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이용사업자들의 74.1%는 2020년 연 매출 중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매출이 50% 이상을 차지한다고 응답해 매출의 상당 부분을 온라인플랫폼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21년 온라인플랫폼 이용사업자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이와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경제 활성화 추세에 따라 온라인 플랫폼 이용사업자(이하 이용사업자)의 거래현황과 애로사항, 정책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오픈마켓, 배달앱, 숙박앱, 부동산앱 등 이용사업자 1,0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2020년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매출액 비중. [자료=중소벤처기업부] ](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11251/art_16399735809079_9d10af.jpg)
특히 오픈마켓 이용사업자의 경우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매출에 전적으로 의존한다는 응답도 51.5%에 달했다. 배달앱, 숙박앱 등을 이용하는 업체들의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매출 의존도보다 훨씬 높았다.
온라인플랫폼을 이용한 후 매출액 변화는 이용하기 전보다 ‘증가’하였다는 응답이 71.2%를 차지하였다. 온라인플랫폼 유형별로 증가율은 상이하나, 전반적으로 ‘50% 이상 증가’하였다는 응답이 27.7%로 가장 높았다.
영업이익 역시 온라인플랫폼 이용을 통해 ‘증가’하였다는 응답이 58.9%를 차지하였고 ‘10 ~ 20% 미만 증가’ 응답이 25.0%로 가장 높았다.
이용사업자들의 70.1%는 온라인플랫폼을 ‘창업과 동시에 이용’한다고 응답했다.
창업 이후 플랫폼 이용까지 기간은 평균 1.5년이다. 최근 5년 내 창업한 업체들의 경우 평균 0.2년 내에 이용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플랫폼을 이용하는 이유는 ‘플랫폼을 이용하지 않으면 영업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응답이 59.2%, ‘온라인 시장으로 사업 범위 확대’라는 응답이 54.4%였다. 지난해 조사결과에 비해 각 항목의 응답률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수료 및 거래절차 관련 부당행위 경험 유형. [자료=중소벤처기업부] ](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11251/art_16399735812588_0b614a.jpg)
온라인플랫폼 이용 시기 및 이유, 온라인플랫폼 이용 전후의 매출 변화를 함께 고려할 때 온라인플랫폼이 초기 창업자의 주요 판로확보 수단이자 영업 유지를 위한 필수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온라인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매출액 중 중개수수료 비중은 ‘10~15% 미만’이 46.6%로 가장 높았다. ‘5~10% 미만’이 24.7%로 뒤를 이었다. 작년 조사결과에 비해 ‘5~10% 미만’ 구간은 6.7%p 감소한 데에 비해 ‘10~15% 미만’이 6.5%p 증가해 수수료 부담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플랫폼 이용 중 ‘부당행위를 경험하였다’는 응답이 전체의 53.4%를 차지하였다. 그 중 ‘수수료 및 거래절차 관련 부당행위’ 경험이 91.2%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광고비 및 판매수수료 과다’가 58.5%, ‘판매수수료 등을 일방적으로 결정’이 55.6%로 나타나 수수료·광고비 수준은 물론 그 결정 방식에 대해서도 부당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중기부 권칠승 장관은 “그동안 중기부가 운영해온 배달앱 상생협의회 등의 성과를 이어나가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온라인플랫폼 관련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조속히 통과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