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올 상반기 국내에서 1인당 월평균 3.04통의 문자스팸이 수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대비 약 74% 급감한 수치로, 정부의 불법스팸 방지 종합대책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7일 ‘2025년 상반기 스팸 유통현황’을 발표하고, 정부·통신사·단말기 제조사의 공동 대응이 스팸 감소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체 문자스팸 신고 및 탐지 건수는 총 3,193만 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억 1,150만 건)에 비해 1억 7,957만 건(약 85%) 감소했다. 특히 문자스팸 수신량(3.04통)은 최근 5년 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조사는 전국 12~69세 휴대전화 및 이메일 이용자 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가 실제 수신한 문자·음성·이메일 스팸 수신량과 KISA에 신고되거나 자체 탐지된 스팸 건수를 기반으로 분석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1인당 월평균 문자·음성·이메일 스팸 수신량은 7.91통으로 지난해 하반기(11.60통) 대비 31.8% 감소했다. 스팸 신고·탐지 건수 역시 3,883만 건으로 같은 기간 대비 75.7% 줄었다.
스팸 유형별로는 ▲문자스팸 3.04통(전반기 대비 -58.5%) ▲이메일 스팸 2.74통(감소세)로 나타났으며, 음성스팸은 2.13통으로 39.2% 증가했다. 문자스팸 광고는 ‘도박·로또’(1.22통)와 ‘금융·투자유도’(0.61통)가, 음성스팸은 ‘불법대출’(0.61통)과 ‘통신가입’(0.30통)이 주요 유형으로 확인됐다.
문자스팸 감소세는 정부의 정책 대응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불법스팸 방지 종합대책’은 2024년 11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돼 ▲부적격사업자의 대량문자시장 진입 제한 ▲문제사업자 퇴출 ▲AI 기반 필터링 강화 ▲불법스패머 신규가입 제한 및 전송속도 축소 등의 조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통신사업자들은 AI 필터링 및 패턴탐지 기술을 고도화하고, 단말기 제조사들도 자체 스팸 차단 기능을 강화했다. 방미통위 관계자는 “스팸 감소는 단순한 이용자 편의 향상을 넘어 보이스피싱 등 민생범죄 예방 효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향후 제도적 기반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전송자격인증제 도입을 위한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개정 ▲불법스팸 관련 부당이익 환수를 위한 '정보통신망법' 개정안 마련이 추진 중이다.
방미통위와 KISA는 이번 조사 결과를 누리집을 통해 공개하고, 문자·음성스팸 신고 방법을 영상과 이미지 콘텐츠로 제작해 국민 인식 제고 캠페인을 병행할 예정이다.
이번 결과는 국가 차원의 스팸 대응 체계가 효과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첫 통계적 신호로 평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