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 37회 테크포럼 개막…AI·자원·로봇·소재 기술 전략 총집결

 

[더테크 이승수 기자]  포스코그룹이 18일부터 이틀간 그룹 최대 기술 행사인 ‘포스코그룹 테크포럼(Tech Forum)’을 개최하며 미래 기술 전략과 핵심 연구 성과를 공개한다. 1989년에 시작해 올해로 37회째를 맞은 테크포럼은 철강·이차전지소재·미래 신성장 분야의 기술 혁신을 공유하는 그룹 대표 기술 축제다.

 

올해 테크포럼 개회식은 포항공대에서 열렸으며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을 비롯해 주요 사업회사 대표와 기술 분야 임직원 1300여 명이 참석했다.

 

장 회장은 개회사에서 “불확실한 경영환경을 돌파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은 기술 혁신”이라며, 현장과 연구소가 협력하는 ‘One-Team형 초격차 대형 과제’를 통해 기술 개발 속도를 대폭 높이고 그룹의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어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핵심 기반이 되는 글로벌 자원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속적인 자원 탐사와 혁신 공정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전 직원의 AI 활용 역량을 강화해 “모든 현장에서 AI 중심의 디지털 혁신을 이루겠다”고 강조하며 그룹 전반의 AI 전환 기조를 재확인했다.

 

개회식에서는 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직원들을 포상하는 ‘포스코 기술대상’ 시상식도 진행됐다. 올해 기술대상은 혁신상 2건, 창의상 4건, 도약상 4건, 도전상 3건 등 총 15건이 선정됐다. 최고 영예인 올해의 혁신상은 포항제철소 제강부와 포스코퓨처엠 양극재연구센터가 공동 수상했다.

 

포항제철소 제강부는 작업자 편차가 큰 제강 공정을 AI 기반 기술로 100% 자동화한 ‘제강 전 공정 자율조업 기술’을 선보였다. 이를 통해 공정 표준화는 물론 전체 작업 시간을 기존 대비 약 10% 단축하는 성과를 거두며 스마트 제철소 구현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를 받았다. 포스코퓨처엠 양극재연구센터는 ‘전구체 연속식 순환 농축 공정 양산화 기술’로 가공비 절감과 업계 최고 수준의 생산성 향상을 동시에 달성해 주목을 받았다.

 

행사 기간 동안 포스코그룹은 총 25개의 기술세션을 운영한다. 내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기술세션에서는 올해 특히 로봇 기술과 핵심 광물 기술 개발 성과가 집중적으로 다뤄질 예정이다.

 

AI·자율화 기술, 미래형 제조 혁신, 배터리 소재 공정 고도화, 자원 확보 전략 등 그룹 핵심 비전과 연결된 다양한 기술 의제가 공유된다. 장인화 회장 취임 이후 포스코그룹은 ‘2 Core(철강·이차전지소재) + 신성장 사업’ 중심으로 초일류 기업 도약을 위한 혁신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왔으며, 올해 테크포럼은 이러한 전략의 방향성을 더욱 명확히 하는 자리로 평가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