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클립아트코리아] ](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21145/art_16679721439789_886b89.jpg)
[더테크 뉴스] 정부가 제2의 카카오 사태를 막기 위해 앞으로 비수도권에 설립하는 데이터센터에는 전기요금 인센티브 지원을 검토한다.
수도권에 몰려 있는 데이터센터를 분산시켜 화재·지진 등 재난 위험에 대비하고,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전력공사 등 공공기관과 민간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데이터센터 지역 분산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고 9일 밝혔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경제 확대 및 전력품질·가격 측면의 장점 등으로 국내에 입지하려는 데이터센터는 빠르게 확대 될 전망이다.
현재 데이터센터 입지의 60%, 전력수요의 70%가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으며 전기사용예정통지 신청수요 고려 시, 이 비율은 2029년까지 각각 90%대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어 수도권 집중 현상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수도권 집중지역 내 화재·지진 등 재난 발생은 데이터 손실, 인터넷 지연 등을 유발하여 생활 및 통신 인프라 마비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전력다소비시설인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집중에 따라 송·배전망 등 전력 인프라 추가 건설 부담 및 계통혼잡 유발도 우려되며 지역균형 발전 측면에서도 디지털 경제의 핵심 인프라가 특정 지역에 편중되는 부작용도 야기할 수 있다.
이호현 전력혁신정책관은 “현 시점에서도 한전은 전기사용예정통지 회신 등을 통하여 수도권내 추가 입지가 단기간내에는 어렵다" 며 “데이터센터의 적기 건설과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전력 공급이 풍부하고 계통 접속이 원활한 지역으로 분산되어 입지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