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지영 기자] “차는 입구에 두고 내리세요. 로봇이 고객님의 차량을 안전하게 주차하겠습니다.” 카카오모빌리티(대표 류긍선)가 자회사 케이엠파크, HL로보틱스와 함께 국내 최초로 일반 이용객이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로봇발레(주차 대행) 서비스를 15일 선보였다. 고도화된 주차로봇 기술에 카카오모빌리티의 플랫폼 운영 역량을 결합해 기술 실증 단계를 넘어 상용 서비스로 구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카카오모빌리티와 HL로보틱스는 충북도청, 충북과학기술혁신원과 협력해 충북 청주시 충북콘텐츠기업지원센터 지하 주차장에 로봇 주차 설비를 구축하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마련했다. 이번 사업은 충북도청과 충북과학기술혁신원의 지원으로 추진돼 신기술의 상용화뿐 아니라 미래 산업 생태계 조성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현재는 해당 건물 입주 기관 직원 등을 대상으로 사전 신청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일반 이용자 대상으로 확대를 검토 중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5월 HL로보틱스와 ‘자율주행 주차로봇 서비스 사업화 협약’을 체결하고 기술 개발과 실증을 이어왔다. 이번에 선보인 로봇발레 서비스는 그 협력의 결실로, 주차로봇을 실제
[더테크 이승수 기자] 마이크로소프트가 AI 에이전트와 데이터 기반 보안 기능을 통합한 최신 센티넬 업데이트를 15일 공개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보안 환경의 근본적 전환을 목표로, 외부 위협에 AI 속도로 대응할 수 있는 능동적 보호 체계를 강화한다. 전 세계 산업 전반에서는 인간과 AI가 협업하는 ‘프런티어 기업’이 부상하고 있다. 이들은 혁신을 주도하고 문제 해결과 복원력 있는 조직 구축에 집중하며, 보안 환경에도 새로운 대응 체계를 요구하고 있다. 이번 업데이트로 센티넬은 데이터 레이크 정식 출시와 함께, 센티넬 그래프(Sentinel Graph) 및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 서버 프리뷰를 공개했다. 보안 담당자는 다양한 도메인에서 수집한 신호를 그래프 기반 관계 분석으로 연계, 이메일·엔드포인트·클라우드 등 영역별 위협을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AI 에이전트가 공격 경로를 추적하고 대응 우선순위를 자동 지정함으로써 자동화된 방어 체계를 구현한다. 센티넬은 시큐리티 코파일럿과 깃허브 코파일럿 기반 에이전트를 포함해, 다양한 개발 플랫폼에서 운영되는 AI 에이전트를 단일 플랫폼에서 연동·운영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디펜더(Micros
[더테크 서명수 기자] ICT 수출이 254억 달러를 돌파하면서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9월 한 달간의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9월 ICT 수출은 254억3,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223억2,000만 달러) 대비 14.0%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수입은 137억8,000만 달러로 10.4% 늘었고, 무역수지는 116억5,000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이번 실적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국내 ICT 산업의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반도체 수출이 2개월 연속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전체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ICT 수출 역대 순위는 1위 254.3억 달러(2025년 9월), 2위 232.6억 달러(2022년 3월), 3위 228.6억 달러(2025년 8월)이며, 반도체 수출은 1위 166.2억 달러(2025년 9월), 2위 151.1억 달러(8월), 3위 149.7억 달러(6월)로 나타났다. ICT 무역수지는 2018년 9월 122.8억 달러 이후 2위 수준인 116.5억 달러를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21.9%↑), 디스플레이(1.3%↑),
[더테크 이승수 기자] 필리핀이 대규모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는 가운데, 우리 건설엔지니어링(EPC) 및 기술 솔루션 기업이 현지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교류의 장이 마련됐다. KOTRA(사장 강경성)는 14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주필리핀 대한민국대사관(대사 이상화), 한국플랜트산업협회(회장 김창학)와 공동으로 ‘2025 한-필 인프라·플랜트 협력 포럼 및 상담회’를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필리핀 교통부, 에너지부, 미군기지 전환개발청 등 주요 정부 발주처와 다자개발은행(MDB) 관계자들이 참석해 우리 기업과의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글로벌사우스의 핵심 국가이자 아세안 회원국인 필리핀은 현재 정부 주도의 ‘BBM(Build, Better, More)’ 인프라 개발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교통·에너지·물관리 등 주요 분야의 현대화와 함께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효율 향상, 홍수 예방을 위한 인프라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포럼에는 국내 EPC 및 기술기업 30개사가 참가했다. 오전에는 양국 간 주요 프로젝트 및 기술 동향을 공유하는 포럼이, 오후에는 관심 분야별 1:1 B2B 상담회가 이어졌다. 한국수자원공사(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