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연, 친환경 액체수소 버스 개발 추진

2021.08.19 10:19:36

지난 17일 KAIST, 서울버스, 제이엔이웍스, 래티스테크놀로지와 함께 액체수소 충전소 개발 협약 체결
액화수소 생산‧충전‧활용 공급사슬 확보 첫 사례

 

[더테크 뉴스] 국내 전문연구기관과 기업이 손을 잡고 액체 수소 버스 관련 수소 기술 개발에 나선다. 관련 기술이 상용화되면 액화수소 생산‧충전‧활용의 공급 사슬을 확보하는 국내 첫 사례가 될 뿐만 아니라 액화수소 기반 트럭, 대형 드론 등 다양한 분야까지 기술이 미치는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과 KAIST, 서울버스, 제이엔이웍스, 래티스테크놀로지는 8월 17일 액체수소를 사용하는 연료전지 버스를 실증하고, 이를 위한 액체수소 충전소를 개발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기계연은 액체수소 기반 연료전지 버스와 충전소의 액체수소 관련 시스템을 설계하고 핵심 기자재를 개발하며, 액체수소 공급을 맡는다.

 

공급된 액체수소는 KAIST가 개발하고 래티스테크놀로지가 상용화한 세계 최초의 자유형상 압력탱크인 격자형압력탱크에 저장된다. 액체수소 격자형압력탱크는 버스와 충전소에 맞춰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공간맞춤형으로 설계된다.

 

에너지관리시스템은 제이엔이웍스가 맡는다. 버스의 전력 및 냉난방 부하를 분석해 노선뿐만 아니라 계절에 따라 액체수소 기반 연료전지 버스의 최적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제시한다.  

 

서울버스는 연료전지 공급 및 전력공급시스템 설계, 차량 시스템 통합‧설치를 수행하고, 액체수소 기반 연료전지 버스의 실증과 운영을 담당할 예정이다. KAIST는 엄밀한 시스템 모델링과 장기적인 기술 발전 및 비용 변화를 고려한 기술적 경제성 평가를 수행해 이 프로젝트를 지원하게 된다.

 

이에 앞서 기계연은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상용급액체수소플랜트핵심기술개발사업을 수행하면서 일산 0.5톤의 수소 액화플랜트를 개발하고 있다.

 

국내 최초의 수소 액화플랜트 개발 책임자는 최병일 박사는 “수소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수소의 대규모 생산, 저장, 수송, 활용이 이뤄져야 한다”며  “액체수소 인프라는 이러한 규모의 경제에 초석을 제공하는 액체수소를 사용하는 대중교통인 버스와 충전소는 파급력 있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명의 cho.me@the-tech.co.kr
Copyright @더테크 (TEC TECH) Corp. All rights reserved.





  • 네이버포스트
  • X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