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이지영 기자] 다쏘시스템이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인 솔리드웍스의 최신 버전을 공개했다. 이번 버전에서는 클라우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해 설계 데이터를 3D익스피리언스에 연결할 수 있어 데이터 관리 및 협업 측면의 효율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해당 플랫폼의 기능을 활용해 편의성을 높였다. 다쏘시스템이 3D설계 및 엔지니어링 애플리케이션 솔리드웍스의 최신 버전 ‘솔리드웍스 2024’를 출시한다고 27일 밝혔다. 솔리드웍스 2024는 사용자 커뮤니티의 피드백을 반영해 개선된 성능과 기능을 선보인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클라우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설계 데이터를 다쏘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에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설계 공유 및 파일 관리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대폭 줄이고 생산성을 개선했다. 김화정 다쏘시스템코리아 CRE 사업부 본부장은 “업계 전반의 DX가 확산되면서 보다 빠르고 스마트한 협업에 대한 수요와 중요도고 높아지고 있다”며 “솔리드웍스 2024를 통해 ㅋ르라우드 서비스 등 혁신적인 기능을 제공해 사용자들의 협업과 경쟁력 강화 그리고 비즈니스를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3D익스피리언스 웍스 포트폴리오에 있
[더테크=이지영 기자] 미디어젠과 부산외국어대학교가 AI 플랫폼 사업을 통한 맞춤형 교육 커리큘럼 구성을 진행한다. 아울러 첨단 AI 기술 확장을 위해 협력한다. 미디어젠이 부산외대와 AI 에듀테크 기술의 공교육 적용 및 시민 교육으로의 확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AI 에듀테크 기술의 교육 환경 적용 △AI 기반 커리큘럼 및 교육 솔루션 공동 개발 △재학생 등의 실무 경험을 위한 협력 △평생 교육 AI 기술 확장 등을 골자로 한다. 고훈 미디어젠 대표이사는 “부산외국어대학교는 최신 AI 기술을 실제 교육에 접목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다”며 “신속하고 발전적인 행보가 부산 지역의 전체 AI 기술 활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미디어젠과 부산외대는 대학에서 자체 생산한 교육 콘텐츠를 AI 기술과 접목해 독창적인 교육 커리큘럼을 구성하며, 이를 시민 평생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한편, 부산외대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내년 신학기부터 AI 기술에 대해 이론과 실무를 경험할 수 있는 마이크로 전공 개설을 검토하고 있다. 미디어젠은 음성인식, 음성합성, 거대언어모델(LLM), AI 학습
[더테크=이지영 기자]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영상 콘텐츠를 통해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구축과 운영 방안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가 자사 미디어 채널에서 ‘이노베이션 데이: 지속가능한 데이터’ 영상 콘텐츠를 공개한다고 27일 밝혔다.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센터의 규모와 수요가 증가한 만큼 이를 관리하는 방법도 중요해졌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지난해 이노베이션 데이의 발표를 토대로 △냉각 시스템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구현 △스마트 전원 공급 솔루션 △엣지 컴퓨팅 솔루션 △커스터마이징 통합 관리 소프트웨어 등의 다섯 가지 주제로 구성했다. 김경록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대표는 “기업이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를 위해 사업장 내에서 친환경 솔루션을 도입하고 있지만 구축 이후 운영 측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며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영상 콘텐츠를 통해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를 운영할 수 있는 기술과 해법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영상을 통해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고객들에게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을 위한 다양한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한편,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데이터센터의 ESG(환경·사
[더테크=이지영 기자] SK텔레콤이 동남아 3개국 IT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에서 존재감 확대에 나섰다. SKT는 최근 말레이시아의 ‘셀콤 디지(Celcom Digi)’, 인도네시아의 ‘아가테(agate)’, 필리핀의 ‘코스믹 테크(Cosimic Tech)’ 등 3개 기업과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ifland)’ 관련 퍼블리싱 파트너십 협력 양해각서를 각각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 3사의 면면을 살펴보면 ‘셀콤 디지’는 말레이시아 1위 통신기업, ‘아가테’는 인도네시아 게임개발사 겸 퍼블리셔, ‘코스믹 테크’는 사물이동통신 플랫폼 및 디바이스 제조유통업체다. 협약에 따라 SKT는 글로벌 서비스 기획과 콘텐츠 제작, 서비스 운영 등 핵심 영역에 집중하고 파트너사들은 현지 특화 콘텐츠 개발과 마케팅, 1차 고객 지원 등 현지 서비스 활성화에 주력할 예정이다. SKT는 이프랜드의 동남아시아 지역 이용자 확산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했다. 양맹석 SKT 메타버스CO담당은 “동남아시아의 대표 IT 기업 3곳과 협약을 맺어 국가별 맞춤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더 많은 현지 기업과 협약을 진행해 지역별 이용자를
[더테크=이지영 기자] HD현대의 전력기기 및 에너지솔루션 계열사인 HD현대일렉트릭이 독립법인 창설 이래 최대 규모의 수주를 체결했다. HD현대일렉트릭은 사우디 소재 EPC(설계·조달·시공) 전문기업과 943억원 규모의 변압기와 고압차단기, 리액터 등 전력기기에 대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수주 계약은 디리야(Diriyah) 유적지 신도시 개발에 필요한 신규 변전소에 투입될 제품으로 내년까지 고객사에게 공급될 예정이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200억달러(26조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사우디 왕조의 기원지인 디리야 유적지 주변 최고급 관광시설을 개발하는 등 대규모 도시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디리야 게이트'로 알려진 프로젝트는 제2의 네옴시티로도 불린다. HD현대일렉트릭 관계자는 “제품의 품질과 공급 능력을 인정받아 대형 수주 계약이 이어지고 있다”며 “사우디 전력망 투자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추후 사업도 수주해 확고한 입지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HD현대일렉트릭은 지난 9월 네옴시티 건설 공사부터 이번 디리야 사업까지 신도시 개발 관련 전력기기 공급 계약을 잇달아 체결하고 있다. 사우디 정부는 비전 2030
[더테크=이지영 기자] 디스코드가 아동 성 착취물이나 폭력적인 극단주의 콘텐츠 감지 및 예방하고 안전한 인터넷 환경 조성을 위한 파트너십 확대에 나섰다. 디스코드는 인터넷 감시 재단(Internet Watch Foundation, IWF)·크라이스트처치 콜(Christchurch Call)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두 기관은 안전한 인터넷 환경을 위해 아동 성 착취물을 비롯해 폭력적인 극단주의 콘텐츠 확산을 방지하는 기관이다. IWF는 온라인 아동 성 착취물의 확산을 방지하는 영국의 비영리재단이다. 디스코드는 IWF의 URL 및 키워드 목록, 해시 목록 등 IWF의 서비스를 탑재해 자사 플랫폼을 보호할 계획이다. 아울러 IFW의 ‘신뢰할 수 있는 신고자(trusted flagger)’ 그룹도 동참해 의심되는 상황을 발견한 경우 IFW에 신고해 신속하게 심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디스코드에서 범죄물 공유 방지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스코드가 발간한 2023년 2분기 투명성 보고서에 따르면 디스코드는 아동 안전 관련 문제가 발견된 서버의 95%와 아동 성 착취물 공유가 의심되는 서버의 99%를 선제 조치했다.
[더테크=이지영 기자] 카카오뱅크가 오픈소스 보안 보증 국제 표준 인증을 획득해 오픈소스 활용과 보안 관리 역량을 국제적으로 알렸다. 카카오뱅크는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오픈체인(OpenChain) 프로젝트가 규정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보안 관리체계 국제표준(ISO/IEC 18974:2023)’ 준수 기업으로 인정받았다고 23일 밝혔다. 오픈체인 프로젝트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사용권 준수와 보안 취약점 관리를 위한 기업들의 자발적 협의체로 2016년 미국 비영리단체 리눅스 재단(Linux Foundation)에서 설립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보안 관리체계 국제표준은 오픈체인 프로젝트가 각 기업의 오픈소스 관리 체계를 다면적으로 평가해 체계성과 일관성 있는 오픈소스 보안 관리 역량을 갖춘 기업들에게 인증을 부여한다. 카카오뱅크는 △오픈소스 정책과 프로세스 수립의 적정성 △컴플라이언스 시스템 구축 여부 △담당 조직과 인력의 전문성 △사내 구성원의 교육 수행 등에 대한 기준 충족 여부 등 오픈체인 프로젝트가 규정한 30여 개 보안인증 요건을 충족했다. 카카오뱅크는 모든 인터넷은행을 포함한 국내외 금융사 중 이 인증을 받은 것은 자사가 처음이라고 밝혔다. 특
[더테크=이지영 기자] 삼성전자가 브랜드가치에서 지난해 대비 4% 성장을 기록하며 4년 연속 글로벌 톱 5의 위상을 지켰다. 한화 기준 117.8조원에 이르는 가치로 고객경험과 기술 선도, ESG 경영 등을 높이 평가받았다.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 전문업체 인터브랜드는 삼성전자의 브랜드가치를 914억달러(117조8146억원)로 21일 발표했다. 이는 세계 5위 규모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IT 업계 시황 약세에도 모바일, TV를 포함한 가전, 네트워크, 반도체 등 사업 전반의 브랜드가치가 골고루 상승했다. 이영희 삼성전자 글로벌마케팅실장(사장)은 “삼성전자의 브랜드가치가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견조한 성장을 지속할 수 있었던 것은 고객들의 성원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차별화된 연결경험과 미래 기술 리더십,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더 사랑받는 브랜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1년 17위에서 2012년 9위로 도약해 글로벌 브랜드가치 10위권에 진입한 이후 2017년 6위, 2020년 5위로 브랜드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해왔다. 이는 12년 연속 10대 브랜드 유지 기록이다. 아울러 2020년 이후 미국
[더테크=이지영 기자] 롤스로이스는 영국 더비에 있는 자사 시설에서 울트라팬 기술 시험기를 최대 동력으로 구동하는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해당 테스트는 100% 지속가능한 항공연료(Sustainable Aviation Fuel, SAF)를 사용해 진행됐다. 회사는 이번 실험은 울트라팬 시험에 있어 중요한 터닝포인트가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울트라팬 실험은 초기 테스트 이후 점진적으로 동력을 높여왔고 이번 테스트를 통해 기대치를 충족하는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테스트에서 확보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핵심 사항들에 대한 분석을 이어갈 예정이다. 아울러 울트라팬 기술 시험기 구동 테스트는 롤스로이스 기술 제품군의 신뢰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이다. 현재 활용되는 대형 항공엔진인 트렌트 XWB보다 10% 더 향상된 울트라펜의 성능을 확인해 미래 항공 엔진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진전을 이뤘다. 최대 2만5000lb에서 11만lb 추력까지 확장할 수 있는 울트라팬 기술은 2030년대에 출시될 신형 협동체(Narrowbody) 및 광동체(Widebody) 항공기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롤스로이스의 울트라팬 개발은 트렌트 엔진으로 이
[더테크=이지영 기자] 마우저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 TI)의 AM68Ax 64비트 Jacinto 8 TOPS 비전 SoC 프로세서를 공급한다고 21일 밝혔다. AM68Ax는 머신 비전 카메라, 컴퓨터, 교통 모니터링, 자율이동 로봇 및 산업용 모빌리티 등 스마트 비전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Jacinto™ 7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는 확장 디바이스다. 마우자가 유통하는 TI의 SoC는 방대한 통합 기능을 갖춘 아키텍처로 기존의 비전 애플리케이션을 비롯해 딥러닝을 위한 고성능 컴퓨팅 기술을 제공한다. 64비트 Arm Cortex A-72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2MHz로 동작하는 CPU 프로세서와 AM68Ax는 멀티 스칼라 및 벡터 코어를 갖춘 차세대 DSP(digital signal processing)를 비롯해 AI 프로세싱을 위한 1~32 TOPS(tera operations per second) 딥러닝 가속기와 비전 프로세싱을 통한 확장성을 지원한다. 아울러 AM64Ax는 다중 스트림(H.264, H.265, RAW, 4K UHD)을 위한 비디오 코덱을 지원하는 통합 차세대 이미징 서브시스템(imaging subsys
[더테크=이지영 기자] 헥사곤이 적층제조업(Additive Manufacturing, AM) 지원을 위한 고성능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발표했다. 기존까지 호환성이나 부문별 연계가 어려워 확장에 한계를 보이던 제조 공정의 한계를 개선해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헥사곤은 AM의 도입 지원을 위해 통합 소프트웨어 ‘헥사곤 적층 제조 소프트웨어 제품군(HxGN Additive Manufacturing Suite)’을 21일 발표했다. 회사의 디지털 리얼리티 플랫폼 넥서스를 통해 활용할 수 있는 적중 제조 소프트웨어 제품군은 4가지 핵심 소프트웨어를 결합했다. 헥사곤은 이번 제품군에 △디자이너(Designer, 제조 및 설계 검토용 CAD 소프트웨어) △AM 스튜디오(AM STUDIO, 금속 파우더 베드 퓨전(PBF) AM 빌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시뮤팩트 애디티브(Simufact Additive, 제조 프로세스 시뮬레이션 및 최적화 소프트웨어)△▲에스프릿 엣지(Esprit Edge, 금속 AM 부품의 후공정인 CNC 가공을 위한 CAM)가 결합했다. 제조업체는 넥서스 플랫폼이 지원하는 워크플로우 자동화를 통해 효율적인 설계를 진행할 수 있
[더테크=이지영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반월시화공단을 방문해 중소·중견기업의 에너지 효율 개선 지원사례를 점검하고 관련 건의사항 등을 논의했다. 이와 관련 성원지티씨가 ‘2024년 에너지효율화 정부사업’ 참여 기업의 접수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방문은 ‘현장 중심 행정’ 강화의 일환으로 에너지 요금 인상에 취약한 산업현장을 직접 찾아가 새로운 정책과제를 발굴하고 관리하기 위함이다. 이호현 산자부 에너지정책실장은 “에너지 저소비 고효율 구조로 전환을 위해 에너지 소비의 60%를 차지하는 산업 부문 효율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에너지 비용상승에 따른 부담이 큰 중소·중견 산업현장의 근본적인 효율화 노력이 확산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에너지효율화 정부사업은 기업이 에너지 절감 콤프레샤 등 친환경 에너지 설비를 구매하면 정부가 해당 금액의 50%~90%를 무상 지원하는 사업이다. 콤프레샤는 대기 중 기체를 높은 압력으로 압축하는 장비로 반도체나 이차전지를 비롯한 생산 공장 전반에 두루 쓰인다. 이와 관련한 콤프레샤 기업으로 성원지티씨가 있는데 2020년부터 최근까지 총 150여기업에 200여대의 콤프레샤를 납품하고 정부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기업이 성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