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AI EXPO KOREA 2024는 일상에 성큼 다가온 인공지능의 현황과 미래 전망을 한눈에 확인하고 체험해볼 수 있던 무대였다. 단일 인공지능(AI) 행사로서 아시아 최대이자 세계 5대 AI 전시회로 자리매김한 제7회 ‘국제인공지능산업대전(이하 AI EXPO KOREA 2024)’가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 D홀에서 진행됐다. 올해는 글로벌 AI 워크로드를 선도하는 11개국 300여 기업 및 기관이 참여했다. 전시회장은 입구부터 매우 붐볐다. 지난해보다 많은 인파가 몰렸는데, 이전 전시회가 가능성을 탐색하는 자리였다면 이제는 산업과 일상과 본격적으로 접목된 AI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는 부스를 연 기업들의 모습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전까지 AI 관련 전시회가 자사의 기술력을 선보이고 대중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모습이었다면 이번 전시회는 본격적인 비즈니스를 위한 무대였다. 부스마다 상담을 진행 중인 바이어의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일반적인 산업전시회와 다른 점이 있었다면 소프트웨어 위주의 전시회로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대형 설비나 기계음 혹은 실체화된 제품의 모습이 여타
[더테크=전수연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통신사의 서비스, 상품, 멤버십 혜택, 상담 패턴 등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선별해 이를 학습시키는 LLM을 개발하고 있다. SKT는 서울 중구 SKT타워에서 자사 텔코 LLM 설명회를 30일 진행했다. 사진은 행사가 열린 무대 모습.
[더테크=전수연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통신사의 서비스, 상품, 멤버십 혜택, 상담 패턴 등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선별해 이를 학습시키는 LLM을 개발하고 있다. 이 LLM은 오는 6월 개발이 완료되며 통신사들이 AI컨택센터, 유통망, 네트워크 운용, 사내 업무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KT는 서울 중구 SKT타워에서 자사 텔코 LLM 설명회를 30일 진행했다. 이날 설명회는 텔코 LLM의 의미와 개발 과정을 공유하는 시간으로 마련됐다. 우선 에릭 데이비스 SKT AI Tech Collaboration 담당은 텔코 LLM의 정의부터 언급했다. 텔코 LLM은 5G 요금제, T멤버십, 공시지원금 등 우리나라 통신 전문 용어와 AI 윤리가치 등 통신사의 내부 지침을 학습한 모델이다. 특히 GPT, 클로드와 같은 범용 LLM이 아닌 통신업에 특화된 LLM이라고 볼 수 있다. 텔코 LLM의 3가지 특징에 대해 데이비스 담당은 “개체(Entity) 인식은 특정 요금제의 혜택을 이해한다. 또 상품 선택은 제품 검색어(query)와 가장 일치하는 문서를 찾는다”며 “의도 감지는 문장에서 사용자 의도를 분류해 파악한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23일부터 나흘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EVS(Electric Vehicle Symposium & Exhibition)는 1969년부터 시작된 세계 최대 전기차 학술대회 겸 전시회로 글로벌 전기차 업계와 학계의 연구진이 한데 모여 세계 전기차 올림픽으로도 불린다. 한국에서는 2002년, 2015년에 이어 올해 세 번째로 열렸다. 현대차그룹을 비롯해 LG그룹, 삼성SDI를 비롯한 전장 기업까지 국내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들이 참여다. 아래는 전시회에 참여한 국내 주요 대기업의 부스의 전경이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23일부터 나흘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EVS(Electric Vehicle Symposium & Exhibition)는 1969년부터 시작된 세계 최대 전기차 학술대회 겸 전시회로 글로벌 전기차 업계와 학계의 연구진이 한데 모여 세계 전기차 올림픽으로도 불린다. 한국에서는 2002년, 2015년에 이어 올해 세 번째로 열렸다. 현대차그룹을 비롯해 LG그룹, 삼성SDI를 비롯한 전장 기업까지 국내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들이 참여다. 아래는 전시장의 전반적인 모습을 다뤘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글로벌 기술 기업 지멘스(siemens)가 신규 반도체 설계·소프트웨어 검증 솔루션을 공개했다. 지멘스는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호텔에서 지멘스 EDA의 하드웨어 지원 인증 및 검증 시스템(hardware-assisted verification and validation system)인 ‘벨로체 CS(Veloce CS)’ 3종을 25일 발표했다. 사진은 간담회가 진행된 현장 모습.
[더테크=전수연 기자] AI 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 그리드원이 업무를 직접 자율 처리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서비스 ‘고두(GO:DO)’를 공개했다. 그리드원은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그리드원 테크데이24 오토메이션 2.0, 자율 AI 에이전트’ 행사를 18일 개최했다. 사진은 기자 간담회가 열린 현장 모습.
[더테크=전수연 기자] AI 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 그리드원이 업무를 직접 자율 처리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서비스 ‘고두(GO:DO)’를 공개했다. 이 에이전트는 질문에 대해 추론만 하는 기존의 언어모델과 달리 자동화 솔루션을 연동하기 때문에 관련 업계의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드원은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그리드원 테크데이24 오토메이션 2.0, 자율 AI 에이전트’ 행사를 18일 개최했다. 행사에 앞서 김계관 그리드원 대표는 생성형 AI(LLM) 에이전트 서비스 고두 소개와 향후 그리드원의 사업 추진 내용을 발표했다. 그리드원은 하이퍼오토메이션 솔루션을 개발하는 AI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최근 다양한 산업 분야의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솔루션을 분석하고 있다. 김 대표는 “꾸준히 자동화 솔루션 오토메이션 개발에 집중해왔다. 기계가 사람을 대신해주는 것은 모두가 원하고 있다”며 “엔비디아(NVIDIA) 칩, 컴퓨팅 문제, 전력 등 AI 시대를 대비할 수 있는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고자 시작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리드원은 스마트폰의 유행부터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을 고민했다. 또 자동화가 빠르게 닥칠 것이라 판단하고 RPA(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더테크=전수연 기자] 인텔(Intel)이 8~9일(현지시간) 미국 애리조나에서 개최된 ‘인텔 비전 2024’의 발표 내용 및 네이버클라우드와의 가우디 기반 협력 전반을 공유했다. 인텔은 서울 영등포구 전경련 회관 루비홀에서 ‘인텔 비전(Intel Vision) 미디어 간담회’를 11일 진행했다. 사진은 이동수 네이버클라우드 박사의 발표 모습.
[더테크=전수연 기자] 인텔(Intel)이 8~9일(현지시간) 미국 애리조나에서 개최된 ‘인텔 비전 2024’의 발표 내용 및 네이버클라우드와의 가우디(Gaudi) 기반 협력 전반을 공유했다. 특히 모든 AI 부문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과 기업용 AI를 공개했다. 인텔은 서울 영등포구 전경련 회관 루비홀에서 ‘인텔 비전(Intel Vision) 미디어 간담회’를 11일 진행했다. 본 행사에 앞서 스크립트를 통해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 혁신센터장은 “네이버는 혁신적이고 안전한 멀티모달 LLM 학습 모델을 개발하고 배포하려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며 협력 계기를 언급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생성형 AI 모델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관리하기 위해 스타트업, 학계를 포함한 공동 랩을 만들어 연구를 추진하고 가우디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확장한다. 또 가우디 2를 테스트하고 평가 결과로 LLM 학습 인프라 구축에 적용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LLM 학습 인프라의 상업용 클라우드 인스턴스를 글로벌 기업 고객에게 제공해 생성형 AI 시대를 위한 경쟁력과 혁신을 지원한다. 하 센터장은 “네이버는 대규모 트랜스포머 모델(large-scale Transformer models)의 컴
[더테크=조재호 기자, 서용진 PD] 국내 최대 생산제조기술전시회 ‘SIMTOS((Seoul International Manufacturing Technology Show) 2024’가 이달 1일부터 5일까지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이번 전시회는 ‘Be a Part of SIMTOS’를 주제로 △금속절삭 및 금형기술관 △소재부품 및 제어 기술관 △툴링 및 측정기술관 △절단가공 및 용접기술관 △프레스 및 성형기술관까지 5개의 전문관과 △로봇 및 디지털제조기술 특별전까지 6가지의 테마로 관람객을 맞이했다. 부대행사로는 SIMTOS의 강점 중 하나인 국내외 바이어 상담회(MatchMaking4U)와 국제디지털제조혁신 컨퍼런스, 디지털제조기술 테마관을 선보였다. 사진과 영상은 쿠카로보틱스의 부스로 '인텔리전스 4.0 - 자동화를 넘어서' 를 주제로 국내생산제조 업계의 자동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협동로봇과 AMR을 선보였다. 쿠카로보틱스 코리아는 LBR iisy cobot과 KR 스카라 로봇, 그리고 AMR 을 주요 전시 품목으로 선보였으며, IIQKA.OS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으로 관람객을 맞이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서용진 PD] 국내 최대 생산제조기술전시회 ‘SIMTOS((Seoul International Manufacturing Technology Show) 2024’가 이달 1일부터 5일까지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이번 전시회는 ‘Be a Part of SIMTOS’를 주제로 △금속절삭 및 금형기술관 △소재부품 및 제어 기술관 △툴링 및 측정기술관 △절단가공 및 용접기술관 △프레스 및 성형기술관까지 5개의 전문관과 △로봇 및 디지털제조기술 특별전까지 6가지의 테마로 관람객을 맞이했다. 부대행사로는 SIMTOS의 강점 중 하나인 국내외 바이어 상담회(MatchMaking4U)와 국제디지털제조혁신 컨퍼런스, 디지털제조기술 테마관을 선보였다. 사진과 영상은 인터엑스의 부스로 온디바이스 AI와 생성형 AI를 주축으로 한 공작기계 업계의 디지털 전환(DX) 트렌드를 제시했다. 인터엑스는 부스에서 △공작기계 산업의 자율공장(Autonmous Factory) △온디바이스AI(On-Device AI) △생성형AI(Gen AI) △소프트웨어 중심 기계장비 (Software Defined Machine) 등의 다수의 솔루션을 선보이며 부스 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