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T 뉴스
멀티미디어
독자 · 소통
[더테크=조명의 기자] 한국재료연구원(KIMS, 이하 재료연) 그린수소재료연구실 이지훈 박사 연구팀이 3차원 다공성 탄소계 집전체 소재를 개발했다. 최인석 서울대 교수, 신중호 강릉원주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이룬 성과다. 재료연은 이같은 내용을 7일 발표했다. 이차전지와 슈퍼커패시터에 적용 에너지 밀도와 수명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집전체는 박막 극판 제조에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전극 무게와 부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해 에너지 밀도 향상과 에너지 저장장치 경량화에 제한적이다. 특히 전기차 등 중대형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장치가 적용되는 분야에서 이는 더욱 두드러진다. 또한 반복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활물질이 분리되거나 전지 내 수분과 공기 유입으로 인한 기존 금속 집전체의 부식 문제는 전지 수명을 단축하는 원인이다. 연구팀은 다양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탄소를 대상으로 부유 촉매 화학 기상 증착법을 적용해 3차원 다공성 구조의 탄소계 집전체를 제작했다. 이후 이차전지 산업에서 활용 중인 활물질 코팅 방식을 적용해 전극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동안 전해질과 작동 전압 등 환경변화에 따라 집전체 소재를 변경 및 적용해야 했던 기존의 제약 요소를
더테크는 ‘스마트 테크 전문‘ 미디어입니다. AI, 사물인터넷, 미래모빌리티 등 인더스트리 4.0 시대를 이끌어갈 딥테크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ICT 산업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 종료가 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