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0월 수상자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양창덕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와 연구재단은 양창덕 교수가 다양한 초고성능 유기반도체 소재와 소자 제작기술을 확보하고, 효율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갖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하여 차세대 반도체 기반 미래산업의 발전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공로를 높게 평가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양창덕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의 걸림돌로 지목되어온 수분 취약성과 효율성을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정공 수송층 물질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정공 수송층을 이루는 스파이로 물질에 불소(F)를 도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수분 안정성과 고효율을 동시에 잡았다. 신규 물질을 적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실험결과 논문으로 보고된 최고 수준의 효율인 24.82%을 나타냈으며,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제작한 1cm2 대면적 소자에서도 22.31%의 고효율을 달성했다. 또한 500시간 고습도 환경에서 진행한 안정성 시험에서 초기 성능의 87% 이상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2020년 9월 사이언스
[더테크 뉴스] 현대자동차와 제네시스의 디자인을 담당하는 현대자동차 이상엽 전무가 대한민국디자인대상에서 개인 부문 최고 영예인 은탑산업훈장을 받았다. 현대자동차는 6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주최, 한국디자인진흥원 주관으로 열린 제23회 대한민국디자인대상 시상식에서 이 전무가 은탑산업훈장을 수훈했다고 밝혔다. 대한민국디자인대상은 대한민국 디자인 산업 발전 및 디자인 경영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개인 및 기업, 단체 등에 포상하는 제도다. 이 전무는 현대자동차와 제네시스 디자인을 통해 한국 산업 디자인 수준을 한 차원 높인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전무는 GM, 폭스바겐, 아우디, 벤틀리 등 세계적인 자동차 브랜드에서 20여 년간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2016년 현대자동차에 합류했고, 현대자동차 ‘센슈어스 스포니티스(Sensuous Sportiness)’, 제네시스 ‘역동적인 우아함(Athletic Elegance)’ 등 두 브랜드의 디자인 정체성을 명확하게 정립했다. 또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미래 모빌리티, 로보틱스 등 신산업 분야에서도 새로운 고객 가치를 창출하는 차별화된 디자인 전략을 선보였다. 이 전무가 디자인을
[더테크 뉴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백신 원부자재, 산업용 핵심소재에 대한 글로벌 공급망 협력 확대 및 세일즈 통상외교를 위해 4일 독일 다름슈타트 지역에 위치한 MERCK社와 루트비히스하펜 지역에 위치한 BASF社를 방문했다고 5일 전했다. MERCK社는 백신 원부자재를 생산하는 주요 기업중 하나이며, BASF社는 전자 산업용 첨단소재 등을 공급하는 글로벌 석유화학 기업이다. 여 본부장은, MERCK社 Life Science 부문 CEO 마티아스 하인젤(Matthias Heinzel)을 만나 한국과 MERCK社의 긴밀한 협력을 평가하면서, MERCK社의 최첨단 백신 원부자재 기술과 현재 4종(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노바백스, 스푸트니크V)의 백신을 생산하고 있는 한국의 세계적 백신 생산역량을 결합하여 한국 정부의 K-글로벌 백신 허브화를 통한 백신 글로벌 공급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함께 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또한, BASF社 Performance Materials 부문 CEO 마틴 융(Martin Jung)을 만나 BASF社의 꾸준한 對韓 투자에 사의를 표하며, 한국이 이차전지, 반도체 등 첨단 소재를 활용한 산업에 강점을 갖고 있는바
[더테크 뉴스] 세계적인 전기전자 기업 지멘스의 한국법인 한국지멘스는 10월 1일자로 정하중 부사장을 신임 대표이사 및 사장에 공식 선임한다고 밝혔다. 정하중 신임 사장은 한국지멘스의 사업을 총괄하는 대표이사 직과 더불어 기존 스마트 인프라 부문 대표 및 모빌리티 한국법인 대표이사 직을 겸하게 된다. 정하중 사장은 지난 21년 동안 한국 및 독일본사의 다양한 사업분야에서 폭넓은 현장 경험을 쌓으며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해왔다. 2000년 한국지멘스에 합류한 정하중 사장은 에너지 자동화 사업부장을 거쳐 2007년 독일 본사에서 한국인 최초로 에너지 자동화 사업부 아시아 태평양 지역책임자로 발탁되기도 했다. 2009년 말 한국지멘스 송전 및 배전설비 사업본부장으로 복귀 후, 2012년 에너지 부문과 인프라 및 도시 부문의 해양사업을 포함한 오일&가스, 발전 전기계장, 송전, 중저압 전력기기, 스마트그리드 사업본부를 총괄했다. 2014년에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및 철도 부문장을 역임하며 괄목할 만한 비즈니스 성장을 이끌었다. 이후 2018년 지멘스 모빌리티 한국법인 대표이사, 2019년 한국지멘스 스마트 인프라 부문 대표를 겸직하며 회사의 신성장 사업 역량을
[더테크 뉴스] 종합에너지기업 삼천리가 신사업을 발굴하고 확장하기 위해 삼일회계법인 출신의 김재식 부사장(55)을 신사업 총괄 부문대표로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 김재식 대표는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와 미국 공인회계사를 각각 취득한 후 삼일회계법인 경영컨설팅 본부장을 거쳤다. 또한,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경영공학 대우교수와 미국 달라스에 있는 텍사스 주립 대학교에서 외래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김 대표는 25년간 제조, 금융, IT 및 바이오헬스케어 업체들의 경영자문을 맡아 다양한 산업경험을 쌓은 이후 대웅제약 경영기획본부장, 한미약품 경영지원본부장, 피에이치파마 대표이사 등을 역임했다. 삼천리 관계자는 “김재식 대표는 제조, 금융 및 헬스케어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겸비한 전문가일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업 M&A와 신사업 발굴 경험이 있어, 도시가스, 발전, 집단에너지 사업 등 에너지사업을 중심으로 성장해 온 삼천리그룹이 새로운 미래 먹거리를 찾는 데 일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테크 뉴스] SK에코플랜트는 28일 열린 이사회 결의에 따라 박경일 사업운영총괄을 대표이사로 신규 선임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는 친환경·신에너지 사업을 통한 환경기업으로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국내외 사업 확장에 주력하기 위해 결정됐다. 이사회 관계자는 “이번에 선임된 박경일 대표이사는 현재 SK에코플랜트의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앞으로 국내 대표 환경기업으로서 사업 영역을 확장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경일 신임 대표이사는 그동안 SK그룹에서 투자전략과 M&A를 담당한 전문가로서, 올해 1월 SK에코플랜트 사업운영총괄로 부임했다. 사명 변경 후 지난해 인수한 환경시설관리(옛 EMC홀딩스)를 활용한 볼트온(Bolt-on, 유사기업과의 인수·합병) 전략을 직접 진두지휘하며 폐기물 소각기업 7곳을 인수했다. 이를 통해 수처리 뿐 아니라 국내 최대 사업장폐기물 소각용량을 보유한 1위 사업자 지위를 공고히 했다. 박경일 대표이사는 향후 기업공개(IPO)를 위한 재무구조 개선에 집중하며 친환경·신에너지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산업폐수 처리, 리사이클링(Recycling) 등 신규 사업 진출과 글로벌 사업 확대
[더테크 뉴스]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22일 김주호 기술부장이 기계정비 분야 '대한민국 명장'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김 기술부장은 현대두산인프라코어가 배출한 두번째 명장이다. 2014년 컴퓨터응용가공 분야에서 명장으로 선정된 홍기환 기장 이후 7년만이다. 현대중공업그룹이 조선, 건설기계 부문에서 배출한 명장은 총 31명으로 늘었다. 김 기술부장은 1985년 1월 입사해 중기계 정비·시험을 담당하며 전문성을 쌓았고, 2016년에는 건설기계 정비 기능장과 중기계 정비 분야 우수숙련기술자를 획득해 이듬해에는 인천시가 선정하는 중기계 정비 분야 '미추홀명장'에 이름을 올렸다. 김 기술부장은 "후배들에게 기술 노하우를 제공하고, 현대두산인프라코어의 기술력을 한층 더 높이는데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명장은 경력 15년 이상의 숙련된 기술자를 대상으로 서류와 면접 심사를 거쳐 고용노동부가 선정한다.
[더테크 뉴스] UNIST 화학과 문회리 교수가 일본의 권위있는 화학 학회에서 수여하는 국제 창의연구상(JSCC International Award for Creative Work)을 수상했다. 이 상은 일본 배위 화학회(Japan Society of Coordination Chemistry, JSCC)가 박사학위 취득 15년이 경과되지 않은 비 일본 국적 배위 화학분야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배위 화학(配位化學·Coordination Chemistry)은 금속과 유기물간의 배위 결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인체 단백질, 효소, 산업용 촉매 등의 상당수가 배위화학 결합물이다. 문회리 교수는 최초의 비서구권 여성 수상자다. 2015년 이 상이 제정된 이후 폴 치릭(Paul J. Chirik)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 어윈 라이스너(Erwin Reisner)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 등 6명의 미국과 유럽 기관소속 남성 연구자들이 수상했다. 문 교수는 다공성 금속-유기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s)를 효율적으로 합성하는 전략과 에너지 분야 활용 방법을 제시한 공로로 상을 받게 됐다. 다공성 금속-유기골격체는 배위화학 결합물의 한
[더테크 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연구재단 제7대 이사장으로 이광복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임명되었다고 밝혔다. 이광복 이사장은 35년 이상의 오랜 연구경력과 연구재단 근무 경험 등을 통해 연구현장 및 연구재단 업무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어 연구재단을 성공적으로 이끌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신임 이 사장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기초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장으로 근무했다. 또한 사무총장 직무대행 등을 역임했다. 한국연구재단 신임 이사장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26조(임원의 임면) 등 관련 법률・규정에 따라 임원추천위원회의 심사 및 추천을 거쳤으며, 9월 27일부터 3년 동안 한국연구재단 업무를 총괄하게 된다.
[더테크 뉴스] 선도적 기초․원천연구 지원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사업단장으로 고인수(현 포항가속기연구소 소장)를 선정하였다고 발표했다. 그동안 유능한 사업단장 선정을 위하여 먼저 선정공고에 응모한 6인에 대하여 사업단장 후보추천위원회(8인)의 평가를 거쳐 적격 후보자 2인을 사업추진위원회에 무순위로 추천했다. 이후 각 분야 분야 전문가와 관계기관으로 구성된 사업추진위원회(16인)가 평가결과 검토·심의를 거쳐 사업단장 1인을 최종 선정됐다. 과기정통부는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이 2027년까지 6년간 총사업비 1조 454억원(지방비 2,000억원 포함)를 투입하는 대형국책연구인프라 구축사업임을 감안하여 지난 7월 주관기관을 지정하는 것과는 별개로 사업단장은 공모 방식으로 추진함을 결정한바 있다. 고인수 신임 단장은 포항 4세대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단장 및 포항방사광가속기 소장으로 국내․외적으로 방사광가속기 분야 최고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포항 4세대방사광가속기의 성공적 구축역량과 더불어 포항가속기연구소의 안정적 운영 능력을 보여주었다. 고 신임 단장은 “다목적방사광가속기는 향후 수십년 간 국내 산업 연구개발(R&D) 및
[더테크 뉴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는 르네 코네베아그 그룹사장이 4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10월 1일부로 유럽 지역 16개 시장을 총괄하는 자리로 이동한다고 16일 밝혔다. 르네 코네베아그 그룹사장은 지난 2017년 9월에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에 합류했다. 부임 이후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4년간 조직과 프로세스 쇄신, 기업문화와 직원역량 강화를 주도해왔다. 또 2020년 한 해에만 산하 네 개 브랜드에 걸쳐 54개 모델을 출시, 전년 대비 두 배 이상의 성장을 이끌어내며 경영정상화와 시장경쟁력 회복을 위한 의미 있는 성과들을 이뤄냈다. 여기에 사회공헌활동을 주요 추진과제로 두고 교육과 환경, 문화,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글로벌 기업시민으로서 소임을 다하는 데 적극 나섰다. 이러한 노력은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 한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기여하는 가치 창출로 이어졌다. 르네 코네베아그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그룹사장은 "지난 4년간의 시간이 결코 쉽지 않았지만, 한 팀으로 같은 목표를 향해 달려와 준 그룹 및 산하 네 개 브랜드 임직원들의 열정과 노력 덕분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며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이 급격히 바뀌어 가고 있는 가운데, 폭넓은 제품
[더테크 뉴스] 항공안전기술원은 이대성(65) 신임 원장이 16일 취임한다고 15일 밝혔다. 서울 출신인 이 원장은 서울대 기계공학과 학사, 동 대학원 석사를 거쳐 미국 아이오와주립대에서 기계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항공우주연구원에서 30여 년간 활동한 항공 분야 전문가다. 이 원장은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미래를 향한 혁신을 최우선으로 단행할 예정"이라며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유일의 항공 안전 전문기관으로 도약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