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현재 대한민국 첨단테크를 든든히 받치는 소부장과 나노기술의 힘을 확인할 수 있었던 전시회였다. 기업 관계자를 비롯해 관련 학과 대학생으로 보이는 일반 관람객들의 모습이 상당수 눈에 띄기도 했다. 나노코리아 2023(NANO KOREA 2023)가 지난 5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올해로 21회차를 맞는 나노코리아2023은 최첨단 나노 기술과 레이저기술,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융합소재, 스마트센서까지 국내외 400여개 기업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이와함께 부대행사와 심포지엄도 다채롭게 진행됐다. 빠른 걸음으로 둘러본다면 그리 큰 규모의 행사장은 아니었지만, 현장 관계자들의 쉽고 친절한 설명에 발걸음이 자주 멈췄다. 대기업의 공공기관 부스가 전시회장 가장 안쪽에 위치해 중소규모 부스들을 먼저 둘러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관람동선도 좋았다. 기자가 전시회장을 방문한 날 가장 눈에 띄는 부스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었다. 부스 크기도 그렇지만 유난히 많은 사람들이 몰렸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휴머노이드 로봇암과 나노 기술 기반의 로봇을 만나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 옆에는 다기능 유연센서
[더테크=조재호 기자] 나노코리아 2023 (NANO KOREA 2023)가 7월 5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올해로 21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나노산업 전시회와 세미나를 함께 진행한다. 나노기술과 더불어 레이저기술,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융합소재, 스마트센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참여했다. 다양한 부대행사 및 컨퍼런스가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산업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B2B 전시회로 반도체 소재와 자동자 부품, 제조 장비 등을 주제로 약 400개의 기업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사진은 이차전지 도전재로 배터리 용량 향상과 함께 충전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CNT)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등 나노기술을 선보인 제이오의 부스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나노코리아 2023 (NANO KOREA 2023)가 7월 5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올해로 21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나노산업 전시회와 세미나를 함께 진행한다. 나노기술과 더불어 레이저기술,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융합소재, 스마트센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참여했다. 다양한 부대행사 및 컨퍼런스가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산업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B2B 전시회로 반도체 소재와 자동자 부품, 제조 장비 등을 주제로 약 400개의 기업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한솔제지는 펄프에서 유래한 친환경 소재로 무게가 철의 5분의 1이지만 강도는 5배에 달하는 친환경 소재 나노셀룰로오스를 소개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나노코리아 2023 (NANO KOREA 2023)가 7월 5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올해로 21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나노산업 전시회와 세미나를 함께 진행한다. 나노기술과 더불어 레이저기술,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융합소재, 스마트센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참여했다. 다양한 부대행사 및 컨퍼런스가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산업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B2B 전시회로 반도체 소재와 자동자 부품, 제조 장비 등을 주제로 약 400개의 기업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독일의 산업용 레이저 기업 트럼프는 100주년을 맞아 자사의 역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부스를 꾸렸다. B2B 참관객이 상담을 위해 줄을 선 모습이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나노코리아 2023 (NANO KOREA 2023)가 7월 5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올해로 21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나노산업 전시회와 세미나를 함께 진행한다. 나노기술과 더불어 레이저기술,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융합소재, 스마트센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참여했다. 다양한 부대행사 및 컨퍼런스가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산업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B2B 전시회로 반도체 소재와 자동자 부품, 제조 장비 등을 주제로 약 400개의 기업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LG의 부스에선 LG전자의 가전 제품 오브제 시리즈를 선보였으며 LG이노텍과 LG화학 등의 기술력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나노코리아 2023 (NANO KOREA 2023)가 7월 5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올해로 21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나노산업 전시회와 세미나를 함께 진행한다. 나노기술과 더불어 레이저기술,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융합소재, 스마트센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참여했다. 다양한 부대행사 및 컨퍼런스가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산업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B2B 전시회로 반도체 소재와 자동자 부품, 제조 장비 등을 주제로 약 400개의 기업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촉각/모션 감지 휴머노이드 로봇암 기술 등 최첨단 나노 신기술로 관람객의 눈길을 끈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부스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나노 코리아 2023 (NANO KOREA 2023)가 7월 5일부터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 중이다. 올해로 21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나노산업 전시회와 세미나를 함께 진행한다. 나노기술과 더불어 레이저기술,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융합소재, 스마트센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참여했다. 다양한 부대행사 및 컨퍼런스가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산업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B2B 전시회로 반도체 소재와 자동자 부품, 제조 장비 등을 주제로 7일까지 진행된다. 사진은 나노 코리아 2023 행사장의 입구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나노코리아 2023 (NANO KOREA 2023)가 7월 5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올해로 21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나노산업 전시회와 세미나를 함께 진행한다. 나노기술과 더불어 레이저기술,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융합소재, 스마트센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참여했다. 다양한 부대행사 및 컨퍼런스가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산업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B2B 전시회로 반도체 소재와 자동자 부품, 제조 장비 등을 주제로 약 400개의 기업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사진은 행사장에 마련된 삼성전자의 부스, 파운드리를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더테크>가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3’에 참가한 기업들을 현장에서 만났습니다. 전시회 현장을 미처 찾지 못한 업계 관계자들과 테크에 관심있는 독자분들에게 소개하기 위함입니다. 현장에서 만난 기업들의 목소리와 그들이 말하는 기술을 다양한 형식의 인터뷰 기사로 전달합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3D익스피리언스’(3DEXPERIENCE). 테크 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이라도 왠지 낯설게 느껴지는 표현이다. 하지만 프랑스에 본사를 둔 글로벌 기업인 다쏘를 모르는 이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3D익스피리언스는 바로 다쏘시스템의 통합 플랫폼으로 초기 구상부터 개발, 서비스, 폐기에 이르는 제품 수명 주기 관리(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LM)를 아우른다. 다쏘시스템코리아는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3’에 꽤 큰 규모의 부스를 마련하고 자사의 3D익스피리언스를 열심히 홍보하고 있었다. 현장에서 기자와 만난 이승철 기술대표는 “여러가지 브랜드를 통합해 비즈니스 플랫폼을 만들어보자 한 것이 3D익스피리언스”라며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3D익스피리언스는 3D 설계 소프트웨어 카티아(CATIA)와 솔리
<더테크>가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3’에 참가한 기업들의 목소리와 그들이 말하는 기술을 다양한 형식의 인터뷰 기사로 전달합니다. 전시회는 끝났지만 인터뷰는 이어집니다. <더테크>가 만난 기업들은 계속 자사의 제품과 기술을 개발해나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더테크=문용필 기자] 흔히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일까. 자동화시스템이 잘 갖춰진 공장, 혹은 클라우드 기반의 업무 솔루션으로 일하는 ‘화이트칼라’가 아닐까 싶다. 하지만 DX는 이들에게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소상공인들에게도 매장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솔루션이 필요하다. 넥스트페이먼츠는 소상공인을 위한 스마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지난 2019년에 창립했으니 업력이 이제 막 4년째에 접어드는 스타트업이다. IoT(사물인터넷) 솔루션과 온‧오프 통합결제 시스템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젊은 기업이어서일까.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3’ 전시장에 마련된 넥스트페이먼츠의 부스는 활력이 넘쳐보였다. 노란색 회사 티셔츠를 입은 직원들이 열심히 회사를 홍보하고 있었다. 키오스크, 로봇 등 다양한 제품들을 들고 나왔다. 미리 약속을 잡
<더테크>가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3’에 참가한 기업들의 목소리와 그들이 말하는 기술을 다양한 형식의 인터뷰 기사로 전달합니다. 전시회는 끝났지만 인터뷰는 이어집니다. <더테크>가 만난 기업들은 계속 자사의 제품과 기술을 개발해나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더테크=문용필 기자] 바퀴 달린 운반 로봇들이 수많은 ‘큐브’ 속을 분주히 오가고 있었다. 테크 전문 매체 기자이기 때문일까. 규칙적이고 정확하게 움직이는 로봇들의 모습을 보노라니 묘한 ‘힐링’마저 느껴지는 기분이었다. 아, 그보다 더 중요한건 누가 굳이 설명해주지 않아도 자동화된 물류시스템 솔루션임을 직관적으로 알수 있었다는 점이다. 노르웨이에서 창립돼 글로벌기업으로 거듭난 오토스토어(AutoStore)의 부스 모습이었다.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3’에 참가한 오토스토어의 부스는 행사가 열리는 코엑스 A홀에 입장하자마자 눈에 띄었다. 로봇이 쉴 새 없이 움직이는 ‘강렬한 풍경’ 탓인지 부스에는 기자 외에도 여러사람들이 큐브 주위를 주시하고 있었다. 회사와 솔루션에 대한 호기심이 급발동한 기자는 현장에 있던 한국지사 관계자에게 인터뷰를 요청했다. 오토스토어의 역사는 지난
<더테크>가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3’에 참가한 기업들의 목소리와 그들이 말하는 기술을 다양한 형식의 인터뷰 기사로 전달합니다. 전시회는 끝났지만 인터뷰는 이어집니다. <더테크>가 만난 기업들은 계속 자사의 제품과 기술을 개발해나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로보티즈는 스마트테크코리아 2023(이하 STK 2023)에서 자율주행 로봇 ‘개미’ 시리즈를 부스 전면에 배치해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전인호 매니저는 로봇에 관심을 보이는 관람객을 상대로 자사의 제품을 열심히 홍보했다. 행사장 초입에 있는 로보티즈의 부스는 쿠팡이나 SK 같은 대기업 부스 못지않은 인기를 모았다. 행사 둘째날 점심시간 무렵 <더테크>와의 인터뷰에 응한 전 매니저는 회사 소개를 부탁하는 질문에 ‘자율주행’과 ‘로봇’이라는 핫 트렌드를 언급했다. “자율주행 로봇을 주력 사업으로 설계부터 최종 제품까지 전반을 진행할 수 있다”는 설명이었다. 로보티즈가 선보인 자율주행 로봇은 ‘집개미’라는 이름의 실내 자율주행 로봇과 ‘일개미’라는 실외 자율주행 로봇이다. 집개미에 대해 전 매니저는 “로봇 팔을 활용해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