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2023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K-디스플레이 2023)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주관하는 K-디스플레이 2023은 디스플레이를 즐기자는 의미를 담은 ‘Let’s Play! Display!‘를 슬로건으로 170개사 580부스로 구성됐다. 참관객이 체험할 수 있는 모빌리티와 XR 등의 테마관도 운영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비즈니스 포럼을 비롯한 다양한 부대행사들이 진행된다. 삼성디스플레이 부스에 ’슬라이더블‘(slidable) 디스플레이가 전시돼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2023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K-디스플레이 2023)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주관하는 K-디스플레이 2023은 디스플레이를 즐기자는 의미를 담은 ‘Let’s Play! Display!‘를 슬로건으로 170개사 580부스로 구성됐다. 참관객이 체험할 수 있는 모빌리티와 XR 등의 테마관도 운영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비즈니스 포럼을 비롯한 다양한 부대행사들이 진행된다. 사진은 K-디스플레이 2023 행사장 입구.
[더테크=전수연 기자] 아마존 웹 서비스(이하 AWS)가 비즈니스 운영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도입했을 때 발생하는 다양한 사례들을 소개했다.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있고, 활용예정이기도 한 생성형 AI를 발전시킬 방안에 대한 AWS의 전략을 들을 수 있는 자리였다. AWS는 8일 오전 서울 강남구 센터필드에서 ‘비즈니스 리더들의 생성형 AI 활용’을 주제로 미디어 브리핑을 진행했다. 자사 생성형 AI의 발전 현황과 앞으로의 전략을 밝히기 위한 간담회였다. 먼저 발표에 나선 이는 루크 앤더슨(Luke Anderson) 아시아 태평양 및 일본 AI, ML 매니징 디렉터였다. 생성형 AI의 흐름을 정리하는 것으로 발표를 시작한 앤더슨 디렉터는 생성형 AI 도입이 확산되는 이유를 △광범위한 데이터의 확산 △확장 가능한 컴퓨팅 용량의 가용성 △머신러닝(ML) 혁신 및 관련 스킬 확보 △데이터 과학 역량 증가 등 4가지로 정리했다. 생성형 AI가 AWS의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앤더슨 디렉터는 “아마존 리테일, 알렉사 등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확보해 머신러닝 혁명을 이룬 바 있다”며 “풀필먼트에서 동선을 짜는 것도 AI로 구성돼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된
[더테크=전수연 기자] AWS가 8일 오전 서울 강남구 센터필드에서 ‘비즈니스 리더들의 생성형 AI 활용’을 주제로 미디어 브리핑을 진행했다. 이날 브리핑에는 루크 앤더슨 AWS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 AI/ML 매니징 디렉터와 김기완 AWS코리아 솔루션즈 아키텍트 총괄이 발표에 나섰다. 사진은 루크 앤더슨 디렉터.
“올해는 폴더블 카테고리 대세화의 티핑 포인트가 될 것이다.” [더테크=문용필 기자] 사상 최초의 ‘갤럭시 서울 언팩’ 후 이틀 만에 기자들과 대면한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MX사업부장)의 목소리는 차분했지만 확신에 차 있는 듯했다. 아울러 이번 언팩에서 처음 공개된 갤럭시 Z폴드5와 Z플립5에 대한 자신감도 역력해 보였다. 노 사장은 “국내를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폴더블 판매수량이 과거 한해동안 판매됐던 갤럭시 노트의 판매량을 넘어설 것”이라고도 말했다. (관련기사: 첫 ‘서울 언팩’, 삼성전자의 ‘뉴 폴더블’은?) 삼성전자는 28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 사옥에서 국내 언론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다른 배석자 없이 노태문 사장이 기자들의 질문을 받아 답변을 하는 형태로 진행됐다. 100명이 훌쩍 넘는 취재진들이 간담회에 참석했다. “Z플립, 젊은 층들이 좋아할만한 제품군이라 생각” 첫 질문은 폴더블 신제품에 대한 글로벌 거래선의 반응이었다. 노 사장은 “굉장히 우호적이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고 있어서 (신제품)모델의 성공에 대한 기대가 큰 것이 사실”이라고 전했다. 특히 “글로벌 사전 예약 상황을 보면 Z플립의 비중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지난해
[더테크=조재호 기자] 전반적인 분위기는 차분했지만 우리나라의 소부장 산업 전반을 둘러볼 수 있는 전시회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작지 않았다. B2B 영역에 집중했고 기업 관계자나 관련학과 학생으로 보이는 관람객이 주를 이뤘다. ‘2023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대전(CoMPEX KOREA 2023, 이하 컴펙스 코리아)'이 26일부터 28일까지 3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New Normal, New Supply Chain'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기자가 방문한 시간이 오전이어서 그럴지도 모르지만 일부 부스를 제외하곤 쾌적하게 관람할 수 있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몇몇 부스는 본격적인 관람객 맞이에 앞서 제품을 정비하는 등 분주한 움직임을 보였다. (관련기사: [영상]컴펙스코리아 2023, 제조업 경쟁력의 핵심 ‘소부장’) 행사장 입구에서 관람객을 맞이한 첫 부스는 이차전지 종합기술센터를 표방하는 ‘울산 테크노파크’였다. 양극재 재료를 비롯해 전기차용 배터리 관련 장비를 전시해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부스 관계자는 “이차전지 생애 전주기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다양한 기업들이 입주했다”며 “더 많은 기업의 참여와 센터 홍보를 위해 이번 전시회에 참여
[더테크=조재호 기자/서용진 PD] ‘2023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대전(CoMPEX KOREA 2023, 이하 컴펙스코리아)’이 2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New Normal, New Supply Chain’이라는 주제로 개막했다. 컴펙스코리아는 대한민국 소재·부품·장비 산업을 대표하는 글로벌 전시회로 제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인 △전기전자·배터리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기계금속 △첨단화학·에너지 △바이오 △비대면 디지털 등 첨단 기술 분야의 100여 기업이 참여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다양한 컨퍼런스 및 부대행사에는 국내외 주요 소부장 기업과 기관들이 참여했다. 이번 행사를 통해 소부장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 간 교류와 협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테크가 컴펙스코리아 2023의 다양한 모습을 영상으로 담았다.
[더테크=문용필 기자] 삼성전자 ‘갤럭시 언팩 2023’이 26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됐다. 삼성전자의 하반기 모바일 신제품들이 공개됐으며 언론들과 글로벌 ICT 업계의 큰 관심을 모았다. 특히, 이번 언팩은 지난 2010년 첫 행사 이후 처음으로 서울에서 열린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사진은 언팩 행사가 끝난 후 코엑스에서 상영되는 갤럭시Z플립5 홍보 영상물.
[더테크=문용필 기자] 삼성전자 ‘갤럭시 언팩 2023’이 26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됐다. 삼성전자의 하반기 모바일 신제품들이 공개됐으며 언론들과 글로벌 ICT 업계의 큰 관심을 모았다. 특히, 이번 언팩은 지난 2010년 첫 행사 이후 처음으로 서울에서 열린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사진은 언팩행사 전 행사장 주변의 풍경.
[더테크=문용필 기자] ‘7월 26일’이 오기 며칠 전부터 그랬다. 생활 속에서 계속 ‘언팩’이라는 두 글자가 눈에 띄었다. 회사 근처 삼성 디지털플라자에도, 퇴근길 버스정류장을 지나는 버스에도, 심지어 택시를 잡기 위해 무심코 켠 카카오T 앱에서도 ‘언팩’은 눈에 띄었다. 마치 26일에는 꼭 그 현장에 있어야 한다는 일종의 계시처럼 말이다. 그리고 그날이 왔다. 삼성전자가 처음으로 서울에서 개최하는 ‘갤럭시 언팩’행사 당일. 삼성전자는 지난 2010년 갤럭시S를 출시하면서 해마다 언팩행사를 개최해왔는데 모두 미국이나 유럽같은 해외에서만 진행했다. 즉 갤럭시 언팩이 13년만에 고향에 금의환향한 셈이다. (관련기사: Z플립이 만든 ‘ㅅ’…윤곽 나온 첫 ‘갤럭시 서울 언팩’) 언팩이 열리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 기자가 도착한 시간은 오후 4시 40분경. 행사 시작이 8시였으니 꽤나 이른 발걸음이었다. 국내외 언론을 가리지 않고 많은 취재진들이 올 것이라는, 누가 봐도 예상가능한 시나리오 때문이었다. 코엑스 곳곳에 마련된 언팩 관련 홍보물들이 기자를 맞이했다. 그런데 행사장 앞은 의외로 한산했다. 언팩에 참석하는 ‘셀럽’을 기다리는 듯, 젊은 외국인 여성들이 행사
[더테크=조재호 기자] ‘2023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대전(CoMPEX KOREA 2023, 이하 컴펙스코리아)’이 2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막했다. 컴펙스코리아는 대한민국 소재·부품·장비 산업을 대표하는 글로벌 전시회로 제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인 △전기전자·배터리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기계금속 △첨단화학·에너지 △바이오 △비대면 디지털 등 첨단 기술 분야의 100여 기업이 참여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인다. 컨퍼런스 및 다양한 부대행사가 함께 진행된 이번 전시회는 삼성SDS, KCC정공, 한국알테어, 비츠로셀, 울산테크노파크, 한국세라믹기술원 등 국내 굴지의 소부장 기업 및 기관들이 참가했다. 사진은 레이저 광학기술 전문기업으로 CES 2023에서 레이저 빔프로젝터로 혁신상을 수상한 브라이튼코퍼레이션의 부스이다.
[더테크=문용필 기자] 삼성전자 ‘갤럭시 언팩 2023’이 26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됐다. 삼성전자의 하반기 모바일 신제품들이 공개됐으며 언론들과 글로벌 ICT 업계의 큰 관심을 모았다. 특히, 이번 언팩은 지난 2010년 첫 행사 이후 처음으로 서울에서 열린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사진은 행사장 주변의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