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5G+ 융합서비스 확산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과기부는 18일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기반으로 관련 산업 육성 및 글로벌 5G 시장 선도를 위한 제5차 범부처 민·관합동 5G+ 전략위원회 영상회의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5G 전문기업을 1000개 이상 육성해 세계 최초 5G를 넘어, 세계 최고 5G 강국으로 거듭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내년 중 예비타당성(예타) 조사 및 5G 특화도시 후보 도시를 선정하는 등의 절차를 밟아나갈 예정이다. 사업 예산은 500억원 이상 규모로 예상된다.
전략위 위원장인 임혜숙 장관은 "G7 정상회의에서 5G 분야 협력이 강조되는 등 격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5G는 국가경쟁력의 미래가 걸린 중요한 정책과제"라며 "정부는 세계를 선도하는 5G+ 융합서비스가 민간 중심으로 발굴·확산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5G+ 융합서비스는 전 산업ㆍ사회 분야에서 5G 특성(초고속ㆍ초저지연ㆍ초연결 등)을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구현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한 서비스다. 정부는 디지털 뉴딜의 성공을 위해서는 5G+ 융합서비스 확산으로 디지털 전환을 가속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또 해외 주요국도 5G+ 융합서비스 시장을 선점하고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란 계산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세계 최고 5G+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올해 195개인 5G+ 적용 현장을 2023년 630개, 2026년 3200개로, 5G+ 전문기업은 94개에서 각각 330개, 1800개로 육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실행 방향으로 △새롬길(5G+ 선도서비스 발굴ㆍ보급) △나래길(5G+ 융합서비스 민간 확산 유도) △보듬길(5G+ 융합 협력생태계 구현) △누리길(5G+ 글로벌 리더십 확보)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5G+ 글로벌 리더십 확보 부문(누리길)은 글로벌 5G+ 생태계 선점과 5G+ 혁신기업 해외 진출에 집중한다.
특히 5G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글로벌이동통신표준화기구 3GPP 기술규격 등 사실표준에 대응하는 것은 물론 적합성평가 상호인정협정(MRA) 확대 등 5G 글로벌 협업을 강화한다. 또한 글로벌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등과 연계한 사업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바탕으로 올해 195개인 5G+적용현장을 2026년까지 3천200개로 약 16배, 5G+전문기업을 94개에서 1천800개로 약 19배 늘린다는 계획이다.
5G포럼은 민간 중심 5G+ 융합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수요-공급기업간 협업체계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한미정밀화학·포디리플레이·포항산업과학연구원은 민간부문의 5G+ 우수사례를 각각 소개했다.
전략위 위원들은 5G+ 융합서비스가 코로나19 이후 빠른 경기 회복과 디지털 대전환의 촉진제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점에 의견을 모았다 5G+ 확산 관련 당면 애로사항에 대한 해결방안을 토의했다.
특히 민간위원들은 5G+ 융합서비스 추진성과와 현장에서 느끼는 장애요인을, 정부위원들은 각 부처 추진상황을 공유했다.





