비스 등 국내외 16개 기업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생성형 AI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방증하듯 이날 현장에는 빈자리를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이들이 모여 연사들의 강연을 경청했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AI 지향점은? 첫번째 세션은 ‘HyperCLOVA X, 우리의 경쟁력’라는 주제였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이사가 무대에 올랐다. 성 이사는 “초거대 AI 10여년 주기로 찾아오는 기술 혁신 주기의 선봉장”이라는 이야기로 강연을 시작했다. 기업 기술 경쟁 차원을 넘어 국가 기술 경쟁의 영역에서 다뤄질 부분도 있
[더테크=조재호 기자]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가 의료분야에서 활용될 생성형 인공지능(AI)를 준비중이라고 밝혔다. 카카오헬스케어와의 연계를 통해서다. 김 대표는 31일 열린 ‘Generative AI Asia 2023’ (GAA 2023) 컨퍼런스에서 진행된 ‘AI 딥테크 기업의 생태계 전략’ 세션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대표는 “지난해부터 준비한 의료 분야에서 데이터를 모으고 있다”며 “의료 영상을 보고 3~4년차 의사 수준으로 진단하는 것이 1차 목표”라고 말했다. “언젠가 AI가 의사와 같은 일을 할 수 있을지 그 능력을 증명해 보고싶다”고도 덧붙였다. 이날 세션에서 김 대표는 카카오의 AI 이미지 생성 모델 칼로(Karlo)로 생성한 이미지와 코GPT 2.0으로 작성한 수필을 예로 들며 카카오 AI 개발 방향을 이야기했다. “몇 년 전만 해도 예술과 창작은 인간이 마지막까지 지켜낼 영역이라고 생각했다”며 “예상과 달리 AI가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된 분야가 창의성을 필요로 하는 창작”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전까지 다소 의문스러웠던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인공 일반 지능)의 등장도 가능할 것이라는 입장이
"하이퍼 스케일 AI은 10~15년 주기로 찾아오는 기술 혁신 주기의 선봉장." [더테크=조재호 기자]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이사의 이 말은 생성형 AI를 대하는 네이버의 자세를 확인할 수 있었던 한 마디였다. 31일 오전 열린 Generative AI Asia 2023(이하 GAA 2023) 컨퍼런스에서는 네이버클라우드의 세션이 진행됐다. 이번 세션에서 성 이사는 PC와 인터넷, 스마트폰, 생성형 AI까지, 정보의 접근성과 편의성이 개선되는 과정이자 기술 혁신의 순간을 되짚었다. 컨퍼런스의 시작을 알리는 첫 세션이라는 무게감과 함께 국내 ICT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지닌 네이버의 AI 세션이라는 점에서 참가자들의 관심도 커 보였다. 성 이사는 '초대규모 HyperCLOVA X, 우리의 경쟁력'를 주제로 △정보검색 △콘텐츠 생산 △업무 생산성 혁신 이르는 비즈니스 패러다임의 변화를 소개했다. 그는 “AI의 트렌드는 정보를 수집해 데이터 속에서 숨어 있는 규칙을 찾아낼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것”이라며 “아직은 사람들이 원하는 수준은 아니지만 지난해 등장한 GPT3의 수준을 감안하면 생성형 AI의 발전 속도는 엄청나다”고 말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생성형 AI와
[더테크=조재호 기자]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이하 뤼튼) 대표는 31일 서울 강남구 파르나스에서 열린 ‘GAA 2023 (Generative AI Asia 2023)’ 컨퍼런스에 앞서 기자간담회를 진행했다. 이 대표는 이날 행사에 관련한 내용과 함께 뤼튼에서 진행할 ‘Next Platform, 모두를 위한 AI’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진행했다. 이 대표는 뤼튼 플러그인 기능을 소개하고 20여 파트너사를 공개했다. 6월 중 공개될 뤼튼 플러그인은 외부 파트너사의 정보와 서비스를 생성형 AI와 결합해 이용자에게 더욱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답변을 제공한다. 국내 최초로 전면 개방하는 노코드 AI 툴빌더 ‘뤼튼 스튜디오’는 이번 행사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김유빈 리드 엔지니어는 대화 기반의 생성형 AI에 있어 프롬프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뤼튼은 생산성과 전문성, 연속성에 있어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필요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 뤼튼 측은 국내 최초로 진행한 프롬프트 엔지니어 공채로 합류한 강수진 박사를 소개하기도 했다.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이 대표는 뤼튼 서비스의 월간 사용자를 묻는 질문에 “약 30만 정도의 이용자를 유치했고 40만으로 늘어가는 중”이라고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전자가 프라이빗 케어 솔루션 ‘프라엘’의 팝업스토어를 서울 꼴라보하우스 도산에서 운영하고 있다. ‘쎄라 하우스 DOSAN’이라는 이름으로 운영 중인 팝업스토어는 ‘당신에게 맞춘 아름다움을 찾는 공간’이라는 콘셉트로 고객경험 확대에 중점을 뒀다. 고객들은 팝업스토어에서 해당 제품을 직접 사용해보거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사진은 ‘쎄라 하우스 DOSAN’의 출입구 모습이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전자가 프라이빗 케어 솔루션 ‘프라엘’의 팝업스토어를 서울 꼴라보하우스 도산에서 운영하고 있다. ‘쎄라 하우스 DOSAN’이라는 이름으로 운영 중인 팝업스토어는 ‘당신에게 맞춘 아름다움을 찾는 공간’이라는 콘셉트로 고객경험 확대에 중점을 뒀다. 고객들은 팝업스토어에서 해당 제품을 직접 사용해보거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쎄라 하우스 DOSAN’에 마련된 셀프케어존의 모습이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전자가 프라이빗 케어 솔루션 ‘프라엘’의 팝업스토어를 서울 꼴라보하우스 도산에서 운영하고 있다. ‘쎄라 하우스 DOSAN’이라는 이름으로 운영 중인 팝업스토어는 ‘당신에게 맞춘 아름다움을 찾는 공간’이라는 콘셉트로 고객경험 확대에 중점을 뒀다. 고객들은 팝업스토어에서 해당 제품을 직접 사용해보거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쎄라 하우스 DOSAN’은 실내 뿐만 아니라 3층 테라스에 제품을 체험해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두고 있다.
“디지털전환을 진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고객사의 담당자 업무 자체가 디지털로 진행돼야 DT입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최봉기 삼성SDS 첼로 스퀘어 전략팀장(상무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의 의미를 이렇게 정의했다. 회사나 시스템 구축도 중요하지만, 결국 사람이 운용하고 판단해야 한다는 뜻으로 읽힌다. 삼성SDS는 18일 오전 서울 송파구 본사에서 첼로스퀘어 미디어데이를 진행했다. 첼로스퀘어는 지난 2018년 론칭한 디지털 물류 서비스로 삼성SDS의 핵심 사업이다. 이번 간담회에선 21세기 로지스틱스 4.0(로봇과 AI, 자동화를 통한 혁신)에 관련한 기술 혁신을 비롯해 삼성SDS의 중심 사업 전환과 첼로 스퀘어의 2023년 로드맵을 발표했다. 최 상무는 2023 첼로 스퀘어의 어젠다가 셀프서비스와 자동화, 개방성이라고 말했다. 이는 전통적인 산업에서 제공하기 힘들었던 새로운 솔루션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물류 담당자의 디지털화를 돕는 것을 시작으로 단순 물류 정보를 넘어 공급망 관리에 직·간접 관계자를 대상으로 정보 수용자를 확대해 정보의 가치 자체를 올린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첼로 스퀘어 플랫폼을 활
“AI(인공지능)는 메타의 (기술)DNA라고 할 수 있다. AI 인프라에 계속 투자해오고 있고, (그렇게 만들어진) 인프라를 바탕으로 AI 모델링을 하고 (이를) 고도화하고 있다.” [더테크=문용필 기자] 기자들을 앞에 둔 김진아 메타코리아 대표의 목소리는 차분했지만 확신이 엿보였다. “메타의 성장과 AI의 발전은 궤를 같이하고 있다”고도 말했다. 최근 국내외를 막론하고 많은 빅테크 기업들이 ‘생성형 AI’ 경쟁에 나선 가운데 김 대표는 메타의 AI 기술력과 구체적인 서비스의 장점을 비교적 일목요연하게 설명했다. 17일 오전 서울 강남구 본사에서 열린 ‘비즈니스 업데이트 미디어 브리핑’ 행사를 통해서였다. AI에 대한 언론의 뜨거운 관심, 그리고 ‘메타’라는 네임밸류를 방증하듯 수 십명의 기자들이 모인 이날 브리핑은 다양한 이미지와 영상등을 곁들여 3개의 파트로 나뉘어 진행됐다. 가장 눈길이 가는 포인트는 김 대표가 소개한 메타의 최신 AI서비스였다. 생성형 AI의 기반이 되는 독자적 대규모 언어모델(LLM) ‘라마’(LLaMa)와 사진, 동영상에서 이미지를 분할할 수 있는 AI모델 ‘샘’(SAM, Segment Anything Model), 그리고 새로운
[더테크=조재호 기자] 스마트폰 음성비서에서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까지 인공지능(AI)기반의 서비스는 사람들의 일상에 깊숙이 스며들었다. 다양한 서비스와 함께 발전하면서 산업 분야의 본격적인 디지털 전환을 이끌었다. 특히, 챗GPT 등 생성형 AI의 등장은 기술 경쟁을 넘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있다. 국내에서 개최되는 AI 관련 전시회 중 국제인공지능대전(AI EXPO KOREA 2023, 이하 AI엑스포)이 1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사흘간의 여정의 막을 올렸다. 이번 전시회는 엔데믹 분위기를 보여주듯 개막 첫날부터 수천 명의 참관객이 운집했다. 해외 바이어들과 단체 관람객들이 모여 국내 최대 AI 전시회로서의 위상을 보여줬다. ‘전 산업이 인공지능 중심으로 전환되는 'INNOVATION SHOWCASE 4.0’을 주제로 열린 이번 전시회에선 △AI+X(인공지능 융합)‧AI 도입을 위한 솔루션 △ X+AI(AI 응용연구)‧AI 융합 제품 및 플랫폼 등의 기술들이 선보여졌다. 행사장에서 가장 먼저 관람객을 맞은 부스는 NHN 클라우드였다. AI 얼굴인식 시스템과 함께 나만의 캐릭터 AI 생성 서비스 같은 체험형 콘텐츠를 선보이면서 많은 관심을 끌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아시아 최대의 인공지능(AI) 전시회인 국제인공지능대전(AI EXPO KOREA 2023)이 1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개막했다. 올해로 6회째를 맞는 이번 전시회에는 인텔과 NHN클라우드 등 총 11개국 260여 기업과 기관이 참가했으며 470여 부스 규모로 치러진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AI 기반 의료 메타버스 구현과 생성형 AI의 미래가 주는 의미, AI가 가져오는 사회와 산업의 혁신 등 다양한 테마의 부스들을 만날 수 있다. 행사는 오는 12일까지 사흘간 진행된다. 화면 속 AI의 끄덕임, 입 모양, 표정을 분리 제어해 기존보다 고품질 AI 휴먼 구현 기술을 선보인 딥브레인의 부스 전경이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아시아 최대의 인공지능(AI) 전시회인 국제인공지능대전(AI EXPO KOREA 2023)이 1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개막했다. 올해로 6회째를 맞는 이번 전시회에는 인텔과 NHN클라우드 등 총 11개국 260여 기업과 기관이 참가했으며 470여 부스 규모로 치러진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AI 기반 의료 메타버스 구현과 생성형 AI의 미래가 주는 의미, AI가 가져오는 사회와 산업의 혁신 등 다양한 테마의 부스들을 만날 수 있다. 행사는 오는 12일까지 사흘간 진행된다. 제조 산업에 특화된 AI 솔루션 허블과 아폴로를 선보인 RTM의 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