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이정철 교수 연구팀이 마이크로히터와 유동 채널이 내장된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소자를 이용해 극미량의 유체에 대한 열전달 관련 측정과 공정을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실험 플랫폼인 열원-미소채널 통합 공진 센서(heater-integrated fluidic resonator, 이하 HFR)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마이크로 유체 채널이 통합된 센서는 많은 연구자에 의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큰 크기를 갖는 상용화된 센서들(마이크로/나노 공정의 적용이 필요 없는)에 비해 적은 정확도를 갖는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밀도/질량 측정에만 주로 사용되지만 오히려 소형화될수록 높은 정확도를 갖는 장점이 있는 기계 공진 센서에 주목했다. 지금까지의 유체 채널 통합 공진 센서는 신뢰할 만한 결과의 확보를 위해 동일한 온도에서의 측정이 필요했다. 반면 이정철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온도를 자유자재로 제어하며 고정확도의 공진 측정을 병행함으로써 밀도/질량 측정 이상으로 다양한 현상과 물리량을 분석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플랫폼을 이용해 20pL(피코 리터) 이하 액체의 열전도도, 밀도, 비열
[더테크 뉴스] 나노종합기술원(이하 기술원)은 ASML코리아(노광장비 파트수리 검증 솔루션 개발팀, 이하 RDC)와 반도체 핵심 노광장비 부품 신뢰성 테스트를 위한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ArF Immersion Scanner(ASML)는 전 세계적으로 40나노 이하 반도체(20나노급 메모리반도체 등) 개발과 생산을 위해 많이 활용되고 있는 장비로, ASML는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안정적인 장비 유지보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품 테스트베드 협력기관이 필요했다. 이에 ASML코리아는 기술원이 보유한 노광장비(ArF Immersion Scanner)를 활용해 핵심 장비부품의 신뢰성 검증 가능성을 확인하고, 기술원에 부품 개발 협력을 요청했다. 기술원은 해당 노광장비가 국내 반도체 대기업에서 반도체 생산을 위해 활용되는 핵심장비로, ASML코리아(RDC)의 부품 신뢰성 검증 지원을 통해 국내 반도체 산업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양 기관간 상호 협력을 추진하게 됐다. 이는 기술원이 노광장비 세계 최고 기업인 ASML과 협력해 반도체 부품 신뢰성 실증평가를 지원할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 반도체 테스트베드로 인정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테크 뉴스] 루닛은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제품군이 새로운 유럽 의료기기 규정인 ‘MDR(Medical Device Regulation)’에 따른 CE 인증을 획득했다고 21일 밝혔다. 루닛은 동시에 유럽연합(EU)에서 브렉시트한 영국의 새로운 인증제도인 ‘UKCA(UK Conformity Assessed)’도 함께 획득했다. 루닛이 이번에 MDR CE 및 UKCA 인증을 획득한 제품은 흉부 엑스레이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과 유방촬영술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 두 제품이다. 아시아·태평양(APAC) 소프트웨어 의료기기(Software as Medical device, SaMD)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해당 인증을 받게 됐다. 유럽 의료기기 규정 MDR은 지난 2017년 5월 공식 발표된 규제로, 기존 의료기기 지침인 MDD(Medical Device Directive) 보다 강화된 규정이다. MDR은 제품의 안전성, 성능, 유효성 및 임상 검증 등에 대한 요구사항을 기존 MDD 대비 엄격한 수준으로 상향해 법제화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제품 자체의 성능은 물론 제조시설에 대한 품질심사 기준이 까다롭기 때문에
[더테크 뉴스] 면접순서는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 앞선 지원자에 대한 평가가 다음 지원자의 평가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자칫 공정하지 않고 비합리적으로 보이지만, 이는 뇌가 합리적으로 인지하는 과정에서 비롯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의 권오상 교수와 문종민 연구원은 ‘순서대로 제시되는 시각 대상을 평가할 때, 직전 평가가 현재 대상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했다. 그 결과 현재 평가는 바로 전 평가와 ‘비슷한 방향’, 그리고 바로 전 대상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작동하고 있었다. 연구진은 이런 상반된 인지편향을 만들어내는 계산과정을 설명하는 수학적 모델을 제시했다. 쇼핑이나 만남 등 일상에서 각종 평가는 순서대로 이뤄진다. 사람들은 먼저 것을 기준 삼아 눈앞의 것을 평가하며, 상반된 방향이 동시에 나타난다. 우수한 면접자나 상품을 본 다음에는 상대적으로 더 나쁘게 보일 때도 있고, 긍정적인 인식이 이어져 더 좋게 보이기도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런 두 가지 상반된 인지 편향이 동시에 작동하고 있음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 권오상 교수는 “우리가 경험하는 거의 모든 대상은 시간적 연속성을 가진다”며 “상태는 천천히 변
[더테크 뉴스] 아쿠아 시큐리티(이하 아쿠아)가 미국 행정명령(EO) 14028을 준수한다는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증명을 제공한다고 21일 밝혔다. 미 정부의 국가 사이버 보안 개선을 위한 행정명령은 제로트러스트 아키텍처를 연방정부에서 구현하도록 요구하고, 미 연방기관에 SW 내장 제품을 납품할 경우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 SW의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한 명세서) 제출을 의무화해야 한다. 이번 미 정부의 행정명령은 써드파티 소프트웨어 기업이 미국의 사이버보안을 강화하고, 미국을 악의적 사이버 행위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충족하거나 초과 달성해야 하는 모든 소프트웨어 공급망 요건을 열거하고 있다. 드로 다비도프 아쿠아 시큐리티 CEO 겸 공동 창업자는 “이번 행정명령은 글로벌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미 정부에 판매하거나 정부와 거래하는 기업에 소프트웨어를 판매한다면 명령 준수를 입증해야 한다”며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이 고도화되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민간 부문은 반드시 선제적 사이버보안 조처를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쿠아의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은 전체 소프트웨어 개발 라이프사이클을 보호하는 솔루션
[더테크 뉴스] PTC는 실버레이크가 다수 지분을 보유한 법인으로부터 약 14억 6000만 달러에 서비스맥스(ServiceMax)를 인수하는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서비스맥스는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제품 중심 현장 서비스 관리(FSM)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인정받는 선도 기업이다. PTC는 이번 인수로 제품 정보의 디지털 스레드를 다운스트림 엔터프라이즈 자산관리(EAM)·FSM 기능으로 확장함으로써 폐쇄 루프(closed-loop) 제품 수명주기 관리(PLM) 오퍼링을 강화할 계획이다. 규제 승인 및 기타 적용 가능한 마감 조건의 충족에 따라 거래는 2023년 1월 초에 종료될 전망이다. 짐 헤플만 PTC 사장 겸 CEO는 “서비스맥스 인수를 통해 PTC의 폐쇄 루프형 PLM 전략의 핵심을 실현할 계획”이라며 “PTC가 엔지니어링 부서와 제조 부서에 오랫동안 제공해 온 PLM 기능은 모든 제품 구성의 디지털 정의에 대한 기록 시스템의 역할을 해왔다. 서비스맥스는 제품이 공장을 떠나 고객의 사용환경으로 이동한 후에도 이를 모니터링하고 서비스하기 위한 기록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보완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수가 완료되고 나면 PTC는 CAD·PLM
[더테크 뉴스] TUV SUD(이하 티유브이슈드)는 체코에 위치한 독일 할인 유통업체 리들에 폐기물·재활용품 관리를 위한 새로운 참조 규격인 ‘DIN SPEC 91436’에 따라 인증서를 최초로 발행했다고 21일 밝혔다. 티유브이슈드는 네덜란드와 슬로바키아, 루마니아에 위치한 리들, 카우프랜드 매장에 대한 인증도 연달아 진행한다. 티유브이슈드 MS 제품 규정 준수 관리자 줄리아 불링은 “제로 웨이스트를 목표로 체코의 리들이 DIN SPEC 91436을 준수함으로써 폐기물이 없는 미래를 향한 큰 발걸음을 내디뎠다는 사실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제 다른 국가에서도 동일한 비전 실현을 위해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독일 폐기물 처리 기업 프리제로 듀얼 그룹내 서비스·신사업 부문 총괄이사 디트마르 보엠은 “폐기물은 잘못 분류된 재활용품이다. 고품질 원료로서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반에 걸쳐 체계적인 폐기물 및 재활용품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며 “새로운 인증 규격에 기반한 경영 시스템은 제로 웨이스트라를 목표로 최적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리들은 심사를 통해 최고 성숙도인 ‘골드(Gold)’ 등급을 받았다. 이는 총 폐기물 양의 최소 95%가
[더테크 뉴스] 3D 시스템즈가 사무실·병원 등 작은 공간에서도 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선택적 레이저 소결) 방식 3D 프린터를 공급한다. 3D 시스템즈는 스웨덴 3D 프린터 제조업체 Wematter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SLS 방식 3D 프린터 ‘Wematter Gravity’를 전 세계에 독점 공급한다고 18일 밝혔다. Wematter Gravity는 작은 공간에서도 장비를 설치하고 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작은 설치 공간(0.7m×0.7m×1.5m)은 일반적인 SLS 3D 프린터 대비 1/3의 공간만 필요로 하지만, 큰 제작 크기(300㎜×300㎜×300㎜)는 전체 작업을 24시간 안에 완료할 수 있다. 또 사무실, 병원, 실험실에서 자동차, 소비재 및 의료 부품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응용 분야의 생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CE 인증을 받았다. 또한 표준 전원과 이더넷 연결만 있으면 플러그 앤드 플레이 설치가 가능하고 배송 후 1시간 안에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간단한 설정 및 인쇄 프로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능하다. 고유한 파우더 처리 시스템으로 폐
[더테크 뉴스] 연세대학교 조형희 교수(기계공학부) 연구팀이 개발한 차세대 항공기를 위한 시각·레이더·적외선 동시 회피 복합 스텔스기술이 ‘2022 대한민국 올해의 10대 기계 기술’로 선정됐다. 차세대 항공기를 위한 시각·레이더·적외선 동시 회피 복합 스텔스기술은 시각 위장을 유지하면서도 레이더파를 흡수해 레이더를 기만하고, 동시에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적외선 신호를 저감해 시각·레이더·적외선 신호를 동시에 탐지하는 차세대 탐지기의 추적을 회피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최신 무기체계에 적용해 미래 전장의 무기체계 생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스텔스기술의 기초 성능 검증을 넘어 초음속 비행이나 세정 공정으로 인한 표면 삭마 등 극한 상황에도 견딜 수 있는 표면처리 기반기술이 적용돼 실용화에도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스텔스기술은 첨단 국방 기술로 수출제한 품목이기 때문에 국내 연구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연세대 조형희 교수는 첨단 국방 기술인 차세대 스텔스기술을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해 그 도전정신과 기술의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조형희 교수는 국방피탐지감소기술 특화연구센터(2009~2017)의 센터장과 이후 후속 연구로
[더테크 뉴스] 인공지능 기업 솔트룩스 자회사 플루닛이 2023년 1월 미국에서 개최되는 ‘CES 2023’ 개막에 앞서 자사 서비스 ‘메타휴먼’이 소프트웨어&모바일 앱 분야 ‘혁신상(Innovation Awards)’을 수상했다고 18일 밝혔다. 혁신상은 CES 행사의 주최사인 전미소비자기술협회(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 CTA)가 세계를 선도할 만한 기술성, 심미성, 혁신성을 갖췄다고 판단되는 제품 또는 기술에 주는 상으로 ‘CES 최고의 영예’로 불린다. 플루닛의 메타휴먼은 음성 인식(STT), 음성 합성(TTS), 자연어 이해(NLU) 등 다양한 기술의 결합으로 제작되는 가상 인간이다. 디바이스를 통해 실제 인간과 음성, 비전, 터치 등 다양한 상호작용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시간·공간에 제약이 없어 상담사, 리셉션 데스크, 개인 비서 등으로 활용 영역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올 1월 열린 CES2022에서 플루닛은 부스 내 키오스크를 통해 메타휴먼 ‘에린’을 선보이기도 했다. 에린은 부스 방문객들을 인식해 먼저 인사를 건네고, 회사 소개나 부스 안내 등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며 홍보 담당자로 활약
[더테크 뉴스] 테스트웍스는 대한민국사회공헌재단과 업무 협약을 맺고 자사 AI 데이터 수집 가공 전문 플랫폼 ‘에이아이웍스(aiworks)’를 사용해 어르신들을 위한 쉼터 정보를 알려주는 벤치 위치 정보 지도를 구축한다고 18일 밝혔다. 양 기관은 함께 어르신들을 위한 쉼터 조성사업에 기여하며, 양 기관 상호발전을 위한 공동사업을 발굴·추진한다. 테스트웍스는 인공지능 데이터 수집 가공 전문 플랫폼 에이아이웍스를 통해 어르신들을 위한 벤치 위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해 벤치 위치 정보 지도를 구축하고, 대한민국사회공헌재단은 벤치 지도를 통해 어르신들을 위한 쉼터 조성 사업을 운영한다. 테스트웍스는 2015년 설립 이후, 경력단절 여성과 발달장애인 등의 취업 취약계층을 적극 고용해 일자리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어왔다. 대한민국사회공헌재단은 CSR 인프라 확산과 스탠다드 구축을 위한 다양한 사업과 활동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비영리기관이다. 양 기관이 추진하는 어르신을 위한 쉼터 벤치 위치 정보 지도 구축 사업은 시민들의 화합과 참여를 통해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ESG 벤치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대한민국사회공헌재단은 나아가 서울시 내 각 공원이나 거
[더테크 뉴스] 하이센스가 세계 TV 출하량 신기록을 달성하며 글로벌 시장 2위에 올라섰다. 마켓 리서치 기관 AVC Revo가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올 1~10월 하이센스 TV의 전 세계 출하량이 전년 대비 18% 증가한 1960만 대를 기록했다. 하이센스는 이 판매 신기록을 달성하면서 글로벌 시장 2위를 기록했으며, 이는 하이센스 역사상 최고 순위다. 올해 세계 경제는 계속 이어지는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소비자의 구매력과 구매 욕구는 계속 감소하며 성장세가 주춤한 상황이다. 전 세계 TV 산업에서는 소비자의 수요가 거의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AVC Revo가 발표한 최신 ‘글로벌 TV 브랜드 월별 출하량 데이터 보고서(Global TV Brand Shipment Monthly Data Report)’에 따르면, 전 세계 TV 출하량은 올해 들어 8개월 연속으로 감소했고, 1~3분기의 전 세계 누적 TV 출하량은 5.9% 감소했다. AVC Revo 자료에 따르면, 중국 시장에서 하이센스 TV 판매량은 2021년 9월부터 14개월 동안 증가했다. 올 1~10월에 하이센스 TV 출하량은 전년 대비 30% 증가했고, 출하량의 수익 점유율은 2위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