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청정기 시험 평가 대상 제품. [자료=한국소비자원] ](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21043/art_16666747074258_969308.jpg)
[더테크 뉴스] 공기청정기 유해가스 제거·탈취효율 등 주요 성능을 평가한 결과 구입가격은 최대 6배 연간 유지관리 비용도 최대 2배 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공간과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공기청정기 8개 제품을 시험·평가한 결과, 미세먼지 제거성능은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을 충족했으나 제품별로 주요 성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공기청정기 작동 시 집진에 의한 미세먼지(지름 0.3㎛) 제거성능을 면적(m2)으로 환산한 값인 표준사용면적은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표시값의 90% 이상)을 충족했고, 제품별로 51.5m2 ~ 85.2m2 범위 수준이였다.
공기청정기를 정격풍량(최대풍량)으로 작동 시 발생하는 제품별 연간 전기요금은 표준사용면적이 가장 작은 샤오미(AC-M13-SC) 제품이 14,000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위니아(WPA25D0XSW) 제품은 26,000원으로 가장 비싸 최대 약 1.9배 차이가 있었다.
정격풍량으로 운전 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한 결과, 모든 제품이 55dB(A) 이하로 관련 기준을 충족했고, 표준사용면적이 가장 작은 샤오미(AC-M13-SC) 제품이 46dB(A), 나머지 7개 제품은 49dB(A) ~ 53dB(A) 범위 수준이었다.
새집증후군 유발물질인 폼알데하이드·톨루엔, 3대 생활악취의 원인이 되는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하이드·초산 등 5개 가스의 제거율을 확인한 결과, 6개 제품이 평균 87%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새집증후군 유발물질인 폼알데하이드·톨루엔, 3대 생활악취의 원인이 되는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하이드·초산 등 5개 가스의 제거율을 확인한 결과, 6개 제품이 평균 87%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안정성 관련 구조, 누전·감전 등의 전기적 안전성, 오존 발생량은 모든 제품이 안전기준 충족했고, 모든 제품의 필터에서 유해성분(CMIT, MIT, OIT 등)이 불검출됐다.
제품별로 필터 권장교체주기는 최소 6개월에서 최대 14개월로 차이가 있었으며 1년마다 교체할 경우, 쿠쿠(AC-20T20FWH) 제품이 54,200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SK매직(ACL-20U1C) 제품은 120,000원으로 가장 비싸 최대 2.2배 차이가 있었다.
한국 소비자원은 제품별로 주요 성능과 구입가격· 연간 유지관리 비용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종합평가표의 결과를 참고하여 사용 목적과 선호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제품 선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