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한국이 세계지식재산기구(WIPO)의 글로벌 혁신 지수 평가에서 세계 5위를 차지했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특허청에 따르면 WIPO는 이날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 글로벌 혁신 지수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 지수는 WIPO가 프랑스 인시아드(INSEAD)·미국 코넬대학교 등과 함께 각국의 혁신 역량을 측정해 순위를 평가한다.
132개국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평가에서는 스위스, 스웨덴, 미국, 영국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위부터 4위를를 차지했다. 아시아에서는 한국에 이어 싱가포르가 8위, 중국과 일본이 각각 12위, 13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보다 5계단 상승했다. 상위 20개국 중 혁신역량이 가장 많이 개선된 국가로 평가됐다.
산업부는 "이번에 좋은 평가를 받은 이유는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미래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이러한 투자가 무형자산의 창출과 확산으로 활발히 이어졌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한국은 투입부문 5개, 산출부문 2개 등 총 7개 평가 분야 가운데 미래에 대한 투자를 측정하는 인적자본·연구 분야에서 3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다.
또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국내외 지식재산권 출원 증가 등으로 혁신 활동의 성과를 측정하는 산출부문 2개 평가 분야에서 작년 10위에서 올해 5위로 대폭 올랐다.
2020년 기준 국내 지식재산권 출원은 전년보다 9.1% 증가했고, 국제특허출원(WIPO)은 5.2% 늘어, 독일을 제치고 11년 만에 국제특허출원 순위 4위를 차지했다.
81개 세부지표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작년보다 5개 많은 9개 지표에서 세계 1위를 기록했다. 9개 지표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특허 출원·특허협력조약(PCT) 출원·특허 패밀리(2개국 이상 출원)·디자인출원, 인구 대비 연구원·기업연구원, 정부 온라인 서비스, 전자정부 온라인 참여, 하이테크 수출 비중이다.
김용래 특허청장은 “글로벌 혁신지수가 상승할 수 있었던 주된 이유는 코로나19 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우리나라의 혁신적 노력과 이에 따른 성과가 좋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청장은 “앞으로도 특허청은 창의적 아이디어와 혁신의 결과물인 지식재산권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우리나라는 K-방역과 반도체·이차전지 세계시장 점유율 1위 등으로 혁신 노력과 성과 등을 보이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친환경 정책을 통한 탄소 중립과 D.N.A(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로봇·드론 등 미래유망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 등 디지털 전환을 위해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