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6일 경제연구기관장 간담회에서 “우리 핵심 주력산업들의 초격차 경쟁력 유지를 정부가 뒷받침해 세계 공급망 재편 속에서 공세적으로 산업·기술 주도권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문 장관은 무역보험공사에서 열린 경제연구기관장 간담회에서 최근 경제 상황과 산업구조 개편 등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문 장관은 현 시점에 대해 “코로나가 계속되는 가운데 기저효과는 사라지고, 새로운 당면 이슈에도 대응해 나가야 하는 상황으로 우리 산업의 진정한 역량이 드러나게 될 변곡점”이라고 평가했다. 또 “물가 상승 압력과 함께 코로나19 4차 대유행 등에 따른 경제심리 악화 등 여전히 우리 경제에 위협요인이 상존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탄소중립 실현 등 산업구조의 근본적 재편과 함께 더욱더 격화되고 있는 국가 간 산업경쟁 속에서, 새로운 성장잠재력까지 확충해 나가야 하는 중차대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 장관은 수출‧산업이 이끄는 경제 회복세 유지와 함께, 산업구조 혁신에 박차를 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특히 한국개발연구원(KDI)는 반도체 공급망 확보가 경제안보 차원에서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빅3 신산업을 중심으로 △소부장 투자와 디지털 전환을 적극 확산 △핵심인재 육성 강화 적극 추진 등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세계경제의 회복세 시현 속 미중갈등·변이확산 등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아울러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비해 ICT·바이오 등 미래인재·투자환경 준비를 위한 정부-기업 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문 장관은 “산업정책에 대한 역할과 기대가 전통적 제조기반 확충을 넘어 경제‧산업구조 혁신, 일자리, 복지 등 새로운 가치 충족까지 더욱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다.”며, “당면 이슈에 대한 대응이 30년 뒤 우리 경제와 사회의 미래를 좌우한다는 막중한 책임감을 갖고 정책에 임하겠다.”는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