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코로나 이후 시대 디지털 대전환을 주도하고 국가 필수 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정보통신기술 산업 핵심인재 양성 사업이 지난 해보다 대폭 확대 지원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정보통신기술 석·박사급 인재양성 사업에 지난해 대비 약 14%(134억원) 증가한 1,068억원을 투입하고, 올해 3천 1백명을 포함하여 2025년까지 국가 디지털 혁신을 선도할 핵심인재 약 1만 5천명을 양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별히 올해에는 국가 기술주권 강화를 위한 국가 필수전략기술 분야(양자, 사이버보안 등) 인재양성, 지역 내 고급 인재부족 대응, 산업계 수요에 부응한 대학-기업 공동 연구교육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올해 중점 추진 예정인 신규사업·과제를 3일부터 공모한다. 이번 공모하는 사업은 △대학정보통신기술연구센터(신규 6개, 30억원)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신규 5개, 50억원) △정보통신기술혁신인재4.0(신규 20개, 25억원) △메타버스대학원(신규 2개, 10억원)이며 사업별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학정보통신기술연구센터 사업은 대학에 정보통신기술 핵심기술 분야의 첨단 연구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우리나라 기술 발전 및 산업 성장을 견인할 연구인재를 양성하는 사업으로, 센터 당 연간 10억원(2022~) 수준(1차년도 5억원)을 최장 8년간 지원한다.
특히 올해부터 센터당 지원 금액을 10억원 수준(2021년 8억원 수준)으로 확대하여 정보통신기술 핵심기술 분야 인재양성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며, 올해 신규 지원 분야는 국가 필수전략기술 및 산업적ㆍ정책적 인력수요가 높은 분야인 △차세대통신(5G·6G 등), △양자, △인공지능반도체, △사이버보안, △디지털콘텐츠, △정보통신기술 융합 등 6개 분야를 공모한다.
과기정통부 송상훈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의 우리나라 경제 성장과 국가 기술주권 확보에 있어서 정보통신기술 핵심인재양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면서, “5세대·6세대(5G·6G), 양자 등 전략기술 분야 고급 인재양성을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