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네이버는 성균관대AI 기반 학술정보 통합플랫폼 'Scholytics(스칼리틱스) 2.0'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발표했다.
네이버는 성균관대학교가 가진 풍부한 학술 콘텐츠 및 학술정보 분석 역량을 반영해 설계한 AI를 기반으로, 대학 및 연구기관들이 각자 보유한 학술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학술정보 통합플랫폼을 구축할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네이버와 성균관대는 △AI를 활용한 연구자 식별 기능 강화 △연구자를 위한 맞춤형 추천 및 연구 프로필 자동작성 기능 지원 △딥러닝을 통한 연구 토픽 및 트렌드 정보 제공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AI 기반 연구자 식별 시스템은 스칼리틱스 2.0의 핵심 기술이 될 전망이다. 최근 학계에서는 과학 연구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논문 저자 신원 파악과 연구자 식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네이버는 스칼리틱스 2.0에서 AI를 활용해 더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연구자를 식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이사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네이버 학술 정보 데이터와 함께 연구평가 솔루션으로 출발한 '스칼리틱스'가 네이버의 AI 기술, 성균관대의 연구 역량을 더해 학술정보 통합플랫폼으로 거듭난다"라며 "더욱 다양한 글로벌 연구자와 연구 기관이 활발하게 연결되며 학문적 성과를 함께 만들어낼 수 있는 공간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신동렬 성균관대학교 총장은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을 지향하는 대학으로서 성균관대학교는 풍부한 학술정보 분석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라며 "네이버의 AI 기술력과 플랫폼을 활용해 전세계의 더욱 많은 연구자들과 연구 기관에 선진 학술정보 분석 툴을 지원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