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마이크로소프트] ](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41251/art_17343936648986_dee741.jpg)
[더테크 이지영 기자] 마이크로소프트가 생성형 AI가 모든 산업의 혁신과 성과를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생성형 AI를 성공적으로 도입한 고객 및 파트너 사례를 17일 공개했다.
IDC 2024 AI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기업과 기관의 생성형 AI 사용률은 지난해 55%에서 올해 75%로 급증했다. 1달러당 평균 3.7배의 투자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조사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의뢰로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4,000명 이상의 비즈니스 리더와 의사 결정권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전 세계적으로 AI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Microsoft 365 Copilot), 애저 오픈AI 서비스(Azure OpenAI Service)를 통해 고객의 AI 트랜스포메이션을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강력한 보안 체계를 통해 AI를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도입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현재 포춘500대 기업 중 85%가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솔루션을 사용 중이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을 도입해 유연하고 효율적인 업무 문화를 구축, 임직원들은 문서 관리, 데이터 분석, 부서 간 협업에서 개선된 성과를 보이고 있다.
LG유플러스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을 시범 도입한 결과, 임직원의 85%가 업무 만족도 향상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특히, 미팅 관리, 회의록 작성, 이슈 관리 부문에서 효율성 체감이 높았으며, 현재 이를 바탕으로 코파일럿 도입을 확장할 계획이다.
성균관대학교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을 도입해 연구 및 학사 업무에 AI 협업 문화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연구 분야의 아이디어 정리와 논문 작성 효율성을 높였다.
크래프톤은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도입 후 95%의 직원이 업무와 삶의 균형 개선을 체감했다. 특히 이메일, 문서, 회의록 처리 속도가 현저히 빨라졌다.
현대글로비스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도입 후 3개월간의 변화관리 과정을 통해 물류 사업 부문의 생산성과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가시적인 성과를 냈다. 임직원 대상 워크숍과 챔피언 선정을 통해 개인별 코파일럿 활용 시나리오를 수집 및 분석해 이를 기반으로 시나리오를 자산화하고 AI 기반 업무 문화를 구축했다.
그외 LS ITC는 AI 전문 스타트업 AI3와 협력해 애저 오픈AI 서비스 기반 생성형 AI 서비스인 'LS GPT'를 개발했다. ‘LS GPT’는 LS그룹의 애저 인프라와 마이크로소프트 365, 애저 정보 보호(Azure Information Protection) DRM 환경에 최적화됐다.
SK디스커버리는 애저 오픈AI 서비스 기반 생성형AI 솔루션을 도입해 생산 현장에서 작업 위험성 평가 기간을 대폭 단축하는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사내 홍보팀은 AI를 활용해 기사를 선별하고 검토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70% 줄였다.
조원우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대표는 "최근 2년간 AI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기업들이 실질적 활용 방안과 성공 사례에 더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마이크로소프트는 신뢰할 수 있는 AI 트랜스포메이션 파트너로서, AI 기술의 활용 사례와 상용화 방안을 적극 공유하며 한국 산업 전반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