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6G·로봇 등 '디지털 혁신기술' 확보 가속화

2022.03.08 06:58:54

 

[더테크 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디지털분야 혁신기술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전문가 검토회의를 개최하고, 디지털 대전환 가속화를 위한 디지털 혁신기술 확보전략 수립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디지털 대전환은 산업생산성의 획기적 향상과 국민의 삶의 모습 변혁, 새로운 성장·도전기회 제공 등 세계경제에 막대한 잠재력을 보유한다.

 

이에, 세계 주요국은 디지털 대전환의 핵심인 디지털 기술을 미래 패권경쟁의 판도를 가를 열쇠로 보고, 인공지능·6세대(6G)·양자 등 디지털 기술 선도를 위한 투자계획을 연달아 발표 하는 등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도 지난 12월 패권경쟁시대에 대응하고 기술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인공지능·미래통신 등 디지털 기술이 다수 포함된 10대 국가 필수전략기술분야를 선정하고 육성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과기정통부는 국가 필수전략기술 선정 및 육성·보호전략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디지털 대전환을 가속화하고 디지털 기술 패권경쟁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디지털 혁신기술 확보전략을 추진한다.

 

 이번 전략에는 10대 디지털 분야 혁신기술 육성을 위한 대책이 포함될 예정이다. 

 

국가 필수전략기술 중 △인공지능 △5세대·6세대 이동통신(5G·6G) △양자 △사이버보안 △지능형 반도체 등 디지털 기술분야와 △우주 △첨단로봇 등 디지털 기술 적용을 통해 빠르게 산업·기술 고도화가 가능한 분야다. 

 

국가 필수전략기술로 선정되지는 않았지만 디지털 대전환 가속화를 위한 필수요소로서 집중육성이 필요한 △가상융합(XR) 기반기술 △고성능 컴퓨팅 △블록체인 기술 분야도 추가로 포함됐다. 

 

선도형 연구개발를 위한 임무지향형 연구개발 체계 구축, 후속연구 인센티브 강화 등을 통한 연구몰입환경 조성 등 디지털 연구개발 체계 혁신방안도 함께 검토할 예정이다.

 

LG전자, NHN, KT 등 산업계와 인공지능·통신 등 국내 학계 전문가 등이 참석하는 이번 회의에서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대전환 가속화를 위한 디지털 혁신기술 확보전략 추진방향을 공유할 예정이며, 이어 이에 대한 토론과 전문가 의견수렴이 이뤄질 전망이다.

 

박윤규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앞으로 우리나라 경제회복과 성장, 국민 삶의 질 제고를 책임질 디지털 대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디지털 기술기반을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라며, “디지털 혁신기술 확보전략을 통해 압도적인 디지털 기술력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수민 ksm@the-tech.co.kr
Copyright @더테크 (TEC TECH) Corp. All rights reserved.





  • 네이버포스트
  • X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